(→대학) |
(→축제) |
||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23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블록정보/도시 | ||
| 대표색상 = | |대표색상=#C7B276 | ||
| 도시명칭 = 지산시 | |글자색=#fff | ||
| 도시명칭외국어= | |행정구역단위=자치시 | ||
| 도시로고 = | |도시명칭=지산시 | ||
| | |도시명칭외국어=Jisan City | ||
| 워프소재지 = | |도시명칭한문=芝山市 | ||
| 행정구역 = | |도시로고=지산시.svg | ||
| | |대표이미지= | ||
| | |청사소재지=서악동 (예정) | ||
| | |워프소재지=분황로 22 [[국립지산박물관]] (인왕동) | ||
| | |행정구역=1읍 5면 9동 | ||
|단체장=Jingseum | |||
|상징꽃=매화꽃 | |||
|상징나무=은행나무 | |||
|상징새=참새 | |||
|슬로건= | |||
|개발완료일= | |||
|웹사이트=[https://block.throgo.com/city/jisan/ 지산시 공식 웹사이트] | |||
}} | }} | ||
__TOC__ | |||
<YouTube>7ujHx-PiVnE</youtube> | <YouTube>7ujHx-PiVnE</youtube> | ||
'''지산시'''는 [[플레이시티 블록]]의 | '''지산시'''(芝山市<sup>한자</sup> Jisan City<sup>영어</sup>)는 [[플레이시티 블록]] [[남해도]]의 기초자치단체이다. | ||
블록 내의 대표적인 한옥 중점 도시로, 주로 신라시대 건축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조선시대 사찰과 성곽 건축, 근현대 도시한옥까지 다양한 시대의 한국 건축을 만날 수 있는 도시이기도 하다. | |||
== 역사 == | == 역사 == | ||
=== 연혁 === | |||
* '''2019.8.25.''' 지산시 등록. 워프 지정 (동궁과 월지 정전) | |||
* '''2019.10.''' 지산시 워프 변경 (동궁과 월지 정전 → 황룡사) | |||
* '''2019.11.''' 지산시 워프 변경 (황룡사 → 아현면 JiTEC 예정지) | |||
* '''2020.11.22.''' 지산시 워프 변경 (아현면 JiTEC 예정지 → 월성동 마루광장) | |||
* '''2020.12.15.''' 지산시 1차 행정구역 대개편 (2읍 5면 3동 → 1읍 5면 7동) | |||
* '''2023.09.01.''' 지산시 2차 행정구역 대개편 (1읍 7면 7동 → 1읍 5면 9동) | |||
=== 설정상 역사 === | |||
지산시는 역사적으로 다른 고을이었던 지산군, 강경도호부, 월성군, 예지현이 합쳐져 형성되었다. | 지산시는 역사적으로 다른 고을이었던 지산군, 강경도호부, 월성군, 예지현이 합쳐져 형성되었다. | ||
<big>'''지산군'''</big> | {{가로로 꽉차는 이미지|남해도의 역사.png}} | ||
<big>'''지산군(芝山郡)'''</big> | |||
지산 지역은 원삼국시대 지매벌국(支買伐國)이 있었던 곳으로 비정된다. 신라시대에는 지평현(知平縣)이었는데, 산지에 반월성 방어를 위한 산성들이 건설되었으며, 고려시대에는 영산현(永山縣)이었으나 월성군의 속현으로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다. | |||
고려 말 전란으로 월성 지역이 쇠락하자 지산군과 아라군이 각각 남해도 서부와 동부의 중심 지역으로 대두된다. 그 이름이 지산시까지 이어진 것 처럼 지산군 지역은 현재에도 지산시의 도심으로 자리잡아 활기참을 뽐내고 있다. 현재는 지산읍, 덕포면 서부에 해당한다. | |||
<big>'''강경도호부(江景都護府)'''</big> | |||
강경 지역은 원래 지산과 별개의 고을이었으며, 서해에서 남해평야로 들어오는 관문항 역할을 했던 곳이다. 현재 강경 북부 지역의 평야는 과거에는 바다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산지 사이에 자리한 복잡한 해안선과 강 하구라는 지리적 위치로 인해서 항만이 형성되어 발전한 것으로 생각된다. | |||
삼국시대에는 풍경현(風景縣)으로 불렸으며, 읍치는 현재의 문수리와 대저리에 걸쳐 자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시대에는 읍치의 위치는 변하지 않고 강경현(江景縣)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그러나 15세기 초에 남강 하구가 퇴적으로 막히면서 옛 읍치가 항구로 기능할 수 없게 되어 미륵산 남쪽인 현재의 읍치로 이동하게 된다. | |||
조선 초에는 고을의 격을 낮추어 강천현(江川縣)으로 불렀으나, 강천군(江川郡)으로 승격하였고, 임진왜란 이후 수도 청라를 방어하는 군사적 중요성이 강조되어 강경도호부로 승격된다. 이로 인해서 남해우수영이 자리하게 되고 강경읍성도 군사적 목적에 알맞게 개축되었다. 조선 후기에는 강경 부속 도서에 해안 방어를 위한 보와 진, 돈대가 추가로 건설되기도 하였다. | |||
현재는 육지 지역인 강경읍과 덕포면의 동부, 도서지역인 압해면으로 나뉘어져 있다. | |||
<big>'''월성군'''</big> | <big>'''월성군(月城郡)'''</big> | ||
삼국시대 남해도의 중심지로, 고려와 조선을 거치며 쇠락하여 조선 초에 지산군에 합병되기에 이른다. | 삼국시대 남해도의 중심지로, 고려와 조선을 거치며 쇠락하여 조선 초에 지산군에 합병되기에 이른다. | ||
<big>'''예지현'''</big> | <big>'''예지현(禮知縣)'''</big> | ||
산과 바다에 둘러싸인 고을인 예지현은 다른 지역과 교류가 어려워 별개의 지역성을 가졌던 곳이다. | 산과 바다에 둘러싸인 고을인 예지현은 다른 지역과 교류가 어려워 별개의 지역성을 가졌던 곳이다. | ||
44번째 줄: | 69번째 줄: | ||
== 지리 == | == 지리 == | ||
지산시는 [[남해도(플레이시티 블록)| | 지산시는 (-5200, 12700)를 중심으로 [[플레이시티 블록]] 중남부, [[남해도]] 북부에 자리잡은 도시이다. 전반적으로 서고동저의 지형이다. 지산시의 진산인 영산(永山)부터 미륵산, 보문산, 인왕산, 두륜산, 현남산, 검단산 등 많은 산이 서쪽과 남쪽 해안을 감싸고 있으며, 동쪽은 [[남강]]의 퇴적으로 형성된 드넓은 남해평야의 일부이다. 서쪽은 서해이며, 동쪽과 북쪽은 [[남강]]을 경계로 [[아리울시]]와 접경하고 있고, 동쪽은 문천과 황남천을 경계로 [[신내시]]와 자연 경계를 형성하고 있다. 지산시 최북단은 강경읍 욕지면의 나리도이며, 최서단은 압해면 가거도, 최남단은 남면 검단산, 최동단은 아현면 두물머리이다. | ||
=== 산 === | |||
[[청라특별시]] 청남산에서 시작하는 '''영암산맥(靈巖山脈)'''이 남해도 서쪽으로 내려오며 형성된 산지는 지산시 관할 지역에 수많은 산들을 남겼다. 산지가 많기 때문에 지산시의 녹지 비율도 서버에서 높은 축에 속한다. | |||
* 영산(永山): 지산시의 진산으로, 옛 지산군의 처소인 [[지산읍성]]과 [[법주사(플레이시티 블록)|법주사]]가 이 산 능선에 걸쳐있다. | |||
* 미륵산(彌勒山): 옛 강경도호부의 진산으로, 처소인 [[강경읍성]]과 조선의 왕사로 불리던 고찰인 회암사가 자리잡고 있다. | |||
* 보문산: 덕포면의 중앙부에 자리한 산이다. 미륵산과 함께 강경만의 입구를 형성하고 있다. | |||
* 인왕산: 지산읍과 덕포면, 서면에 걸쳐 자리한 산이다. | |||
* 두륜산: 지산읍과 서면에 걸친 산이다. | |||
** 천마봉: 두륜산의 부속 봉우리이다. | |||
** 깃대봉: 깃대산성이 축성되어 있다. | |||
* 현남산: 남면에 자리한 산이다. 현남산성이 자리한다. | |||
* 검단산: 남면에 자리한 산으로, 안봉과 함께 지산시의 남쪽 경계를 형성하고 있다. | |||
* 한산: 압해면 고현도 중앙에 자리한 산이다. | |||
=== 하천 === | |||
산지가 많고 해안 지역에 위치해 습윤한 지산시의 특성상 강수량이 많으며, 이로 인해서 많은 하천이 발달해 있다. 서고동저의 지형 특성상 대부분의 하천은 서에서 동으로 흘러 남강으로 합류한다. | |||
지산 지역의 중심 하천은 [[황남천]](皇南川)으로, 인왕산에서 발원한 인왕천과 영산에서 발원한 영천, 속리천등이 [[지산읍성]] 남쪽에서 합류하여 형성된 하천이다. 지산읍성 남쪽에서 동남쪽으로 흐르던 물줄기는 월성에 다다르기까지 동쪽으로 흐르다 검단산에서 발원한 문천(蚊川)과 합류하여 동북쪽으로 흐름을 바꾼다. 이후 황남천은 [[신내시]]와의 경계를 따라 흐르며,두물머리에서 남강에 합류한다. [[남강]]은 남해평야에서 가장 거대한 하천으로, 지산시의 동남쪽에서 서북 방향으로 흘러 대저리 부근에서 서해 바다로 흘러나간다 | |||
남해평야의 하천들은 평야 지역을 자연적으로 구분하는 경계 역할을 했다. 남강은 월성, 강경지역과 아리울을 구분하였고, 황남천과 문천은 월성과 신내 지역을 구분하는 역할을 했다. 지산과 월성 지역의 전통적인 경계는 계천(界川)으로, 영산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흘러 황남천에 합류하는 하천이었다. | |||
* [[남강]](南江) | |||
** [[황남천]](皇南川) | |||
*** 문천(蚊川) | |||
*** 계천(界川) | |||
*** 속리천(俗離川) | |||
**** 영천(永川) | |||
**** 명월천(明月川) | |||
*** 인왕천(仁王川): 인왕산에서 발원. 일반적으로 황남천의 본류로 본다. | |||
=== 섬 === | |||
{{블록둘러보기/남해도의 섬}} | |||
지산시의 해안은 복잡한 만과 곶, 그리고 수많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해에 드넓게 분포한 섬들로 인해서 지산시 관할 해역은 서버에서 가장 넓다. 압해면은 섬으로만 구성된 행정구역으로, 지산시 관할 해역의 절반 가량을 담당하고 있다. | |||
'''<big>강경읍 소속</big>''' | |||
* 가덕도: 덕암리 소속. | |||
* 대저도(大渚島): [[남강]] 하구에 위치한 하중도이다. | |||
* 두미군도: 전역이 두미리에 속한다 | |||
** 두미도 | |||
** 바깥노루섬·안노루섬 | |||
** 쌍바위섬 | |||
* 사랑도: 추흥리 소속. 삼학도 남동쪽에 자리한다. | |||
* 아암도: 덕암리 소속. 퇴적작용으로 인해 최근에 본토와 연결되었다. | |||
* 욕지군도(欲知群島): 지산에서 가장 북쪽에 자리한 군도이다. | |||
** 욕지도(欲知島): 위치 (-6900, 4050). 욕지군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전역이 욕지리에 속한다. | |||
*** 소욕지도: 욕지도의 부속섬 | |||
*** 삼여도: 욕지도의 부속섬 | |||
** 상노대도·하노대도 | |||
** 연화도 | |||
** 초도·소초도 | |||
** 큰울섬·작은울섬 | |||
** 낭도·시소도 | |||
** 나리도(羅里島): 지산시 최북단의 섬이다. 강경읍 욕지리에 속해있다. 인근의 나리초에 해양과학기지가 건립될 예정이다. | |||
'''<big>덕포면 소속</big>''' | |||
* 상삼학도(上參鶴島): 삼학리 소속 | |||
* 하삼학도(下參鶴島): 삼학리 소속. 삼학리 마을이 자리잡은 섬이다. | |||
* 등대섬: 강경만 가운데에 자리잡은 섬으로, 강경만등대가 위치한다. | |||
'''<big>압해면 소속</big>''' | |||
* [[압해도]](押海島): 블록에서 두번째로 큰 섬이자, 부속도서 중에서는 가장 큰 섬이다. 압해면의 중심지이다. | |||
* 가거도(可居島): 지산시 최서단의 섬이다. [[가거초 종합해양과학기지(플레이시티 블록)|가거초 종합해양과학기지]]가 인근 해상에 자리하고 있다. | |||
* 파랑군도(波浪群島) | |||
** 파랑도(波浪島): 위치 (-11230, 4850) | |||
** 대매랑도 | |||
** 소매랑도 | |||
** 상도 | |||
* 흑산군도(黑山群島) | |||
** 흑산도(黑山島): 위치 (-13500, 8300) | |||
** 홍도 | |||
** 영산도 | |||
** 외영산도 | |||
** 대둔도 | |||
* (가칭)깃대군도 | |||
'''<big>서면 소속</big>''' | |||
* 가조도 | |||
* 낙산도 | |||
* 옥녀도 | |||
* 비조군도(飛鳥群島): 서면 남쪽의 지산만에 자리잡은 섬들을 일컫는다. | |||
** 비도(飛島) | |||
** 조도(鳥島) | |||
*** 비쭉섬 | |||
*** 철쭉섬 | |||
*** 부표바위 | |||
** 동곰섬 | |||
'''<big>남면 소속</big>''' | |||
'''<big>아현면 소속</big>''' | |||
* (가칭)하중도: [[남강]]의 하중도로, 아리울과 접경하고 있다. | |||
=== 해양 === | |||
지산시 관할 해역은 남해도와 해강도 육지 사이로 서해가 깊이 만입해 들어오는 곳으로, 유입하천이 적어 염도가 높은 서해의 해수와 많은 유입하천으로 인해 낮은 염도를 보이는 내해가 만나는 만큼 원해와 근해의 특징이 모두 나타나며 어종 등 생태 측면에서도 독특한 특징을 보이는 곳이다. | |||
(가칭)지산만은 하구시 남단과 파랑도, 압해도를 잇는 선 동부 해역으로, 남강과 성산강이 유입되고, 청라해협을 통해 내해와 연결되어 상대적으로 해수의 염도가 낮으며 유입되는 퇴적물로 인해서 혼탁하고 수심도 전반적으로 얕은 특성을 보인다. | |||
지산만 서쪽의 먼바다는 많은 섬이 분포하나 큰 육지와 멀고 수심도 더 깊다. 직접적으로 큰 해류가 지나가지는 않지만 서해 남쪽에서 올라오는 해류의 영향권에 있으며, 전반적으로 유속이 빠른 편이다. | |||
내소만은 지산시 남면과 [[내소군]] 사이에 위치한 해역이다. 얕은 수심과 큰 조수간만의 차에 의해서 넓은 간석지가 형성되었으며 블록 최대의 갯벌 생태계를 간직하고 있다. | |||
=== 지질 === | |||
== 기후·환경 == | |||
== 인구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border:2px solid#C7B276;" | |||
!style="background:none;"|[[파일:지산시.svg|x24px]] 지산시 인구 추이 | |||
|- | |||
|style="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C7B276 {{#expr:68 / 10}}%, #aaa 0%, #aaa 100%);color:white;"|2020년 68명 | |||
|- | |||
|style="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C7B276 {{#expr:648 / 10}}%, #aaa 0%, #aaa 100%);color:white;"|2021년 648명 | |||
|- | |||
|style="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C7B276 {{#expr:648 / 10}}%, #aaa 0%, #aaa 100%);color:white;"|2022년 648명 | |||
|- | |||
|style="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C7B276 {{#expr:648 / 10}}%, #aaa 0%, #aaa 100%);color:white;"|2023년 648명 | |||
|- | |||
|style="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 #C7B276 {{#expr:{{블록메타/인구|지산시}} / 10}}%, #aaa 0%, #aaa 100%);color:white;"|현재 {{수형식:{{블록메타/인구|지산시}}}}명 | |||
|} | |||
[[파일:지산시인구.png|섬네일|지산시 인구 변화]] | |||
지산의 인구는 총 {{블록메타/인구|지산시}}명이다. 지산은 남해도에서 3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며, 블록에서 인구 집계가 된 지자체 중에서 인구가 3번째로 적은 곳이다. | |||
지산시의 인구가 적은 원인으로는 저밀도 위주의 개발 정책을 들 수 있다. 지산 개발 초기의 인구 밀집지역었던 황남동부터 저밀도 한옥으로 개발되었던 점에서 알 수 있다. 2021년 들어 황오동에 지산시 최초의 아파트 단지가 건설되었지만 저층으로 계획되어 기존의 저밀도 개발 기조가 이어지고 있다. 지산시 마스터플랜 상에서도 상당한 면적이 저밀도 주거구역으로 예정되어 고밀도 주거 위주로 개발하는 다른 도시에 비해서 인구 증가가 더딜 수 밖에 없다. 또한 2021년 이후로 관내의 개발 사업이 대부분 좌초되며 건설 경기 침체가 이어지는 것도 한 몫 하고 있다. | |||
지산시는 도시의 영향력 면에서는 남해도 제2의 도시로 인식되고 있지만 인구 측면에서는 2위가 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남해도 행정도시가 예고된 [[신내시]]의 개발로 남해도 내 인구 순위가 이미 2위에서 3위로 밀려났으며, 기존 1위 도시인 아리울의 개발 역시 지속적으로 진행중이라 앞으로도 인구 순위가 유지될 전망이다. | |||
== 행정구역 == | |||
{{블록목록/지산시의 행정구역}} | |||
2023년 9월 1일 기준 지산시의 행정구역은 1읍 5면 9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 |||
[[파일:지산행정구역도.png|섬네일|400px|지산시의 행정구역]]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100%;" align=center | |||
|- | |||
! 이름 !! 한자 !! 면적 !! 세대 !! 인구 | |||
|- | |||
| 강경읍 || 江景邑 || || 0 || 0 | |||
|- | |||
| 남면 || 南面 || || 0 || 0 | |||
|- | |||
| 덕포면 || 德浦面 || || 0 || 0 | |||
|- | |||
| 서달면 || 徐達面 || || 0 || 0 | |||
|- | |||
| 아현면 || 阿峴面 || || 0 || 0 | |||
|- | |||
| 압해면 || 押海面 || || 0 || 0 | |||
|- | |||
| 대릉동 || 大陵洞 || || 0 || 0 | |||
|- | |||
| 명륜동 || 明倫洞 || || 0 || 0 | |||
|- | |||
| 성남동 || 城南洞 || || 0 || 0 | |||
|- | |||
| 월성동 || 月城洞 || || 0 || 0 | |||
|- | |||
| 행궁동 || 行宮洞 || || 0 || 0 | |||
|- | |||
| [[황남동(지산시)|황남동]] || 皇南洞 || || 17 || 68 | |||
|- | |||
| 황오동 || 皇吾洞 || || 144 || 576 | |||
|- | |||
|'''지산시''' || 芝山市 || {{#expr: {{블록메타/도시|지산시|면적}} round 2}} || {{#expr: {{블록메타/인구|지산시}} / 4}} || {{블록메타/인구|지산시}} | |||
|} | |||
지산시의 행정구역 개편 연혁은 다음과 같다. | |||
* 2019년 8월 25일: 지산시 설립. 아라면, 아현동 설치 (1면 1동) | |||
* 2019년 8월 26일: 산남면 설치 (2면 1동) | |||
* 2019년 12월 7일: 산남면 폐지 후 강경읍, 월성면, 도청동, 행주동 설치 / 아현동을 아현1동, 아현2동으로 분동 / 아라면을 아리울시에 반환 (1읍 1면 4동) | |||
* 2020년 4월 5일: 월성면 황남리를 황남동으로 승격, 월성면 잔여지역을 월성동으로 승격 (1읍 6동) | |||
* 2020년 4월 22일: 지산읍, 남면, 덕포면, 서면, 아현면, 압해면, 인왕면 설치 / 도청동, 아현1동, 아현2동, 행주동 폐지 (2읍 6면 2동) | |||
* 2020년 10월 15일: 인왕면 폐지 (2읍 5면 2동) | |||
* 2020년 11월 11일: 지산읍 성내리가 행궁동으로 승격 (2읍 5면 3동) | |||
* 2020년 12월 15일: 지산읍 폐지 후 대릉동, 명륜동, 성남동 승격. 아현면 황오리가 황오동으로 승격. (1읍 5면 7동) | |||
* 2022년 6월 22일: 압해면 조도리를 낙월면으로, 압해면 가거리, 흑산리를 흑산면으로 승격 (1읍 7면 7동) | |||
* 2023년 5월 7일: 서면을 서달면으로 개칭 | |||
* 2023년 9월 1일 (예정): 남면을 보은면으로, 서달면을 법성면으로, 덕포면을 예지면으로 개칭, 낙월면과 흑산면을 압해면으로, 명륜동을 대릉동으로 편입, 성남동을 서악동과 충효동으로, 행궁동 남부를 종로동으로, 황남동 서부를 사정동으로 분할 (1읍 5면 9동) | |||
=== 동 지역 === | |||
==== 대릉동(大陵洞) ==== | |||
[[파일:신라대종공원2.png|섬네일|360px|신라대종공원과 봉황대]] | |||
'''대릉동(大陵洞)'''은 지산시의 행정동이다. 인구는 0명이다. 2020년 12월 15일 아현면 노동리, 노서리가 승격하여 설립하였다. 동쪽으로는 황오동, 서쪽으로는 명륜동, 남쪽으로는 성남동과 황남동, 북쪽으로는 아현면과 맞닿아 있다. 대릉동의 명칭은 [[대릉원]]에서 유래하였다. 대릉원 지구의 일부인 노서동 고분군과 노동동 고분군이 대릉동에 있다. | |||
대릉동은 조선시대 지산군과 월성군, 강경도호부가 맞닿는 지역에 해당하여 세 고을을 오가는 교통로의 성격을 띄고 있었다. 대표적으로 수도 청라부에서 지산군으로 이어지는 주 교통로였던 남해대로가 대릉동의 서부를 관통하고 있었다. 삼거리 주막이 있던 대릉동 일대가 도시화 된 것은 일제시대부터이다. 도시개발로 삼거리가 오거리로 확장되었고, 1928년 민족 자본으로 설립된 유성대학교가 연건동으로 교사를 이전하면서 대릉동은 일제시대 지산의 주요 상업중심지로 탈바꿈하였다. | |||
현재의 대릉동은 여전히 지산시의 주요 상권으로 남아있다. 다만 노서동 고분군과 노동동 고분군의 존재로 인해서 높은 건물을 신축할 수 없게 되면서 추가적인 성장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 |||
대릉동은 아래 다섯 법정동의 영역을 관할하고 있다. | |||
* 법정동 남해로3가(南海路3街) | |||
* 법정동 남해로4가(南海路4街) | |||
* 법정동 노동동(路東洞) | |||
* 법정동 노서동(路西洞) | |||
* 법정동 연건동(蓮建洞) | |||
==== 명륜동(明倫洞) ==== | |||
[[파일:지산읍성가배원.png|섬네일|360px|가배원 명륜점 옥상에서 본 지산고읍성 전경]] | |||
'''명륜동(明倫洞)'''은 지산시의 행정동이다. 인구는 0명이다. 지산시 중앙에 자리잡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아현면과 대릉동, 서쪽으로는 행궁동, 남쪽으로는 성남동, 북쪽으로는 덕포면, 강경읍과 경계를 맞닿고 있다. 2020년 12월 15일 지산읍 법주사리, 아현면 창신리 등이 승격하여 설립하였다. 명칭의 유래는 관내에 위치한 지산향교이다. | |||
명륜동은 영산 남쪽의 계곡을 끼고 발달한 곳으로, 지산읍성 내에서 수용하기 어려운 인구를 대신 받아들이는 역할을 했다. 일제시대에는 성남동 신시가지에 거주하기 어려웠던 가난한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주교동과 창신동은 일제시대 지산에서 유일하게 조선인이 상권을 쥐고 있던 곳이었으며, 수많은 도시한옥이 건립되어 현재의 반촌 한옥마을을 형성하게 되었다. | |||
명륜동은 신라시대에 세워진 고찰인 [[법주사(플레이시티 블록)|법주사]]부터 [[지산고읍성]], 지산향교 등 조선시대 문화재, 그리고 창신동과 주교동의 근대건축물 등 풍부한 문화유산을 가진 지역으로, 관광지로서의 잠재력이 높은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 |||
명륜동은 아래 일곱 법정동의 영역을 관할하고 있다. | |||
* 법정동 명륜동(明倫洞) | |||
* 법정동 법주사동(法住寺洞): 법주사만을 관할한다. | |||
* 법정동 수송동(壽松洞) | |||
* 법정동 연수동(延壽洞): 영천 동쪽만 관할한다. | |||
* 법정동 일주동(一株洞) | |||
* 법정동 주교동(舟橋洞) | |||
* 법정동 창신동(昌信洞) | |||
==== 성남동(城南洞) ==== | |||
'''성남동(城南洞)'''은 지산시의 행정동이다. 인구는 0명이다. 2020년 12월 15일 지산읍 남천리, 아현면 서정리, 황서리가 승격하여 설립되었다. | |||
조선시대 성남동은 지산군의 식량을 담당하던 논밭이 가득한 들판이었지만, 일제시대에 지산부청과 남해도청을 성남동에 건설하고 도시계획을 시작하며 지산시의 중심 지역으로 발달하게 되었다. 현재에도 성남동은 지산시의 행정과 상업을 대부분 담당하고 있으며, 지산시의 주요 택지지구이기도 하다. | |||
성남동은 아래 여덟 법정동의 영역을 관할하고 있다. | |||
* 법정동 남천동(南川洞) | |||
* 법정동 남해로1가(南海路1街) | |||
* 법정동 남해로2가(南海路2街) | |||
* 법정동 도청로1가(道廳路1街) | |||
* 법정동 도청로2가(道廳路2街) | |||
* 법정동 사정동(沙正洞) | |||
* 법정동 성건동(城乾洞) | |||
* 법정동 성남동(城南洞): [[지산시청(플레이시티 블록)|지산시청]] 소재지 | |||
==== 월성동(月城洞) ==== | |||
[[파일:황룡사.png|섬네일|360px|황룡사]] | |||
'''월성동(月城洞)'''은 지산시의 행정동이다. 인구는 0명이다. 지산시 동남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황남천을 경계로 [[신내시]]와 맞닿아 있으며, 서쪽은 황남동과, 남쪽은 남면과, 북쪽은 황오동과 맞닿아있다. 현재의 월성동은 2020년 4월 5일 구 월성면 월성리와 구황리가 승격하여 설립되었다. | |||
월성동 지역은 역사적으로 월성군의 중심지였다. 신라시대에는 반월성이라는 이름으로 남해평야 지역에서 가장 번성하던 지역이었으며, 이는 월성동과 주변 지역에서 출토되는 수많은 신라시대의 문화재에서 증명된다. 고려시대 이후 월성이 쇠락하면서 월성동 지역 역시 쇠락하였고, 조선시대에는 월성동 지역 대부분이 농경지로 사용되었다. | |||
월성동 면적의 대부분은 역사유적지구인 월성지구와 황룡사지구가 차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서 개발에 많은 제한이 걸려있고 인구 역시 감소하고 있다. 반대로 관광 측면에서는 장점이 많은데, 역사유적지구 자체 뿐만이 아니라 지산시 전역에서 발굴된 유물을 전시하는 [[국립지산박물관]]이 월성동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 |||
월성동은 아래 두 법정동의 영역을 관할하고 있다. | |||
* 법정동 인왕동(仁旺洞): 구 월성면 인왕리로, 월성지구와 [[동궁과 월지]]가 속한 곳이다. | |||
* 법정동 구황동(九黃洞): 구 월성면 구황리로, 황룡사지구가 속한 곳이다. | |||
==== | ==== 행궁동(行宮洞) ==== | ||
'''행궁동(行宮洞)'''은 지산시의 행정동이다. 인구는 0명이다. 2020년 11월 11일 지산읍 성내리가 승격하여 설립되었다. | |||
''' | |||
지산읍은 원삼국시대 지매벌국의 중심지로 비정되고 있다. 신라시대에는 반월성의 속현인 지평현이었으며, 고려시대에는 영산현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조선시대에 현재의 지명인 지산군으로 바뀌었으며, 행정중심지였던 [[지산읍성]]이 축조되었다. | 지산읍은 원삼국시대 지매벌국의 중심지로 비정되고 있다. 신라시대에는 반월성의 속현인 지평현이었으며, 고려시대에는 영산현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조선시대에 현재의 지명인 지산군으로 바뀌었으며, 행정중심지였던 [[지산읍성]]이 축조되었다. | ||
64번째 줄: | 318번째 줄: | ||
지산읍은 지산대로를 중심으로 형성된 업무지구부터 조선시대의 모습을 되찾아가는 지산읍성 한옥보존지구까지 다채로운 모습을 가지고 있다. 전반적으로 북쪽은 관광과 업무지구로, 남쪽은 주거지구로 구성되어 있다. | 지산읍은 지산대로를 중심으로 형성된 업무지구부터 조선시대의 모습을 되찾아가는 지산읍성 한옥보존지구까지 다채로운 모습을 가지고 있다. 전반적으로 북쪽은 관광과 업무지구로, 남쪽은 주거지구로 구성되어 있다. | ||
* | 행궁동은 아래 다섯 법정동의 영역을 관할하고 있다. | ||
* | * 법정동 화령동(華寧洞): [[지산읍성]] 성안 서부를 관할한다. | ||
* | * 법정동 숭인동(崇仁洞): [[지산읍성]] 성안 동부을 관할한다. 명칭은 동문인 숭인문에서 유래하였다. | ||
* | * 법정동 의흥동(義興洞): [[지산읍성]] 성안 남부를 관할한다. 명칭은 서문인 선의문과 남문인 흥례문에서 한 글자씩 딴 것이다. | ||
* | * 법정동 양천동(兩川洞): [[지산읍성]] 성밖 남쪽을 관할한다. | ||
* 법정동 연수동(延壽洞): 영천 서쪽만 관할한다. | |||
==== [[황남동(지산시)|황남동(皇南洞)]] ==== | |||
[[파일:능참봉마을.png|섬네일|360px|황남동 능참봉마을의 한옥지붕]] | |||
'''황남동(皇南洞)'''은 지산시의 행정동이다. 인구는 68명이다. 지산시 동남부에 위치해 있으며, 동쪽으로는 월성동, 서쪽으로는 성남동, 북쪽으로는 대릉동과 황오동, 남쪽으로는 남면과 맞닿아있다. 2020년 4월 5일 구 월성면 황남리가 승격하여 설립되었다. 지명의 유래는 황릉, 황씨묘로 불리던 대릉원 남쪽이라 황남으로 이어졌다던 설과 황촌(현 월성동, 아현면 중부리 추정) 남쪽이라고 하여 황남동이라고 불려졌다는 설이 있다. | |||
황남동은 블록의 대표적인 저밀도 주거지구이자 한옥밀집지구이다. 문화재구역으로 지정된 곳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전통가옥으로 가득 차 있다. 대릉원 담장부터 첨성로까지 방대한 구역에 걸쳐서 가옥들이 펼쳐져 있다. 이런 특징 떄문에 지산시 자체적으로도 한옥보존지구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한옥 보존과 신축에 많은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 |||
인접 지역에 [[대릉원]]과 월성지구 등 문화재가 많기 때문에 관광객들이 많다. 이로 인해서 주거지구였던 황남동 내에도 상업시설들이 많이 세워지고 있다. 특색있는 분위기를 찾아 유입된 예술가들과 청년사업가들에 의해서 게스트하우스나 카페들이 생겨나고 있으며, [[가배원]] 등 프렌차이즈 카페도 입점하는 추세이다. 또한 전통시장인 [[황남시장(플레이시티 블록)|황남시장]]과 기존에 존재했던 가게와 식당 역시 활기를 찾고 있다. | |||
황남동은 아래 두 법정동의 영역을 관할하고 있다. | |||
* 법정동 재매정동(財買井洞): 구 아현면 재매정리. 2020년 12월 15일 황남동에 편입되었다. | |||
* 법정동 황남동(皇南洞) | |||
==== 황오동(皇吾洞) ==== | |||
'''황오동(皇吾洞)'''은 지산시의 행정동이다. 인구는 576명이다. 동쪽과 북쪽으로는 아현면, 서쪽으로는 대릉동, 남쪽으로는 황남동, 월성동과 경계가 맞닿아있다. 2020년 12월 15일 아현면 황오리가 승격하여 설립되었다. | |||
대부분은 농경지이며, 대릉동과 맞닿은 서쪽에 연담화된 주거지구가 존재한다. 대릉원 쪽샘지구와 남고루, 전랑지 등의 사적지가 다수 분포하고 있지만 연구가 충분히 되지 않아서 복원사업은 추진되고 있지 않다. | |||
황오동은 아래 두 법정동의 영역을 관할하고 있다. | |||
* 법정동 성동동(城東洞): 전랑지가 위치한 곳이다. | |||
* 법정동 황오동(皇吾洞) | |||
=== 읍·면 지역 === | |||
==== 강경읍(江景邑) ==== | ==== 강경읍(江景邑) ==== | ||
[[파일:적사해변청키.png|섬네일|강경적사해변의 전경]] | [[파일:적사해변청키.png|섬네일|360px|강경적사해변의 전경]] | ||
'''강경읍(江景邑)'''은 지산시의 읍이다. 인구는 0명이다. | '''강경읍(江景邑)'''은 지산시의 읍이다. 인구는 0명이다. | ||
80번째 줄: | 357번째 줄: | ||
강경읍에는 읍성 외에도 많은 문화재가 산재한다. 조선왕릉군중 가장 거대한 규모의 남구릉이 있고, 선교장, 강경향교 등 조선시대 사대부와 관련된 유적들이 많다. 조선초기 왕사이자 행궁으로 기능했던 회암사도 강경의 문화유산이다. | 강경읍에는 읍성 외에도 많은 문화재가 산재한다. 조선왕릉군중 가장 거대한 규모의 남구릉이 있고, 선교장, 강경향교 등 조선시대 사대부와 관련된 유적들이 많다. 조선초기 왕사이자 행궁으로 기능했던 회암사도 강경의 문화유산이다. | ||
* | 강경읍은 다음 10개 리를 관할하고 있다. | ||
* 성동리(城東里): 성동문 바깥으로 강경중앙시장이 자리한다. 주거지구의 비율이 높다. | |||
* | * 법정리 대저리(大渚里): [[남강]] 하구가 자리한다. | ||
* 추흥리 | * 법정리 덕암리 | ||
* 법정리 두미리 | |||
* 법정리 문수리 | |||
* 법정리 성남리(城南里): 적사해변과 카페거리가 있다. | |||
* | * 법정리 성동리(城東里): 성동문 바깥으로 강경중앙시장이 자리한다. 주거지구의 비율이 높다. | ||
* 법정리 성산리: 구 압해리 | |||
* 법정리 욕지리(欲知里): 지산시 최북단 행정구역으로, 최북단 섬인 나리도가 속해있다. | |||
* 법정리 읍내리(邑內里): 읍사무소 소재지 | |||
* 법정리 추흥리 | |||
==== 낙월면(落月面) ==== | |||
'''낙월면(落月面)'''은 지산시의 면이다. 인구는 0명이다. 지산시에서 도서지역으로만 구성된 세 면중 하나로, 지산시 최서단에 위치하고 있다. 바다를 사이로 동북쪽으로는 압해면, 동남쪽으로는 서면, 남쪽으로는 남해 제4지자체, 서쪽으로는 흑산면과 인접해 있다. 2022년 6월 22일 압해면 조도리가 승격하여 설립하였다. | |||
* 법정리 조도리(鳥島里): 행정리와 동일. 조도군도 관할 | |||
==== 남면(南面) ==== | ==== 남면(南面) ==== | ||
'''남면(南面)'''은 지산시의 면이다. 인구는 0명이다. 지산시 남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신내시, 서쪽으로는 서면, 북쪽으로는 성남동, 황남동, 월성동, 남쪽으로는 바다를 경계로 남해 제4지자체와 맞닿아있다. | |||
남면은 지산의 외곽 지역 중 드물게 평지가 많은 곳이었기에 예전부터 경작지로 활용되어 왔다. 일제시대 이후 지산 시가지가 남쪽으로 팽창하였지만 도시화의 혜택은 남면까지 미치지 못하였으며, 현대에도 남면은 농업을 주 산업으로 하는 농촌 지역으로 남아있다. | |||
지산시와 [[신내시]]에 걸쳐 조성되는 문천신도시의 부지로 남산리와 교동리가 선정되었다. 개발이 완료된 후에는 남산동으로 행정구역이 분리될 예정이다. | |||
남면은 다음 7개 리를 관할하고 있다. | |||
* 법정리 교동리(校洞里): 교촌한옥마을과 인용사지가 위치한 곳. 문천신도시 예정지이다. | |||
* 법정리 나정리(羅亭里) | |||
* 법정리 남산리(南山里): 지산전통문화대학교 예정지이다. | |||
* 법정리 삼릉리(三陵里): 면사무소 소재지. 지명은 조선 왕릉인 지산 삼릉에서 유래하였다. | |||
* 법정리 오릉리(五陵里): 지명은 신라 왕릉인 지산 오릉에서 유래하였다. | |||
* 법정리 전촌리(典村里) | |||
* 법정리 현남리(縣南里) | |||
==== 덕포면(德浦面) ==== | |||
'''덕포면(德浦面)'''은 지산시의 면이다. 인구는 0명이다. 지산시 북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강경읍, 서쪽으로는 압해면, 남서쪽으로는 서면, 남쪽으로는 행궁동, 명륜동과 맞닿아있다. | |||
덕포면은 조선시대에는 후포(後浦)로 불렸으며, 지산군의 외항으로 기능했다. 일제시대 이후 강경이 항만의 기능을 상실하면서 덕포항이 명실상부한 지산의 주요 항만이 되었다. 그러나 산 사이에 둘러싸인 지형 특성상 항만의 확장이 어려워 크게 발전하지 못했다. 현재는 압해면, 강경읍의 부속 도서와 지산 본토를 연결하는 여객선이 다니며, 지산시 최대의 수산시장으로 유명한 곳이다. | |||
==== | ==== 서달면(西達面) ==== | ||
''' | '''서달면(西達面)'''은 지산시의 면이다. 인구는 0명이다. 지산시 서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행궁동, 성남동, 서쪽으로는 서해, 북쪽으로는 압해면, 남쪽으로는 남면, [[내소군]]과 경계를 맞닿고 있다. 2023년 5월 7일 서면(西面)에서 개칭하였다. | ||
서달면은 영암산맥에 가로막혀 남해평야와 분리된 지역으로 고려시대까지는 예지현으로 불리며 지산과는 독자적인 고을이었다. 그러나 고을의 규모가 너무 작아 조선 초기에 행정구역을 정리하며 지산군과 합병하여 현재에 이르게 된다. | |||
==== | ==== 아현면(阿峴面) ==== | ||
'''아현면(阿峴面)'''은 지산시의 면이다. 인구는 0명이다. 지산시 동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아리울시]]와 [[신내시]], 서쪽으로는 지산읍, 북서쪽으로는 강경읍, 남쪽으로는 남면, 남동쪽으로는 월성동과 황남동과 경계를 맞닿고 있다. | |||
아현면은 월성동과 황남동 승격 이후 구 월성면의 잔여지역이 개칭한 것이다. 현재 7리가 속해있다. | |||
* 법정리 난지리(卵池里): 행정리와 동일 | |||
* 법정리 내리(內里): 행정리와 동일 | |||
* 법정리 능지리(陵只里): 행정리와 동일 | |||
* 법정리 배반리(排盤里): 행정리와 동일 | |||
* 법정리 아현리(阿峴里): 행정리와 동일 | |||
* 법정리 안강리(安康里): 행정리와 동일 | |||
* 법정리 합강리(合江里): 행정리와 동일 | |||
==== 압해면(押海面) ==== | |||
'''압해면(押海面)'''은 지산시의 면이다. 인구는 0명이다. 지산시에서 도서지역으로만 구성된 세 면중 하나로, 바다를 사이로 동쪽으로는 강경읍, 동남쪽으로는 덕포면, 남쪽으로는 서면, 서남쪽으로는 낙월면, 서쪽으로는 흑산면과 접해 있다. | |||
지산 관할 섬 중 가장 거대한 [[압해도]]를 중심으로 하며, 파랑도, 욕지도, 나리도 등의 넓게 퍼진 부속도서를 관할한다. | |||
* 법정리 고현리(古縣里): 행정리와 동일. 면사무소 소재지 | |||
* 법정리 둔덕리(屯德里): 행정리와 동일. | |||
* 법정리 신아리(新衙里): 행정리와 동일. | |||
* 법정리 연사리(烟沙里): 행정리와 동일. | |||
* 법정리 옥포리(玉浦里): 행정리와 동일. | |||
* 법정리 학동리(鶴洞里): 행정리와 동일. | |||
* 법정리 한산리(閑山里): 행정리와 동일. 한산군도 관할 | |||
==== | ==== 흑산면(黑山面) ==== | ||
'''흑산면(黑山面)'''은 지산시의 면이다. 인구는 0명이다. 지산시에서 도서지역으로만 구성된 세 면중 하나로, 지산시 최서단에 위치하고 있다. 바다를 사이로 동쪽으로는 압해면, 동남쪽으로는 낙월면과 인접해 있다. 2022년 6월 22일 압해면 가거리, 흑산리가 분리승격하여 설립하였다. | |||
''' | |||
* 법정리 가거도리(可居島里): 행정리와 동일. 가거도 관할. 구 압해면 가거리 | |||
* 법정리 흑산리(黑山里): 행정리와 동일. 흑산군도 관할 | |||
== 경제 == | |||
지산시의 산업구조는 관광업을 비롯한 3차산업 위주이며, 그 다음으로는 1차산업, 2차산업 순으로 비중이 크다. 지산시 내에는 지산역사유적지구를 포함하여 다수의 유적지와 박물관이 분포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시민이 교육문화, 관광 및 상업시설에서 종사하고 있다. 또한 지산시 면적의 절반 이상이 임야와 농지로 분류되어 있으며 읍·면지역에 거주하는 주민 대부분은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공업 등 2차산업은 문화재 관련 규제와 자연 보호 규제로 인해서 크게 발달하지 못했다. | |||
=== 농업 === | |||
농업은 전통적으로 지산시를 대표하는 산업이다. 주요 작물로는 쌀과 밀이며, 배추 등 밭작물과 사과와 배도 재배되고 있다. 반면 낙농업과 축산업은 비중이 적다. | |||
=== | === 공업 === | ||
제조업은 대부분 경공업에 치우쳐져 있다. 시내의 주교동 봉제거리에서는 봉제업을, 아현면 안강공단에서는 농산물을 바탕으로 한 식품가공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 |||
=== 상업·서비스업 === | |||
관광업은 지산시의 대표 산업으로, 인구의 50% 이상이 관광업을 비롯한 서비스업에 종사하고 있다. 지산역사유적지구를 구성하는 월성, [[동궁과 월지]], [[황룡사]] 등의 유적지 주변은 본래 주거지구나 경작지였으나 차츰 상가와 숙박시설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 |||
=== 지산시 소재 기업 === | |||
* [[유성건설]] | |||
** 유성재단 | |||
** 유성학원 | |||
*** 유성대학교 | |||
*** 유성고등학교 | |||
** 유성대학교의료원 | |||
* [[외로운 행성]]: 출판사 | |||
* | * 황성식당: 1964년 개업. 식당 | ||
* | * 황남빵: 1938년 창업. 제과. 황남빵 개발 | ||
* | * 가수저라: 제과. 카스텔라와 스페인/포르투갈 제빵 전문 | ||
* | |||
== 교통 == | == 교통 == | ||
지산시의 교통 대부분은 도로에 의존하고 있다. 지산읍내와 황남동, 월성동 등 동지역을 잇는 지산대로는 현재 지산 교통에서 중요한 역활을 하고 있다. | 지산시의 교통 대부분은 도로에 의존하고 있다. 지산읍내와 황남동, 월성동 등 동지역을 잇는 지산대로는 현재 지산 교통에서 중요한 역활을 하고 있다. | ||
=== | === 도로 === | ||
{{블록목록/지산시의 관내도로}} | |||
* '''대로'''<ref>2020.08.01 고시</ref>: 6차선 이상의 도로 | * '''대로'''<ref>2020.08.01 고시</ref>: 6차선 이상의 도로 | ||
** 지산대로: 지산시를 동서로 관통하는 도로 | ** 지산대로: 지산시를 동서로 관통하는 도로 | ||
180번째 줄: | 483번째 줄: | ||
** 황남시장길<ref>2020.08.22 고시. 대릉원로의 종속도로</ref> | ** 황남시장길<ref>2020.08.22 고시. 대릉원로의 종속도로</ref> | ||
== | === 철도 === | ||
광역철도는 [[중앙선]]과 [[남해선]]이 통과하며, 관문역은 남면 소재의 [[지산역]]이 담당하고 있다. 고속철도의 경우 준고속 등급의 [[달리고|달리고R]]이 지산역에 정차하며, [[아리울시]] 소재의 [[아리울역]]이 환승을 통해 일부 수요를 담당한다. | |||
도시철도는 [[남해청라권 전철]] 체계에 속해있으며, 노면전차 형태의 [[지산트램|지산선]] 1개 노선이 계획되어 있다. | |||
=== 항만 === | |||
지산시 서해안은 복잡한 해안선을 가지고 있으나 대형 항만을 건설하기에는 비좁은 곳이 많아 항만 도시로 발전하지 못했다. 대신 섬이 많은 지리적 특성 때문에 도서지역과 본토를 이어주는 여객 위주로 해운이 발달하였고, 소형 항만들이 많이 발전하게 되었다. | |||
지산시 | * 지산항(후포항): 지산시의 중심 항만으로, 덕포면에 있다. 지산시 해운의 중심 항만으로 후포항과 강경읍 도서지역, 압해면 일부 섬을 연결하는 여객 노선이 많이 취항한다. 지산시의 가장 큰 어항이기도 하며, 지산에서 가장 큰 수산시장인 후포수산시장과 횟집 거리가 유명하다. | ||
* | * 욕지항: 강경읍 욕지리 소재. 욕지도의 중심 항만이다. | ||
=== 공항 === | |||
지산시 소재 공항은 없으며, 항공은 [[청라공항]]에 의존하고 있다. [[남해국제공항]]이 건설되면 항공을 통한 관광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 |||
== | == 문화·관광 == | ||
지산시는 블록의 대표적인 관광도시로, 시가지 전체에 무수한 문화재와 유적이 분포하여 그 잠재력이 높다. 남해도 기념물 7곳 중 6곳이 지산에 소재한다. | 지산시는 블록의 대표적인 관광도시로, 시가지 전체에 무수한 문화재와 유적이 분포하여 그 잠재력이 높다. 남해도 기념물 7곳 중 6곳이 지산에 소재한다. | ||
지산시의 유적군은 신라시대의 유적군인 월성지구, 황룡사지구, 대릉원지구와 조선시대의 유적군인 지산읍성과 강경읍성, 왕릉군으로 나뉜다. 그 외에도 해안방어 유적인 돈대와 진이 도서지역에 분포하며, 서면에는 지산 유일의 고려시대 유적인 혜음원이 자리한다. 근대 유산도 황남동과 지산읍성 내에 자리한 수많은 도시한옥부터 지산역과 근대문화거리 등 많은 수가 잔존해 있다. | 지산시의 유적군은 신라시대의 유적군인 월성지구, 황룡사지구, 대릉원지구와 조선시대의 유적군인 지산읍성과 강경읍성, 왕릉군으로 나뉜다. 그 외에도 해안방어 유적인 돈대와 진이 도서지역에 분포하며, 서면에는 지산 유일의 고려시대 유적인 혜음원이 자리한다. 근대 유산도 황남동과 지산읍성 내에 자리한 수많은 도시한옥부터 지산역과 근대문화거리 등 많은 수가 잔존해 있다. | ||
=== | === 문화재·유적지 === | ||
{{블록둘러보기/지산시의 문화재}} | |||
* <big>'''[[지산읍성]]'''</big> | * <big>'''[[지산읍성]]'''</big> | ||
** '''지산행궁''' | ** '''지산행궁''' | ||
* <big>''' | * <big>'''[[지산고읍성]]'''</big> | ||
: | : 조선 전기 지산군 행정의 중심지이자, 군사 유적이 남아있는 성곽 | ||
** '''지산 장관청''': 군관을 위한 관아 건물 | |||
: | |||
* <big>'''[[강경읍성]]'''</big> | * <big>'''[[강경읍성]]'''</big> | ||
216번째 줄: | 518번째 줄: | ||
* <big>'''월성지구'''</big> | * <big>'''월성지구'''</big> | ||
** '''[[ | ** '''[[동궁과 월지]]''': 안압지로도 알려져있다. 추후 발굴 복원 자료가 조사되는 대로 월지 동북쪽 구역도 복원할 계획이다. | ||
* <big>'''황룡사유적지구'''</big> | * <big>'''황룡사유적지구'''</big> | ||
: 황룡사를 비롯해 신라가옥들이 위치해있다. | : 황룡사를 비롯해 신라가옥들이 위치해있다. | ||
** '''[[ | ** '''[[황룡사]]''' | ||
** '''분황사''' | ** '''분황사''' | ||
** '''신라가옥들''' | ** '''신라가옥들''' | ||
* 사천왕사, 망덕사 | |||
* | * 불국사와 석굴암 | ||
* 혜음원 | |||
* 회암사 | |||
* 해인사, 송광사, 부석사 | |||
* 쌍봉사 | |||
=== 박물관·미술관 === | === 박물관·미술관 === | ||
* <big>''' | * <big>'''[[국립지산박물관]]'''</big> | ||
: 성인 입장료 | : 성인 입장료 무료 | ||
: 월성지구에 자리한 지산 최고의 박물관이다. 블록에서 가장 방대한 신라시대 유적 컬랙션을 보유하고 있다. 지산시의 워프센터가 관내에 자리하여 접근성도 높다. | : 월성지구에 자리한 지산 최고의 박물관이다. 블록에서 가장 방대한 신라시대 유적 컬랙션을 보유하고 있다. 지산시의 워프센터가 관내에 자리하여 접근성도 높다. | ||
256번째 줄: | 561번째 줄: | ||
=== 도서관 === | === 도서관 === | ||
* 단지도서관: 월성동 소재. 낙후된 아파트를 | * 단지도서관: 월성동 소재. 낙후된 아파트를 리모델링하여 독특한 외관을 자랑한다. | ||
=== 공연시설 === | |||
=== 전시장 === | |||
* JiTEC: 컨벤션 센터 | |||
=== 공원 === | === 공원 === | ||
* | 지산시 면적의 상당 부분을 [[대릉원]]이나 월성 등의 역사유적지구가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은 녹지 공간으로 조성되어 시민들에게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문화재 보호 문제로 인해서 편의시설 설치가 어렵고 발굴 조사 등 문화재 연구를 위해서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지산시에서는 별도의 소규모 공원을 충분히 확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
* [[비각공원]]: 황남동의 근린공원으로, 지산시 최초의 공원이다. | |||
* [[신라대종공원]]: 대릉동에 있으며, 성덕대왕신종을 복제한 신라대종이 걸려있는 종각이 부지 내에 있다. | |||
=== 주요 명소 === | |||
* <big>'''전통시장'''</big> | |||
: [[황남시장(플레이시티 블록)|황남시장]], [[강경중앙시장(플레이시티 블록)|강경중앙시장]], [[동문패션거리(플레이시티 블록)|동문의류시장]]이 지산의 3대 전통시장으로 꼽힌다. 그 외에도 법주사 앞 불교시장이나 후포수산시장 등 다양한 시장들이 있다. | |||
* 지산영상테마파크 | |||
=== 종교시설 === | |||
* <big>'''[[법주사(플레이시티 블록)|법주사]]'''</big> | |||
: 보문산 자락에 기대어있는 법주사는 6세기 중엽 당나라에서 공부하고 돌아온 의신대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오래되고 이름난 사찰답게 법주사에는 수많은 보물들이 자리하고 있다. 전통 건물 중 보기 드물다는 오층의 목탑인 팔상전부터 거대한 대웅보전과 사모지붕의 원통보전, 석등과 석련지, 당간지주 등 귀중한 문화재가 가득하다. | |||
: 실제 속리산 법주사가 모티브. | |||
* 회암사 | |||
* 해동용궁사 | |||
* 이슬람교 지산성원 | |||
* 나바위성당 | |||
* 강화성당 | |||
* 정동교회 | |||
* 성공회 계열 | |||
=== 축제 === | === 축제 === | ||
* 연등회: 매년 부처님오신날 개최. 신라시대부터 이어져오던 불교 축제이다. 황룡사를 장식하는 수많은 연등이 인상적이다. | * '''<big>연등회</big>''' | ||
: 매년 부처님오신날 개최. 신라시대부터 이어져오던 불교 축제이다. 황룡사를 장식하는 수많은 연등이 인상적이다. | |||
* '''<big>[[지산 록 페스티벌]]</big>''' | |||
: 지산시를 대표하는 록 페스티벌이다. 시청의 지원으로 무료로 열리고 있으며 지역 인디밴드 발굴에도 앞장서고 있다. | |||
:* 1회: 2020년 10월 3일, 강경읍 대저리 남강하구공원 | |||
=== 스포츠 === | |||
* '''<big>[[지산 시걸즈]](Jisan Seagulls)</big>''' | |||
: 2020년 9월 27일 창단한 야구단. 지산시청과 시민의 지원으로 운영되는 시민구단이다. 홈구장은 강경읍 대저리에 위치한 지산 야구장이다. | |||
== 교육 == | == 교육 == | ||
=== 초·중등교육기관 === | === 지산시 소재 초·중등교육기관 === | ||
* 황남초등학교 | * 황남초등학교 | ||
=== | === 지산시 소재 대학교 === | ||
문화유산이 많은 지산시답게 역사학과 미술사학, 문화재보존학에 대한 지원과 투자가 많다. 이로 인해서 지산시 소재 대학교들은 인문학 분야에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다. | 문화유산이 많은 지산시답게 역사학과 미술사학, 문화재보존학에 대한 지원과 투자가 많다. 이로 인해서 지산시 소재 대학교들은 인문학 분야에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다. | ||
* 지산대학교: 학교법인 지산대학교. | * 지산대학교: 학교법인 지산대학교. | ||
* 유성대학교: 학교법인 유성학원. | * 유성대학교: 학교법인 유성학원. 대릉동 소재. | ||
== 의료 == | == 의료 == | ||
* 유성대학교병원 | * 유성대학교병원 | ||
== | == 기관 == | ||
* [[지산시 | * 남해지산유산센터 | ||
* 남해인재개발원 | |||
* 남해혈액원 | |||
* 남해수산자원연구원 | |||
== 도시개발 == | |||
* [[지산시/행정]]: 건축 또는 입점 문의 | |||
* [[지산시/건축물 목록]] | |||
지산시의 개발사업은 시청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민간 부문의 참여는 건물 기증이나 인테리어 정도에 그치고 있으며 매우 한정적인 경우에만 건축허가를 받을 수 있었다. 지산의 폐쇄적인 성향은 건축의 질을 유지하려는 목적이었지만 도시의 성장을 위축시키는 부작용이 있었다. 지산시청에서는 2021년부터 제한적이나마 부지를 공급하여 개발 속도를 높이고 많은 건축가들이 머물 수 있는 도시로 만들고자 한다. | |||
역사적인 연유로 지산시의 도심은 지산, 강경, 월성으로 구분되어 있었으나, 남해평야에 놓인 지산과 월성은 사이에 지리적인 장애물이 없어 연담화되고 있다. 월성 지역은 동남쪽에 유적이 많이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개발 방향이 서쪽으로 제한되어 있어 연담화가 가속되고 있다. 한편 강경은 산에 둘러싸인 입지로 인해서 평지가 좁고 개발에 제약이 많아 부도심으로 평가되고 있다. 아현면 역시 월성 지역과 마찬가지로 유적이 산재하고 있어 연담화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
=== 지산시의 개발사 === | |||
지산시의 개발은 겉으로 보기에는 단속적이고 불연속적으로 보이나 계획 단계에서는 지속적인 수정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아래의 단계 구분은 흐름을 편리하게 보기 위한 것일 뿐 실제로 개발 계획 자체가 갑자기 바뀐 것은 아니다. | |||
'''<big>제1차 종합발전계획(2019.10. ~ 2020.3.)</big>''' | |||
:경기도청(현 남해도청)과 도청신도시, 전시장을 중심으로 짜여진 계획이었다. 남강을 끼고 아리울과 연담화된 시가지를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도청신도시에는 고층주거가 자리잡을 예정이었다. 2020년 3월 이후 황남동으로 개발 중심이 옮겨가면서 자연스럽게 침체되었고, 도청신도시의 도로망은 2020년 중에 자연스럽게 폐기되었다. | |||
'''<big>제2차 종합발전계획(2020.4. ~ 2020.12.)</big>''' | |||
:지산시의 발전 방향이 한옥과 문화재 위주로 전환된 시기이다. 4월 황남동 개발을 시작으로 5월에는 지산읍성 건설이 진행되어 2핵 구조의 개발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읍성과 황남동 사이의 도로망 계획이 견고하지 않았던 탓에 두 지역간의 연계가 약했고, 8월에서 9월 사이에 능참봉마을 정비 사업이 진행되면서 황남동 단핵 구조로 변화하게 된다. | |||
'''<big>제3차 종합발전계획(2020.12. ~ 2021.3.)</big>''' | |||
:1년 4개월 이상 확정되지 않아 지산시의 개발을 저해했던 도로망 계획을 확정하고 임시배치 상태로 방치되어 오던 현대 건축물을 배치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예정된 시가지 면적 또한 축소하여 저밀도 개발 기조를 확실히 하였다. 그러나 세부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있어 부지 공급이 지연되었고 건축가 유인에 실패하면서 2021년 3월 이후 개발이 사실상 중단되었다. | |||
'''<big>개발 침체기 (2021.7. ~ 현재)</big>''' | |||
:2021년 6월부터 [[중앙선]] 및 [[남해선]] 철도의 부설로 인해 [[신내시]], [[아리울시]]와의 협력 분위기가 조성되어 남강공원 및 남해도 개발 기조에 대해서 세 시장의 의견 교환이 있었고, 접경지역 개발 방향이 확정되었다. 다만 실질적인 건설 없이 침체기가 지속되면서 유의미한 발전 없이 끝나게 되었다. 2022년 다시 개발이 추진되었고 저밀도 위주의 개발과 월성과 아현에 걸친 대규모 농경지 확충, 월성 지역의 주요 문화재 재정비가 있을 예정이었으나 소득 없이 종료되었다. | |||
=== 문천신도시 사업 === | |||
지산시 남면과 [[신내시]]에 걸쳐서 조성되는 신도시이다. 명칭은 [[황남천]]의 지류이자 지산시와 신내시의 경계를 형성하는 하천인 문천에서 유래하였다. 지산역사유적지구 황룡사지구와 인접하여 문화재 보호 규제가 적용되며, 저층 위주의 단지로 조성될 예정이다. | |||
'''<big>문천신도시 1단계(2021.11. ~ )</big>''' | |||
:지산시 구역의 [[중앙선]] 선로 남측 지역이며, 주거시설보다는 상업 및 교육문화시설 위주로 개발될 예정이다. | |||
* 지산전통문화대학교 | |||
* 한성프리미엄아울렛 지산문천점 | |||
=== 문화재 정비 사업 === | |||
'''<big>지산읍성 복원 사업(2020.5. ~ 중단)</big>''' | |||
:2020년 5월부터 시작된 사업으로, 조선시대 [[지산읍성]] 및 [[지산행궁]]의 복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사업 계획이 변경되어 중단된 상태이다. | |||
'''<big>강경읍성 복원 사업(2022 예정)</big>''' | |||
:조선시대 [[강경읍성]]과 [[통제영(플레이시티 블록)|통제영]] 유적의 복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 |||
=== 마을 정비 사업 === | |||
'''<big>황남동 능참봉마을 정비 사업(2020.8. ~ 2020.9.)</big>''' | |||
:2020년 8월 22일부터 시작되었다. 가옥의 배치 개선이 주 목적이었으나 건물 외관 개선 및 보도, 시설물 개선도 사업 목표에 추가되었다. | |||
:2020년 4월 황남동 개발 당시 조화롭지 못하게 배치되었던 건물들을 개선하는 사업으로, 기존의 건물을 이건하고 새로 배치하며 필요한 경우 신축하고 있다. 영구보존 가옥을 제외한 대부분의 가옥이 영향을 받았으며, 사업 이전과 이후의 황남동의 풍경 자체가 바뀌었다고 할 만큼 대규모로 진행되고 있다. | |||
* '''1차 사업''' (2020.08.22 ~ 2020.09.04): 5필지<ref>황남시장길 35, 황남시장길 39, 황남시장길 41, 금관로 86, 금관로 90</ref> 개선을 목표로 시작하였다. 사업 중 2필지를 추가로 개선하여 총 7필지를 개선하였다. | * '''1차 사업''' (2020.08.22 ~ 2020.09.04): 5필지<ref>황남시장길 35, 황남시장길 39, 황남시장길 41, 금관로 86, 금관로 90</ref> 개선을 목표로 시작하였다. 사업 중 2필지를 추가로 개선하여 총 7필지를 개선하였다. | ||
* '''2차 사업''' (2020.09.05 ~ ): 금관로에 인접한 10필지 개선과 공공시설 건축이 | * '''2차 사업''' (2020.09.05 ~ 2020.09.28): 금관로에 인접한 10필지 개선과 공공시설 건축이 목표였으나 6필지 개선으로 마무리되었다. | ||
* 3차 사업 (2021년 이후): 마을 확장을 목표로 한다. 시행계획 준비중. | * 3차 사업 (2021년 이후): 마을 확장을 목표로 한다. 시행계획 준비중. | ||
'''<big>욕지리 섬마을 정비 사업(2022 예정)</big>''' | |||
강경읍 | :강경읍 욕지리에 항만을 건설하고 마을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 ||
* 1단계(2021년 이후): 방파제와 등대 건설. 기본계획 수립 | |||
* 2단계(2021년 이후): 주택 건설 (2개 마을 예정) | |||
* 3단계(2021년 이후): 나무 식수, 지형 정비. | |||
* 4단계(2021년 이후): 부속 도서 정비. | |||
=== 농업 진흥 사업 === | |||
남면과 월성동에 걸쳐 농경지를 조성하고 농업 관련 산업시설을 유치할 예정이다. | |||
=== 하천 정비 사업 === | |||
'''<big>황남천 하류 정비 사업(2021.11 예정)</big>''' | |||
: [[신내시]]와의 접경지역인 [[황남천]] 하류를 정비하여 친수공간과 문화·체육시설을 설치할 예정이다. | |||
== 자매결연 == | |||
* [[청산도]] [[들안시]]: 2020년 9월 24일 결연 | |||
== 갤러리 == | |||
<gallery> | |||
파일:신라대종공원.png|대릉동 [[신라대종공원]] | |||
파일:법주사.png|명륜동 [[법주사(플레이시티 블록)|법주사]] | |||
파일:지산읍성가배원.png|명륜동 지산고읍성 전경 | |||
파일:황룡사.png|월성동 [[황룡사]] | |||
파일:비각공원.png|황남동 [[비각공원]] | |||
</gallery> | |||
== 관련 | == 관련 문서 == | ||
* [[ | * [[남해도]] | ||
* [[ | * [[아리울시]] | ||
== 각주 == | == 각주 == | ||
<references/> | <references/> | ||
[[분류:지산시]] | [[분류:지산시]] |
2024년 9월 26일 (목) 11:42 기준 최신판
플레이시티 블록의 도시 | |||
---|---|---|---|
청라특별시 | |||
남해도 | |||
시 | |||
도청신내시
관문시
안천시
영해시
해주시
| |||
군 | |||
능주군
삼도군
옥도군
임피군
| |||
청산도 | |||
시 | |||
군 | |||
도청두도군
괴양군
답동군
명산군
청안군
| |||
해강도 | |||
시 | |||
도청온주시
강주시
| |||
군 | |||
고산군
교포군
조천군
| |||
염안도 | |||
시 | |||
설치예정 광역단체 | |||
동평도 | |||
시 | |||
벽천시
| |||
군 | |||
광교군
| |||
자유섬 · 폐지된 도시 |
남해도의 자치시 | |
---|---|
지산시 | |
외국어명칭 | Jisan City |
한문명칭 | 芝山市 |
시청소재지 | 서악동 (예정) |
워프소재지 | 분황로 22 국립지산박물관 (인왕동) |
광역자치단체 | 남해도 |
하위 행정구역 | 1읍 5면 9동 |
면적 | 82.62㎢ |
인구 | 648명 |
인구밀도 | 7.84명/㎢ |
상징 | |
시화 | 매화꽃 |
시목 | 은행나무 |
시조 | 참새 |
정보 | |
지역번호 | 03 |
도시코드 | JSN |
클럽 | DIAMOND CLUB |
마일스톤 | |
창립자 | Geff |
시장 | Jingseum |
등록일 | 2019년 8월 25일 등록 1924일째 |
웹사이트 | 지산시 공식 웹사이트 |
지산시(芝山市한자 Jisan City영어)는 플레이시티 블록 남해도의 기초자치단체이다.
블록 내의 대표적인 한옥 중점 도시로, 주로 신라시대 건축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조선시대 사찰과 성곽 건축, 근현대 도시한옥까지 다양한 시대의 한국 건축을 만날 수 있는 도시이기도 하다.
역사
연혁
- 2019.8.25. 지산시 등록. 워프 지정 (동궁과 월지 정전)
- 2019.10. 지산시 워프 변경 (동궁과 월지 정전 → 황룡사)
- 2019.11. 지산시 워프 변경 (황룡사 → 아현면 JiTEC 예정지)
- 2020.11.22. 지산시 워프 변경 (아현면 JiTEC 예정지 → 월성동 마루광장)
- 2020.12.15. 지산시 1차 행정구역 대개편 (2읍 5면 3동 → 1읍 5면 7동)
- 2023.09.01. 지산시 2차 행정구역 대개편 (1읍 7면 7동 → 1읍 5면 9동)
설정상 역사
지산시는 역사적으로 다른 고을이었던 지산군, 강경도호부, 월성군, 예지현이 합쳐져 형성되었다.
지산군(芝山郡)
지산 지역은 원삼국시대 지매벌국(支買伐國)이 있었던 곳으로 비정된다. 신라시대에는 지평현(知平縣)이었는데, 산지에 반월성 방어를 위한 산성들이 건설되었으며, 고려시대에는 영산현(永山縣)이었으나 월성군의 속현으로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다.
고려 말 전란으로 월성 지역이 쇠락하자 지산군과 아라군이 각각 남해도 서부와 동부의 중심 지역으로 대두된다. 그 이름이 지산시까지 이어진 것 처럼 지산군 지역은 현재에도 지산시의 도심으로 자리잡아 활기참을 뽐내고 있다. 현재는 지산읍, 덕포면 서부에 해당한다.
강경도호부(江景都護府)
강경 지역은 원래 지산과 별개의 고을이었으며, 서해에서 남해평야로 들어오는 관문항 역할을 했던 곳이다. 현재 강경 북부 지역의 평야는 과거에는 바다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산지 사이에 자리한 복잡한 해안선과 강 하구라는 지리적 위치로 인해서 항만이 형성되어 발전한 것으로 생각된다.
삼국시대에는 풍경현(風景縣)으로 불렸으며, 읍치는 현재의 문수리와 대저리에 걸쳐 자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시대에는 읍치의 위치는 변하지 않고 강경현(江景縣)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그러나 15세기 초에 남강 하구가 퇴적으로 막히면서 옛 읍치가 항구로 기능할 수 없게 되어 미륵산 남쪽인 현재의 읍치로 이동하게 된다.
조선 초에는 고을의 격을 낮추어 강천현(江川縣)으로 불렀으나, 강천군(江川郡)으로 승격하였고, 임진왜란 이후 수도 청라를 방어하는 군사적 중요성이 강조되어 강경도호부로 승격된다. 이로 인해서 남해우수영이 자리하게 되고 강경읍성도 군사적 목적에 알맞게 개축되었다. 조선 후기에는 강경 부속 도서에 해안 방어를 위한 보와 진, 돈대가 추가로 건설되기도 하였다.
현재는 육지 지역인 강경읍과 덕포면의 동부, 도서지역인 압해면으로 나뉘어져 있다.
월성군(月城郡)
삼국시대 남해도의 중심지로, 고려와 조선을 거치며 쇠락하여 조선 초에 지산군에 합병되기에 이른다.
예지현(禮知縣)
산과 바다에 둘러싸인 고을인 예지현은 다른 지역과 교류가 어려워 별개의 지역성을 가졌던 곳이다.
지산의 근대
지산읍성 남쪽 성곽이 헐린 뒤, 일제가 주도한 지산군의 개발은 남쪽으로 이어졌다. 전란과 개발로 많은 수가 사라지긴 했지만 아직도 읍성 바깥에는 많은 근대건축물이 남아 역사의 아픔을 보여주고 있다.
지리
지산시는 (-5200, 12700)를 중심으로 플레이시티 블록 중남부, 남해도 북부에 자리잡은 도시이다. 전반적으로 서고동저의 지형이다. 지산시의 진산인 영산(永山)부터 미륵산, 보문산, 인왕산, 두륜산, 현남산, 검단산 등 많은 산이 서쪽과 남쪽 해안을 감싸고 있으며, 동쪽은 남강의 퇴적으로 형성된 드넓은 남해평야의 일부이다. 서쪽은 서해이며, 동쪽과 북쪽은 남강을 경계로 아리울시와 접경하고 있고, 동쪽은 문천과 황남천을 경계로 신내시와 자연 경계를 형성하고 있다. 지산시 최북단은 강경읍 욕지면의 나리도이며, 최서단은 압해면 가거도, 최남단은 남면 검단산, 최동단은 아현면 두물머리이다.
산
청라특별시 청남산에서 시작하는 영암산맥(靈巖山脈)이 남해도 서쪽으로 내려오며 형성된 산지는 지산시 관할 지역에 수많은 산들을 남겼다. 산지가 많기 때문에 지산시의 녹지 비율도 서버에서 높은 축에 속한다.
- 영산(永山): 지산시의 진산으로, 옛 지산군의 처소인 지산읍성과 법주사가 이 산 능선에 걸쳐있다.
- 미륵산(彌勒山): 옛 강경도호부의 진산으로, 처소인 강경읍성과 조선의 왕사로 불리던 고찰인 회암사가 자리잡고 있다.
- 보문산: 덕포면의 중앙부에 자리한 산이다. 미륵산과 함께 강경만의 입구를 형성하고 있다.
- 인왕산: 지산읍과 덕포면, 서면에 걸쳐 자리한 산이다.
- 두륜산: 지산읍과 서면에 걸친 산이다.
- 천마봉: 두륜산의 부속 봉우리이다.
- 깃대봉: 깃대산성이 축성되어 있다.
- 현남산: 남면에 자리한 산이다. 현남산성이 자리한다.
- 검단산: 남면에 자리한 산으로, 안봉과 함께 지산시의 남쪽 경계를 형성하고 있다.
- 한산: 압해면 고현도 중앙에 자리한 산이다.
하천
산지가 많고 해안 지역에 위치해 습윤한 지산시의 특성상 강수량이 많으며, 이로 인해서 많은 하천이 발달해 있다. 서고동저의 지형 특성상 대부분의 하천은 서에서 동으로 흘러 남강으로 합류한다.
지산 지역의 중심 하천은 황남천(皇南川)으로, 인왕산에서 발원한 인왕천과 영산에서 발원한 영천, 속리천등이 지산읍성 남쪽에서 합류하여 형성된 하천이다. 지산읍성 남쪽에서 동남쪽으로 흐르던 물줄기는 월성에 다다르기까지 동쪽으로 흐르다 검단산에서 발원한 문천(蚊川)과 합류하여 동북쪽으로 흐름을 바꾼다. 이후 황남천은 신내시와의 경계를 따라 흐르며,두물머리에서 남강에 합류한다. 남강은 남해평야에서 가장 거대한 하천으로, 지산시의 동남쪽에서 서북 방향으로 흘러 대저리 부근에서 서해 바다로 흘러나간다
남해평야의 하천들은 평야 지역을 자연적으로 구분하는 경계 역할을 했다. 남강은 월성, 강경지역과 아리울을 구분하였고, 황남천과 문천은 월성과 신내 지역을 구분하는 역할을 했다. 지산과 월성 지역의 전통적인 경계는 계천(界川)으로, 영산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흘러 황남천에 합류하는 하천이었다.
섬
남해도의 섬 | |
---|---|
신내시 | |
아리울시 | 대열각도 · 소열각도 · 비천도 · 송도 · 파월도 · 망향도 · 토끼섬 · 입해도 · 선인도 · 낭거선인도 · 중거선인도 · 통선인도 · 김낭도 · 초도 · 거적도 · 소거적도 · 원양도 · 조도 · 낙송도 · 천수도 · 소고도 · 비열도 · 적벽도 · 굴각도 · 현무도 |
지산시 | 가거도 · 가덕도 · 가조도 · 각이도 · 격렬비도 · 꼬막섬 · 나리도 · 낙산도 · 낙월군도 (상낙월도 · 하낙월도) · 녹도 · 다물도 · 대물도 · 대둔도 · 대죽도 · 등대섬 · 만재도 · 비도 · 사랑도 · 삼학도 (상삼학도 · 하삼학도) · 소대물도 · 소죽도 · 송이도 · 아암도 · 안마도 · 압해도 · 어청도 · 오도 · 옥내도 · 외연도 · 위도 · 태도군도 (상태도 · 하태도 · 소태도 · 국홀섬) · 파랑도 · 하중도 · 학림도 · 한산도 · 황도 · 해도 · 호도 · 홍도 |
지산시의 해안은 복잡한 만과 곶, 그리고 수많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해에 드넓게 분포한 섬들로 인해서 지산시 관할 해역은 서버에서 가장 넓다. 압해면은 섬으로만 구성된 행정구역으로, 지산시 관할 해역의 절반 가량을 담당하고 있다.
강경읍 소속
- 가덕도: 덕암리 소속.
- 대저도(大渚島): 남강 하구에 위치한 하중도이다.
- 두미군도: 전역이 두미리에 속한다
- 두미도
- 바깥노루섬·안노루섬
- 쌍바위섬
- 사랑도: 추흥리 소속. 삼학도 남동쪽에 자리한다.
- 아암도: 덕암리 소속. 퇴적작용으로 인해 최근에 본토와 연결되었다.
- 욕지군도(欲知群島): 지산에서 가장 북쪽에 자리한 군도이다.
- 욕지도(欲知島): 위치 (-6900, 4050). 욕지군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전역이 욕지리에 속한다.
- 소욕지도: 욕지도의 부속섬
- 삼여도: 욕지도의 부속섬
- 상노대도·하노대도
- 연화도
- 초도·소초도
- 큰울섬·작은울섬
- 낭도·시소도
- 나리도(羅里島): 지산시 최북단의 섬이다. 강경읍 욕지리에 속해있다. 인근의 나리초에 해양과학기지가 건립될 예정이다.
- 욕지도(欲知島): 위치 (-6900, 4050). 욕지군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전역이 욕지리에 속한다.
덕포면 소속
- 상삼학도(上參鶴島): 삼학리 소속
- 하삼학도(下參鶴島): 삼학리 소속. 삼학리 마을이 자리잡은 섬이다.
- 등대섬: 강경만 가운데에 자리잡은 섬으로, 강경만등대가 위치한다.
압해면 소속
- 압해도(押海島): 블록에서 두번째로 큰 섬이자, 부속도서 중에서는 가장 큰 섬이다. 압해면의 중심지이다.
- 가거도(可居島): 지산시 최서단의 섬이다. 가거초 종합해양과학기지가 인근 해상에 자리하고 있다.
- 파랑군도(波浪群島)
- 파랑도(波浪島): 위치 (-11230, 4850)
- 대매랑도
- 소매랑도
- 상도
- 흑산군도(黑山群島)
- 흑산도(黑山島): 위치 (-13500, 8300)
- 홍도
- 영산도
- 외영산도
- 대둔도
- (가칭)깃대군도
서면 소속
- 가조도
- 낙산도
- 옥녀도
- 비조군도(飛鳥群島): 서면 남쪽의 지산만에 자리잡은 섬들을 일컫는다.
- 비도(飛島)
- 조도(鳥島)
- 비쭉섬
- 철쭉섬
- 부표바위
- 동곰섬
남면 소속
아현면 소속
- (가칭)하중도: 남강의 하중도로, 아리울과 접경하고 있다.
해양
지산시 관할 해역은 남해도와 해강도 육지 사이로 서해가 깊이 만입해 들어오는 곳으로, 유입하천이 적어 염도가 높은 서해의 해수와 많은 유입하천으로 인해 낮은 염도를 보이는 내해가 만나는 만큼 원해와 근해의 특징이 모두 나타나며 어종 등 생태 측면에서도 독특한 특징을 보이는 곳이다.
(가칭)지산만은 하구시 남단과 파랑도, 압해도를 잇는 선 동부 해역으로, 남강과 성산강이 유입되고, 청라해협을 통해 내해와 연결되어 상대적으로 해수의 염도가 낮으며 유입되는 퇴적물로 인해서 혼탁하고 수심도 전반적으로 얕은 특성을 보인다.
지산만 서쪽의 먼바다는 많은 섬이 분포하나 큰 육지와 멀고 수심도 더 깊다. 직접적으로 큰 해류가 지나가지는 않지만 서해 남쪽에서 올라오는 해류의 영향권에 있으며, 전반적으로 유속이 빠른 편이다.
내소만은 지산시 남면과 내소군 사이에 위치한 해역이다. 얕은 수심과 큰 조수간만의 차에 의해서 넓은 간석지가 형성되었으며 블록 최대의 갯벌 생태계를 간직하고 있다.
지질
기후·환경
인구
지산시 인구 추이 |
---|
2020년 68명 |
2021년 648명 |
2022년 648명 |
2023년 648명 |
현재 648명 |
지산의 인구는 총 648명이다. 지산은 남해도에서 3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며, 블록에서 인구 집계가 된 지자체 중에서 인구가 3번째로 적은 곳이다.
지산시의 인구가 적은 원인으로는 저밀도 위주의 개발 정책을 들 수 있다. 지산 개발 초기의 인구 밀집지역었던 황남동부터 저밀도 한옥으로 개발되었던 점에서 알 수 있다. 2021년 들어 황오동에 지산시 최초의 아파트 단지가 건설되었지만 저층으로 계획되어 기존의 저밀도 개발 기조가 이어지고 있다. 지산시 마스터플랜 상에서도 상당한 면적이 저밀도 주거구역으로 예정되어 고밀도 주거 위주로 개발하는 다른 도시에 비해서 인구 증가가 더딜 수 밖에 없다. 또한 2021년 이후로 관내의 개발 사업이 대부분 좌초되며 건설 경기 침체가 이어지는 것도 한 몫 하고 있다.
지산시는 도시의 영향력 면에서는 남해도 제2의 도시로 인식되고 있지만 인구 측면에서는 2위가 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남해도 행정도시가 예고된 신내시의 개발로 남해도 내 인구 순위가 이미 2위에서 3위로 밀려났으며, 기존 1위 도시인 아리울의 개발 역시 지속적으로 진행중이라 앞으로도 인구 순위가 유지될 전망이다.
행정구역
지산시의 행정구역 | ||||||||||||||||||||||||||||||||||||||||||||||||||||||||||||
---|---|---|---|---|---|---|---|---|---|---|---|---|---|---|---|---|---|---|---|---|---|---|---|---|---|---|---|---|---|---|---|---|---|---|---|---|---|---|---|---|---|---|---|---|---|---|---|---|---|---|---|---|---|---|---|---|---|---|---|---|
행정동 | 법정동 | |||||||||||||||||||||||||||||||||||||||||||||||||||||||||||
행궁동 | 북수동 | 숭인동 | 연무동 | |||||||||||||||||||||||||||||||||||||||||||||||||||||||||
장안동 | 화령동 | |||||||||||||||||||||||||||||||||||||||||||||||||||||||||||
종로동 | 남교동 | 종로1가 | 종로2가 | 종로3가 | ||||||||||||||||||||||||||||||||||||||||||||||||||||||||
충효동 | 충신동 | 효제동 | 시청 흥무동 | |||||||||||||||||||||||||||||||||||||||||||||||||||||||||
서악동 | 서악동 | 선도동 | ||||||||||||||||||||||||||||||||||||||||||||||||||||||||||
황남동 | 황남동 | 흥륜동 | 사정동 | |||||||||||||||||||||||||||||||||||||||||||||||||||||||||
사정동 | 노서동 | 지천동 | ||||||||||||||||||||||||||||||||||||||||||||||||||||||||||
대릉동 | 노동동 | 연건동 | ||||||||||||||||||||||||||||||||||||||||||||||||||||||||||
연지동 | 영동 | |||||||||||||||||||||||||||||||||||||||||||||||||||||||||||
이화동 | 성동동 | |||||||||||||||||||||||||||||||||||||||||||||||||||||||||||
황오동 | 황오동 | |||||||||||||||||||||||||||||||||||||||||||||||||||||||||||
월성동 | 교동 | 구황동 | 인왕동 | |||||||||||||||||||||||||||||||||||||||||||||||||||||||||
읍·면 | 법정리 | |||||||||||||||||||||||||||||||||||||||||||||||||||||||||||
강경읍 | 달성리 | 대양리 | 성내리 | 연산리 | ||||||||||||||||||||||||||||||||||||||||||||||||||||||||
용당리 | 용연리 | 용해리 | 적사리 | |||||||||||||||||||||||||||||||||||||||||||||||||||||||||
법성면 | 건천리 | 광명리 | 금척리 | 모량리 | ||||||||||||||||||||||||||||||||||||||||||||||||||||||||
법성리 | 서곶리 | 진내리 | ||||||||||||||||||||||||||||||||||||||||||||||||||||||||||
보은면 | 구로리 | 삼산리 | 오릉리 | |||||||||||||||||||||||||||||||||||||||||||||||||||||||||
이평리 | 임성리 | 효현리 | ||||||||||||||||||||||||||||||||||||||||||||||||||||||||||
아현면 | 내리 | 배반리 | 보문리 | |||||||||||||||||||||||||||||||||||||||||||||||||||||||||
안강리 | 온수리 | |||||||||||||||||||||||||||||||||||||||||||||||||||||||||||
압해면 | 가거도리 | 홍도리 | (미정) | |||||||||||||||||||||||||||||||||||||||||||||||||||||||||
예지면 | 가마리 | 사동리 | 성산리 | |||||||||||||||||||||||||||||||||||||||||||||||||||||||||
예지리 | 현곡리 | 후포리 | ||||||||||||||||||||||||||||||||||||||||||||||||||||||||||
시청소재지 : 서악동(흥무동) |
2023년 9월 1일 기준 지산시의 행정구역은 1읍 5면 9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름 | 한자 | 면적 | 세대 | 인구 |
---|---|---|---|---|
강경읍 | 江景邑 | 0 | 0 | |
남면 | 南面 | 0 | 0 | |
덕포면 | 德浦面 | 0 | 0 | |
서달면 | 徐達面 | 0 | 0 | |
아현면 | 阿峴面 | 0 | 0 | |
압해면 | 押海面 | 0 | 0 | |
대릉동 | 大陵洞 | 0 | 0 | |
명륜동 | 明倫洞 | 0 | 0 | |
성남동 | 城南洞 | 0 | 0 | |
월성동 | 月城洞 | 0 | 0 | |
행궁동 | 行宮洞 | 0 | 0 | |
황남동 | 皇南洞 | 17 | 68 | |
황오동 | 皇吾洞 | 144 | 576 | |
지산시 | 芝山市 | 82.62 | 162 | 648 |
지산시의 행정구역 개편 연혁은 다음과 같다.
- 2019년 8월 25일: 지산시 설립. 아라면, 아현동 설치 (1면 1동)
- 2019년 8월 26일: 산남면 설치 (2면 1동)
- 2019년 12월 7일: 산남면 폐지 후 강경읍, 월성면, 도청동, 행주동 설치 / 아현동을 아현1동, 아현2동으로 분동 / 아라면을 아리울시에 반환 (1읍 1면 4동)
- 2020년 4월 5일: 월성면 황남리를 황남동으로 승격, 월성면 잔여지역을 월성동으로 승격 (1읍 6동)
- 2020년 4월 22일: 지산읍, 남면, 덕포면, 서면, 아현면, 압해면, 인왕면 설치 / 도청동, 아현1동, 아현2동, 행주동 폐지 (2읍 6면 2동)
- 2020년 10월 15일: 인왕면 폐지 (2읍 5면 2동)
- 2020년 11월 11일: 지산읍 성내리가 행궁동으로 승격 (2읍 5면 3동)
- 2020년 12월 15일: 지산읍 폐지 후 대릉동, 명륜동, 성남동 승격. 아현면 황오리가 황오동으로 승격. (1읍 5면 7동)
- 2022년 6월 22일: 압해면 조도리를 낙월면으로, 압해면 가거리, 흑산리를 흑산면으로 승격 (1읍 7면 7동)
- 2023년 5월 7일: 서면을 서달면으로 개칭
- 2023년 9월 1일 (예정): 남면을 보은면으로, 서달면을 법성면으로, 덕포면을 예지면으로 개칭, 낙월면과 흑산면을 압해면으로, 명륜동을 대릉동으로 편입, 성남동을 서악동과 충효동으로, 행궁동 남부를 종로동으로, 황남동 서부를 사정동으로 분할 (1읍 5면 9동)
동 지역
대릉동(大陵洞)
대릉동(大陵洞)은 지산시의 행정동이다. 인구는 0명이다. 2020년 12월 15일 아현면 노동리, 노서리가 승격하여 설립하였다. 동쪽으로는 황오동, 서쪽으로는 명륜동, 남쪽으로는 성남동과 황남동, 북쪽으로는 아현면과 맞닿아 있다. 대릉동의 명칭은 대릉원에서 유래하였다. 대릉원 지구의 일부인 노서동 고분군과 노동동 고분군이 대릉동에 있다.
대릉동은 조선시대 지산군과 월성군, 강경도호부가 맞닿는 지역에 해당하여 세 고을을 오가는 교통로의 성격을 띄고 있었다. 대표적으로 수도 청라부에서 지산군으로 이어지는 주 교통로였던 남해대로가 대릉동의 서부를 관통하고 있었다. 삼거리 주막이 있던 대릉동 일대가 도시화 된 것은 일제시대부터이다. 도시개발로 삼거리가 오거리로 확장되었고, 1928년 민족 자본으로 설립된 유성대학교가 연건동으로 교사를 이전하면서 대릉동은 일제시대 지산의 주요 상업중심지로 탈바꿈하였다.
현재의 대릉동은 여전히 지산시의 주요 상권으로 남아있다. 다만 노서동 고분군과 노동동 고분군의 존재로 인해서 높은 건물을 신축할 수 없게 되면서 추가적인 성장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대릉동은 아래 다섯 법정동의 영역을 관할하고 있다.
- 법정동 남해로3가(南海路3街)
- 법정동 남해로4가(南海路4街)
- 법정동 노동동(路東洞)
- 법정동 노서동(路西洞)
- 법정동 연건동(蓮建洞)
명륜동(明倫洞)
명륜동(明倫洞)은 지산시의 행정동이다. 인구는 0명이다. 지산시 중앙에 자리잡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아현면과 대릉동, 서쪽으로는 행궁동, 남쪽으로는 성남동, 북쪽으로는 덕포면, 강경읍과 경계를 맞닿고 있다. 2020년 12월 15일 지산읍 법주사리, 아현면 창신리 등이 승격하여 설립하였다. 명칭의 유래는 관내에 위치한 지산향교이다.
명륜동은 영산 남쪽의 계곡을 끼고 발달한 곳으로, 지산읍성 내에서 수용하기 어려운 인구를 대신 받아들이는 역할을 했다. 일제시대에는 성남동 신시가지에 거주하기 어려웠던 가난한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주교동과 창신동은 일제시대 지산에서 유일하게 조선인이 상권을 쥐고 있던 곳이었으며, 수많은 도시한옥이 건립되어 현재의 반촌 한옥마을을 형성하게 되었다.
명륜동은 신라시대에 세워진 고찰인 법주사부터 지산고읍성, 지산향교 등 조선시대 문화재, 그리고 창신동과 주교동의 근대건축물 등 풍부한 문화유산을 가진 지역으로, 관광지로서의 잠재력이 높은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명륜동은 아래 일곱 법정동의 영역을 관할하고 있다.
- 법정동 명륜동(明倫洞)
- 법정동 법주사동(法住寺洞): 법주사만을 관할한다.
- 법정동 수송동(壽松洞)
- 법정동 연수동(延壽洞): 영천 동쪽만 관할한다.
- 법정동 일주동(一株洞)
- 법정동 주교동(舟橋洞)
- 법정동 창신동(昌信洞)
성남동(城南洞)
성남동(城南洞)은 지산시의 행정동이다. 인구는 0명이다. 2020년 12월 15일 지산읍 남천리, 아현면 서정리, 황서리가 승격하여 설립되었다.
조선시대 성남동은 지산군의 식량을 담당하던 논밭이 가득한 들판이었지만, 일제시대에 지산부청과 남해도청을 성남동에 건설하고 도시계획을 시작하며 지산시의 중심 지역으로 발달하게 되었다. 현재에도 성남동은 지산시의 행정과 상업을 대부분 담당하고 있으며, 지산시의 주요 택지지구이기도 하다.
성남동은 아래 여덟 법정동의 영역을 관할하고 있다.
- 법정동 남천동(南川洞)
- 법정동 남해로1가(南海路1街)
- 법정동 남해로2가(南海路2街)
- 법정동 도청로1가(道廳路1街)
- 법정동 도청로2가(道廳路2街)
- 법정동 사정동(沙正洞)
- 법정동 성건동(城乾洞)
- 법정동 성남동(城南洞): 지산시청 소재지
월성동(月城洞)
월성동(月城洞)은 지산시의 행정동이다. 인구는 0명이다. 지산시 동남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황남천을 경계로 신내시와 맞닿아 있으며, 서쪽은 황남동과, 남쪽은 남면과, 북쪽은 황오동과 맞닿아있다. 현재의 월성동은 2020년 4월 5일 구 월성면 월성리와 구황리가 승격하여 설립되었다.
월성동 지역은 역사적으로 월성군의 중심지였다. 신라시대에는 반월성이라는 이름으로 남해평야 지역에서 가장 번성하던 지역이었으며, 이는 월성동과 주변 지역에서 출토되는 수많은 신라시대의 문화재에서 증명된다. 고려시대 이후 월성이 쇠락하면서 월성동 지역 역시 쇠락하였고, 조선시대에는 월성동 지역 대부분이 농경지로 사용되었다.
월성동 면적의 대부분은 역사유적지구인 월성지구와 황룡사지구가 차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서 개발에 많은 제한이 걸려있고 인구 역시 감소하고 있다. 반대로 관광 측면에서는 장점이 많은데, 역사유적지구 자체 뿐만이 아니라 지산시 전역에서 발굴된 유물을 전시하는 국립지산박물관이 월성동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월성동은 아래 두 법정동의 영역을 관할하고 있다.
- 법정동 인왕동(仁旺洞): 구 월성면 인왕리로, 월성지구와 동궁과 월지가 속한 곳이다.
- 법정동 구황동(九黃洞): 구 월성면 구황리로, 황룡사지구가 속한 곳이다.
행궁동(行宮洞)
행궁동(行宮洞)은 지산시의 행정동이다. 인구는 0명이다. 2020년 11월 11일 지산읍 성내리가 승격하여 설립되었다.
지산읍은 원삼국시대 지매벌국의 중심지로 비정되고 있다. 신라시대에는 반월성의 속현인 지평현이었으며, 고려시대에는 영산현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조선시대에 현재의 지명인 지산군으로 바뀌었으며, 행정중심지였던 지산읍성이 축조되었다.
지산읍은 지산대로를 중심으로 형성된 업무지구부터 조선시대의 모습을 되찾아가는 지산읍성 한옥보존지구까지 다채로운 모습을 가지고 있다. 전반적으로 북쪽은 관광과 업무지구로, 남쪽은 주거지구로 구성되어 있다.
행궁동은 아래 다섯 법정동의 영역을 관할하고 있다.
- 법정동 화령동(華寧洞): 지산읍성 성안 서부를 관할한다.
- 법정동 숭인동(崇仁洞): 지산읍성 성안 동부을 관할한다. 명칭은 동문인 숭인문에서 유래하였다.
- 법정동 의흥동(義興洞): 지산읍성 성안 남부를 관할한다. 명칭은 서문인 선의문과 남문인 흥례문에서 한 글자씩 딴 것이다.
- 법정동 양천동(兩川洞): 지산읍성 성밖 남쪽을 관할한다.
- 법정동 연수동(延壽洞): 영천 서쪽만 관할한다.
황남동(皇南洞)
황남동(皇南洞)은 지산시의 행정동이다. 인구는 68명이다. 지산시 동남부에 위치해 있으며, 동쪽으로는 월성동, 서쪽으로는 성남동, 북쪽으로는 대릉동과 황오동, 남쪽으로는 남면과 맞닿아있다. 2020년 4월 5일 구 월성면 황남리가 승격하여 설립되었다. 지명의 유래는 황릉, 황씨묘로 불리던 대릉원 남쪽이라 황남으로 이어졌다던 설과 황촌(현 월성동, 아현면 중부리 추정) 남쪽이라고 하여 황남동이라고 불려졌다는 설이 있다.
황남동은 블록의 대표적인 저밀도 주거지구이자 한옥밀집지구이다. 문화재구역으로 지정된 곳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전통가옥으로 가득 차 있다. 대릉원 담장부터 첨성로까지 방대한 구역에 걸쳐서 가옥들이 펼쳐져 있다. 이런 특징 떄문에 지산시 자체적으로도 한옥보존지구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한옥 보존과 신축에 많은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인접 지역에 대릉원과 월성지구 등 문화재가 많기 때문에 관광객들이 많다. 이로 인해서 주거지구였던 황남동 내에도 상업시설들이 많이 세워지고 있다. 특색있는 분위기를 찾아 유입된 예술가들과 청년사업가들에 의해서 게스트하우스나 카페들이 생겨나고 있으며, 가배원 등 프렌차이즈 카페도 입점하는 추세이다. 또한 전통시장인 황남시장과 기존에 존재했던 가게와 식당 역시 활기를 찾고 있다.
황남동은 아래 두 법정동의 영역을 관할하고 있다.
- 법정동 재매정동(財買井洞): 구 아현면 재매정리. 2020년 12월 15일 황남동에 편입되었다.
- 법정동 황남동(皇南洞)
황오동(皇吾洞)
황오동(皇吾洞)은 지산시의 행정동이다. 인구는 576명이다. 동쪽과 북쪽으로는 아현면, 서쪽으로는 대릉동, 남쪽으로는 황남동, 월성동과 경계가 맞닿아있다. 2020년 12월 15일 아현면 황오리가 승격하여 설립되었다.
대부분은 농경지이며, 대릉동과 맞닿은 서쪽에 연담화된 주거지구가 존재한다. 대릉원 쪽샘지구와 남고루, 전랑지 등의 사적지가 다수 분포하고 있지만 연구가 충분히 되지 않아서 복원사업은 추진되고 있지 않다.
황오동은 아래 두 법정동의 영역을 관할하고 있다.
- 법정동 성동동(城東洞): 전랑지가 위치한 곳이다.
- 법정동 황오동(皇吾洞)
읍·면 지역
강경읍(江景邑)
강경읍(江景邑)은 지산시의 읍이다. 인구는 0명이다.
강경읍은 원래 지산과 별개의 고을이었으며, 조선시대 강경도호부로 수도 청라의 방위를 담당하는 중요한 위치의 고을이었다. 남해수군통제사가 근무하는 통제영이 자리잡았으며, 강경도호부성과 산성, 진성, 돈대 등이 본토와 부속 도서에 건설되었다. 일제시대 이후 성곽이 헐리고 지산 지역의 개발이 가속되면서 강경 지역은 상대적으로 개발에서 소외되었다.
옛 강경도호부에 속하던 많은 부속도서가 압해면으로 독립하였지만 강경읍이 관할하는 섬 역시 많다. 지산 최북단 섬인 나리도가 강경읍 욕지리 관할이다. 강경읍성 앞에는 붉은 모래로 된 해변이 있는데, 예로부터 강경을 상징하는 해변으로 강경의 별칭이 적사(赤沙)가 된 이유이기도 하다.
강경읍에는 읍성 외에도 많은 문화재가 산재한다. 조선왕릉군중 가장 거대한 규모의 남구릉이 있고, 선교장, 강경향교 등 조선시대 사대부와 관련된 유적들이 많다. 조선초기 왕사이자 행궁으로 기능했던 회암사도 강경의 문화유산이다.
강경읍은 다음 10개 리를 관할하고 있다.
- 법정리 대저리(大渚里): 남강 하구가 자리한다.
- 법정리 덕암리
- 법정리 두미리
- 법정리 문수리
- 법정리 성남리(城南里): 적사해변과 카페거리가 있다.
- 법정리 성동리(城東里): 성동문 바깥으로 강경중앙시장이 자리한다. 주거지구의 비율이 높다.
- 법정리 성산리: 구 압해리
- 법정리 욕지리(欲知里): 지산시 최북단 행정구역으로, 최북단 섬인 나리도가 속해있다.
- 법정리 읍내리(邑內里): 읍사무소 소재지
- 법정리 추흥리
낙월면(落月面)
낙월면(落月面)은 지산시의 면이다. 인구는 0명이다. 지산시에서 도서지역으로만 구성된 세 면중 하나로, 지산시 최서단에 위치하고 있다. 바다를 사이로 동북쪽으로는 압해면, 동남쪽으로는 서면, 남쪽으로는 남해 제4지자체, 서쪽으로는 흑산면과 인접해 있다. 2022년 6월 22일 압해면 조도리가 승격하여 설립하였다.
- 법정리 조도리(鳥島里): 행정리와 동일. 조도군도 관할
남면(南面)
남면(南面)은 지산시의 면이다. 인구는 0명이다. 지산시 남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신내시, 서쪽으로는 서면, 북쪽으로는 성남동, 황남동, 월성동, 남쪽으로는 바다를 경계로 남해 제4지자체와 맞닿아있다.
남면은 지산의 외곽 지역 중 드물게 평지가 많은 곳이었기에 예전부터 경작지로 활용되어 왔다. 일제시대 이후 지산 시가지가 남쪽으로 팽창하였지만 도시화의 혜택은 남면까지 미치지 못하였으며, 현대에도 남면은 농업을 주 산업으로 하는 농촌 지역으로 남아있다.
지산시와 신내시에 걸쳐 조성되는 문천신도시의 부지로 남산리와 교동리가 선정되었다. 개발이 완료된 후에는 남산동으로 행정구역이 분리될 예정이다.
남면은 다음 7개 리를 관할하고 있다.
- 법정리 교동리(校洞里): 교촌한옥마을과 인용사지가 위치한 곳. 문천신도시 예정지이다.
- 법정리 나정리(羅亭里)
- 법정리 남산리(南山里): 지산전통문화대학교 예정지이다.
- 법정리 삼릉리(三陵里): 면사무소 소재지. 지명은 조선 왕릉인 지산 삼릉에서 유래하였다.
- 법정리 오릉리(五陵里): 지명은 신라 왕릉인 지산 오릉에서 유래하였다.
- 법정리 전촌리(典村里)
- 법정리 현남리(縣南里)
덕포면(德浦面)
덕포면(德浦面)은 지산시의 면이다. 인구는 0명이다. 지산시 북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강경읍, 서쪽으로는 압해면, 남서쪽으로는 서면, 남쪽으로는 행궁동, 명륜동과 맞닿아있다.
덕포면은 조선시대에는 후포(後浦)로 불렸으며, 지산군의 외항으로 기능했다. 일제시대 이후 강경이 항만의 기능을 상실하면서 덕포항이 명실상부한 지산의 주요 항만이 되었다. 그러나 산 사이에 둘러싸인 지형 특성상 항만의 확장이 어려워 크게 발전하지 못했다. 현재는 압해면, 강경읍의 부속 도서와 지산 본토를 연결하는 여객선이 다니며, 지산시 최대의 수산시장으로 유명한 곳이다.
서달면(西達面)
서달면(西達面)은 지산시의 면이다. 인구는 0명이다. 지산시 서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행궁동, 성남동, 서쪽으로는 서해, 북쪽으로는 압해면, 남쪽으로는 남면, 내소군과 경계를 맞닿고 있다. 2023년 5월 7일 서면(西面)에서 개칭하였다.
서달면은 영암산맥에 가로막혀 남해평야와 분리된 지역으로 고려시대까지는 예지현으로 불리며 지산과는 독자적인 고을이었다. 그러나 고을의 규모가 너무 작아 조선 초기에 행정구역을 정리하며 지산군과 합병하여 현재에 이르게 된다.
아현면(阿峴面)
아현면(阿峴面)은 지산시의 면이다. 인구는 0명이다. 지산시 동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아리울시와 신내시, 서쪽으로는 지산읍, 북서쪽으로는 강경읍, 남쪽으로는 남면, 남동쪽으로는 월성동과 황남동과 경계를 맞닿고 있다.
아현면은 월성동과 황남동 승격 이후 구 월성면의 잔여지역이 개칭한 것이다. 현재 7리가 속해있다.
- 법정리 난지리(卵池里): 행정리와 동일
- 법정리 내리(內里): 행정리와 동일
- 법정리 능지리(陵只里): 행정리와 동일
- 법정리 배반리(排盤里): 행정리와 동일
- 법정리 아현리(阿峴里): 행정리와 동일
- 법정리 안강리(安康里): 행정리와 동일
- 법정리 합강리(合江里): 행정리와 동일
압해면(押海面)
압해면(押海面)은 지산시의 면이다. 인구는 0명이다. 지산시에서 도서지역으로만 구성된 세 면중 하나로, 바다를 사이로 동쪽으로는 강경읍, 동남쪽으로는 덕포면, 남쪽으로는 서면, 서남쪽으로는 낙월면, 서쪽으로는 흑산면과 접해 있다.
지산 관할 섬 중 가장 거대한 압해도를 중심으로 하며, 파랑도, 욕지도, 나리도 등의 넓게 퍼진 부속도서를 관할한다.
- 법정리 고현리(古縣里): 행정리와 동일. 면사무소 소재지
- 법정리 둔덕리(屯德里): 행정리와 동일.
- 법정리 신아리(新衙里): 행정리와 동일.
- 법정리 연사리(烟沙里): 행정리와 동일.
- 법정리 옥포리(玉浦里): 행정리와 동일.
- 법정리 학동리(鶴洞里): 행정리와 동일.
- 법정리 한산리(閑山里): 행정리와 동일. 한산군도 관할
흑산면(黑山面)
흑산면(黑山面)은 지산시의 면이다. 인구는 0명이다. 지산시에서 도서지역으로만 구성된 세 면중 하나로, 지산시 최서단에 위치하고 있다. 바다를 사이로 동쪽으로는 압해면, 동남쪽으로는 낙월면과 인접해 있다. 2022년 6월 22일 압해면 가거리, 흑산리가 분리승격하여 설립하였다.
- 법정리 가거도리(可居島里): 행정리와 동일. 가거도 관할. 구 압해면 가거리
- 법정리 흑산리(黑山里): 행정리와 동일. 흑산군도 관할
경제
지산시의 산업구조는 관광업을 비롯한 3차산업 위주이며, 그 다음으로는 1차산업, 2차산업 순으로 비중이 크다. 지산시 내에는 지산역사유적지구를 포함하여 다수의 유적지와 박물관이 분포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시민이 교육문화, 관광 및 상업시설에서 종사하고 있다. 또한 지산시 면적의 절반 이상이 임야와 농지로 분류되어 있으며 읍·면지역에 거주하는 주민 대부분은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공업 등 2차산업은 문화재 관련 규제와 자연 보호 규제로 인해서 크게 발달하지 못했다.
농업
농업은 전통적으로 지산시를 대표하는 산업이다. 주요 작물로는 쌀과 밀이며, 배추 등 밭작물과 사과와 배도 재배되고 있다. 반면 낙농업과 축산업은 비중이 적다.
공업
제조업은 대부분 경공업에 치우쳐져 있다. 시내의 주교동 봉제거리에서는 봉제업을, 아현면 안강공단에서는 농산물을 바탕으로 한 식품가공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업·서비스업
관광업은 지산시의 대표 산업으로, 인구의 50% 이상이 관광업을 비롯한 서비스업에 종사하고 있다. 지산역사유적지구를 구성하는 월성, 동궁과 월지, 황룡사 등의 유적지 주변은 본래 주거지구나 경작지였으나 차츰 상가와 숙박시설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지산시 소재 기업
- 유성건설
- 유성재단
- 유성학원
- 유성대학교
- 유성고등학교
- 유성대학교의료원
- 외로운 행성: 출판사
- 황성식당: 1964년 개업. 식당
- 황남빵: 1938년 창업. 제과. 황남빵 개발
- 가수저라: 제과. 카스텔라와 스페인/포르투갈 제빵 전문
교통
지산시의 교통 대부분은 도로에 의존하고 있다. 지산읍내와 황남동, 월성동 등 동지역을 잇는 지산대로는 현재 지산 교통에서 중요한 역활을 하고 있다.
도로
지산시의 관내도로 | |
---|---|
고속도로 | |
남해국제공항고속도로 | |
간선도로 | |
대로 | |
금성대로 · 남강대로 · 남해대로 · 지산대로 | |
로 | |
ㄱ | 계림로 · 금관로 |
ㄷ | 대릉원로 · 대종로 · 대학로 · 도청로 |
ㅂ | 봉황로 · 북정로 |
ㅅ | 성동로 |
ㅇ | 원화로 · 원효로 |
ㅊ | 첨성로 |
길 | |
법주사길 · 황남시장길 |
- 대로[1]: 6차선 이상의 도로
- 지산대로: 지산시를 동서로 관통하는 도로
- 남해대로: 지산시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도로
- 계림대로: 남북도로. 강경읍에서 황남동 서쪽까지 이어진다.
- 월성대로: 아현면 서부에서 지산박물관 앞 로터리까지 이어진다.
- 강경로: 강경읍과 아리울 서부를 연결한다.
- 금성로: 남해대로와 계림대로 사이에 위치한 보조간선
- 로[2]
- 금관로: 남북도로로 황남동의 중심 도로이다.
- 금관로1길: 금관로와 황남시장길 사이를 잇는 골목
- 천마로: 대릉원 서쪽 경계에 해당한다.
- 첨성로: 월성 역사유적지구 북서쪽 경계에 해당한다.
- 첨성로1길: 첨성로와 천마로 사이를 연결한다. 황남로의 종점이 위치해있다.
- 첨성로3길: 숭혜전 서쪽 골목.
- 금관로: 남북도로로 황남동의 중심 도로이다.
- 길
- 황남시장길[3]
철도
광역철도는 중앙선과 남해선이 통과하며, 관문역은 남면 소재의 지산역이 담당하고 있다. 고속철도의 경우 준고속 등급의 달리고R이 지산역에 정차하며, 아리울시 소재의 아리울역이 환승을 통해 일부 수요를 담당한다.
도시철도는 남해청라권 전철 체계에 속해있으며, 노면전차 형태의 지산선 1개 노선이 계획되어 있다.
항만
지산시 서해안은 복잡한 해안선을 가지고 있으나 대형 항만을 건설하기에는 비좁은 곳이 많아 항만 도시로 발전하지 못했다. 대신 섬이 많은 지리적 특성 때문에 도서지역과 본토를 이어주는 여객 위주로 해운이 발달하였고, 소형 항만들이 많이 발전하게 되었다.
- 지산항(후포항): 지산시의 중심 항만으로, 덕포면에 있다. 지산시 해운의 중심 항만으로 후포항과 강경읍 도서지역, 압해면 일부 섬을 연결하는 여객 노선이 많이 취항한다. 지산시의 가장 큰 어항이기도 하며, 지산에서 가장 큰 수산시장인 후포수산시장과 횟집 거리가 유명하다.
- 욕지항: 강경읍 욕지리 소재. 욕지도의 중심 항만이다.
공항
지산시 소재 공항은 없으며, 항공은 청라공항에 의존하고 있다. 남해국제공항이 건설되면 항공을 통한 관광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문화·관광
지산시는 블록의 대표적인 관광도시로, 시가지 전체에 무수한 문화재와 유적이 분포하여 그 잠재력이 높다. 남해도 기념물 7곳 중 6곳이 지산에 소재한다.
지산시의 유적군은 신라시대의 유적군인 월성지구, 황룡사지구, 대릉원지구와 조선시대의 유적군인 지산읍성과 강경읍성, 왕릉군으로 나뉜다. 그 외에도 해안방어 유적인 돈대와 진이 도서지역에 분포하며, 서면에는 지산 유일의 고려시대 유적인 혜음원이 자리한다. 근대 유산도 황남동과 지산읍성 내에 자리한 수많은 도시한옥부터 지산역과 근대문화거리 등 많은 수가 잔존해 있다.
문화재·유적지
지산시의 문화재 |
국보 |
황룡사 구층목탑 (1) |
사적 |
동궁과 월지 (1) · 황룡사 (2) |
시도유형문화재 |
법주사 팔상전 (2) · 황룡사 중문 (4) |
시도기념물 |
월성 (2) · 지산고읍성 (4) · 강경읍성 (5) · 법주사 (7) · 대릉원 (9) · 춘양교지와 월정교지 (10) |
시도등록문화재 |
비지정문화재 |
황남동 선정비 |
- 지산읍성
- 지산행궁
- 조선 전기 지산군 행정의 중심지이자, 군사 유적이 남아있는 성곽
- 지산 장관청: 군관을 위한 관아 건물
- 강경읍성은 해안 방위를 위하여 산과 바다를 끼고 축조된 성으로, 강경도호부의 행정중심이기도 하였다. 남도수군 통제사가 지휘하던 통제영이 성 내에 위치한다.
- 통제영
- 대릉원지구
- 월성지구
- 동궁과 월지: 안압지로도 알려져있다. 추후 발굴 복원 자료가 조사되는 대로 월지 동북쪽 구역도 복원할 계획이다.
- 황룡사유적지구
- 황룡사를 비롯해 신라가옥들이 위치해있다.
- 황룡사
- 분황사
- 신라가옥들
- 사천왕사, 망덕사
- 불국사와 석굴암
- 혜음원
- 회암사
- 해인사, 송광사, 부석사
- 쌍봉사
박물관·미술관
- 성인 입장료 무료
- 월성지구에 자리한 지산 최고의 박물관이다. 블록에서 가장 방대한 신라시대 유적 컬랙션을 보유하고 있다. 지산시의 워프센터가 관내에 자리하여 접근성도 높다.
- 유성대학교 박물관
- 성인 입장료 5,000원
- 지산성곽박물관
- 성인 입장료 6,000원
- 지산시립박물관
- 성인 입장료 무료
- 한글박물관
- 성인 입장료 6,000원
- 한옥박물관
- 성인 입장료 6,000원
- 지산아츠
- 지산 하중도 문화예술섬에 있는 미술관이다.
- 성인 입장료 8,000원
- 하중도선사유적전시관
- 성인 입장료 무료
도서관
- 단지도서관: 월성동 소재. 낙후된 아파트를 리모델링하여 독특한 외관을 자랑한다.
공연시설
전시장
- JiTEC: 컨벤션 센터
공원
지산시 면적의 상당 부분을 대릉원이나 월성 등의 역사유적지구가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은 녹지 공간으로 조성되어 시민들에게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문화재 보호 문제로 인해서 편의시설 설치가 어렵고 발굴 조사 등 문화재 연구를 위해서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지산시에서는 별도의 소규모 공원을 충분히 확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주요 명소
- 전통시장
- 지산영상테마파크
종교시설
- 보문산 자락에 기대어있는 법주사는 6세기 중엽 당나라에서 공부하고 돌아온 의신대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오래되고 이름난 사찰답게 법주사에는 수많은 보물들이 자리하고 있다. 전통 건물 중 보기 드물다는 오층의 목탑인 팔상전부터 거대한 대웅보전과 사모지붕의 원통보전, 석등과 석련지, 당간지주 등 귀중한 문화재가 가득하다.
- 실제 속리산 법주사가 모티브.
- 회암사
- 해동용궁사
- 이슬람교 지산성원
- 나바위성당
- 강화성당
- 정동교회
- 성공회 계열
축제
- 연등회
- 매년 부처님오신날 개최. 신라시대부터 이어져오던 불교 축제이다. 황룡사를 장식하는 수많은 연등이 인상적이다.
- 지산시를 대표하는 록 페스티벌이다. 시청의 지원으로 무료로 열리고 있으며 지역 인디밴드 발굴에도 앞장서고 있다.
- 1회: 2020년 10월 3일, 강경읍 대저리 남강하구공원
스포츠
- 지산 시걸즈(Jisan Seagulls)
- 2020년 9월 27일 창단한 야구단. 지산시청과 시민의 지원으로 운영되는 시민구단이다. 홈구장은 강경읍 대저리에 위치한 지산 야구장이다.
교육
지산시 소재 초·중등교육기관
- 황남초등학교
지산시 소재 대학교
문화유산이 많은 지산시답게 역사학과 미술사학, 문화재보존학에 대한 지원과 투자가 많다. 이로 인해서 지산시 소재 대학교들은 인문학 분야에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다.
- 지산대학교: 학교법인 지산대학교.
- 유성대학교: 학교법인 유성학원. 대릉동 소재.
의료
- 유성대학교병원
기관
- 남해지산유산센터
- 남해인재개발원
- 남해혈액원
- 남해수산자원연구원
도시개발
- 지산시/행정: 건축 또는 입점 문의
- 지산시/건축물 목록
지산시의 개발사업은 시청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민간 부문의 참여는 건물 기증이나 인테리어 정도에 그치고 있으며 매우 한정적인 경우에만 건축허가를 받을 수 있었다. 지산의 폐쇄적인 성향은 건축의 질을 유지하려는 목적이었지만 도시의 성장을 위축시키는 부작용이 있었다. 지산시청에서는 2021년부터 제한적이나마 부지를 공급하여 개발 속도를 높이고 많은 건축가들이 머물 수 있는 도시로 만들고자 한다.
역사적인 연유로 지산시의 도심은 지산, 강경, 월성으로 구분되어 있었으나, 남해평야에 놓인 지산과 월성은 사이에 지리적인 장애물이 없어 연담화되고 있다. 월성 지역은 동남쪽에 유적이 많이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개발 방향이 서쪽으로 제한되어 있어 연담화가 가속되고 있다. 한편 강경은 산에 둘러싸인 입지로 인해서 평지가 좁고 개발에 제약이 많아 부도심으로 평가되고 있다. 아현면 역시 월성 지역과 마찬가지로 유적이 산재하고 있어 연담화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지산시의 개발사
지산시의 개발은 겉으로 보기에는 단속적이고 불연속적으로 보이나 계획 단계에서는 지속적인 수정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아래의 단계 구분은 흐름을 편리하게 보기 위한 것일 뿐 실제로 개발 계획 자체가 갑자기 바뀐 것은 아니다.
제1차 종합발전계획(2019.10. ~ 2020.3.)
- 경기도청(현 남해도청)과 도청신도시, 전시장을 중심으로 짜여진 계획이었다. 남강을 끼고 아리울과 연담화된 시가지를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도청신도시에는 고층주거가 자리잡을 예정이었다. 2020년 3월 이후 황남동으로 개발 중심이 옮겨가면서 자연스럽게 침체되었고, 도청신도시의 도로망은 2020년 중에 자연스럽게 폐기되었다.
제2차 종합발전계획(2020.4. ~ 2020.12.)
- 지산시의 발전 방향이 한옥과 문화재 위주로 전환된 시기이다. 4월 황남동 개발을 시작으로 5월에는 지산읍성 건설이 진행되어 2핵 구조의 개발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읍성과 황남동 사이의 도로망 계획이 견고하지 않았던 탓에 두 지역간의 연계가 약했고, 8월에서 9월 사이에 능참봉마을 정비 사업이 진행되면서 황남동 단핵 구조로 변화하게 된다.
제3차 종합발전계획(2020.12. ~ 2021.3.)
- 1년 4개월 이상 확정되지 않아 지산시의 개발을 저해했던 도로망 계획을 확정하고 임시배치 상태로 방치되어 오던 현대 건축물을 배치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예정된 시가지 면적 또한 축소하여 저밀도 개발 기조를 확실히 하였다. 그러나 세부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있어 부지 공급이 지연되었고 건축가 유인에 실패하면서 2021년 3월 이후 개발이 사실상 중단되었다.
개발 침체기 (2021.7. ~ 현재)
- 2021년 6월부터 중앙선 및 남해선 철도의 부설로 인해 신내시, 아리울시와의 협력 분위기가 조성되어 남강공원 및 남해도 개발 기조에 대해서 세 시장의 의견 교환이 있었고, 접경지역 개발 방향이 확정되었다. 다만 실질적인 건설 없이 침체기가 지속되면서 유의미한 발전 없이 끝나게 되었다. 2022년 다시 개발이 추진되었고 저밀도 위주의 개발과 월성과 아현에 걸친 대규모 농경지 확충, 월성 지역의 주요 문화재 재정비가 있을 예정이었으나 소득 없이 종료되었다.
문천신도시 사업
지산시 남면과 신내시에 걸쳐서 조성되는 신도시이다. 명칭은 황남천의 지류이자 지산시와 신내시의 경계를 형성하는 하천인 문천에서 유래하였다. 지산역사유적지구 황룡사지구와 인접하여 문화재 보호 규제가 적용되며, 저층 위주의 단지로 조성될 예정이다.
문천신도시 1단계(2021.11. ~ )
- 지산시 구역의 중앙선 선로 남측 지역이며, 주거시설보다는 상업 및 교육문화시설 위주로 개발될 예정이다.
- 지산전통문화대학교
- 한성프리미엄아울렛 지산문천점
문화재 정비 사업
지산읍성 복원 사업(2020.5. ~ 중단)
강경읍성 복원 사업(2022 예정)
마을 정비 사업
황남동 능참봉마을 정비 사업(2020.8. ~ 2020.9.)
- 2020년 8월 22일부터 시작되었다. 가옥의 배치 개선이 주 목적이었으나 건물 외관 개선 및 보도, 시설물 개선도 사업 목표에 추가되었다.
- 2020년 4월 황남동 개발 당시 조화롭지 못하게 배치되었던 건물들을 개선하는 사업으로, 기존의 건물을 이건하고 새로 배치하며 필요한 경우 신축하고 있다. 영구보존 가옥을 제외한 대부분의 가옥이 영향을 받았으며, 사업 이전과 이후의 황남동의 풍경 자체가 바뀌었다고 할 만큼 대규모로 진행되고 있다.
- 1차 사업 (2020.08.22 ~ 2020.09.04): 5필지[4] 개선을 목표로 시작하였다. 사업 중 2필지를 추가로 개선하여 총 7필지를 개선하였다.
- 2차 사업 (2020.09.05 ~ 2020.09.28): 금관로에 인접한 10필지 개선과 공공시설 건축이 목표였으나 6필지 개선으로 마무리되었다.
- 3차 사업 (2021년 이후): 마을 확장을 목표로 한다. 시행계획 준비중.
욕지리 섬마을 정비 사업(2022 예정)
- 강경읍 욕지리에 항만을 건설하고 마을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 1단계(2021년 이후): 방파제와 등대 건설. 기본계획 수립
- 2단계(2021년 이후): 주택 건설 (2개 마을 예정)
- 3단계(2021년 이후): 나무 식수, 지형 정비.
- 4단계(2021년 이후): 부속 도서 정비.
농업 진흥 사업
남면과 월성동에 걸쳐 농경지를 조성하고 농업 관련 산업시설을 유치할 예정이다.
하천 정비 사업
황남천 하류 정비 사업(2021.11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