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산고읍성
芝山古邑城
남해도 기념물 제4호
지산고읍성청키.png
정보
분류 성곽
수량/면적
지정연도 2020년 8월 26일
시대 조선
소유 지산시
관리 지산시
위치
주소 남해도 지산시 명륜동

소개

지산고읍성지산시 명륜동에 위치한 조선시대의 성곽이다.

지산고읍성은 조선 전기 지산군의 행정 중심으로 기능하였으며, 성곽시설이 온전하고 내부의 관아가 일부 남아있어 조선시대 읍성의 원형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남해도 기념물 제4호로 지정되었다.

문화재 설명

역사

지산고읍성은 지산군의 옛 진산인 영산의 산줄기에 걸쳐 축조되었다. 고려시대에 지산 지역은 영산현이라고 불렸는데, 이름에서 알 수 있듯 고려시대와 그 이전에는 고읍성지 일대가 지산의 중심지였다고 생각된다. 당시의 성곽은 토성으로 추정된다. 조선 전기에 접어들면서 성곽은 석성으로 보수되었으며, 옹성, 치성 등의 방어시설이 이 시기에 갖추어졌다.

임진왜란 이후, 지방 성곽을 보수하는 과정에서 남해도에 여러 성곽이 축조되었다. 지산고읍성은 내부가 협소하여 성곽을 확장할 필요가 있었으나, 지산행궁과 이를 둘러싸는 새 읍성을 축조하기로 하면서 버려지게 된다. 1690년 읍치가 새로운 지산읍성으로 이전되면서 고읍성은 이후 군사 훈련 용도로 사용되게 된다. 1706년에는 고읍성 내로 장관청(將官廳)이 옮겨오게 되며, 활쏘기를 위한 사정(射亭)을 건립하거나 능행 때 훈련을 했다는 기록들이 남아있다.

일제시대 폐성령이 내려졌으나 지산고읍성은 이미 기능을 상실하였고 규모도 협소하여 크게 훼손되지 않은 채 방치되었다. 현대에 들어서는 특별히 보존을 위한 노력을 하지는 않았지만, 2020년부터 지산시청 차원에서 성곽을 보수하고 주변을 정비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상세

지산고읍성은 옛 진산(鎭山)인 영산의 산줄기를 따라 평야를 감싸는 평산성 형태로 축조되었으며, 남북 2개의 문을 두었다. 산줄기의 형세 때문에 북문은 북서쪽을 바라보고, 남문은 동쪽에 가깝게 치우져 있다.

성문

  • 남문: 창신문(昌信門)
해미읍성 남문인 진남문를 모티브로 하였으며, 명칭은 개성 나성의 성문 중 하나에서 따왔다. 단층 문루의 평거식 성문으로, 반원형의 옹성이 설치되어 있다. 성문 안쪽에는 옛 지산군수의 선정비가 모여있는 비림(碑林)이 자리하고 있다.
  • 북문: 창의문(彰義門)
고창읍성 북문인 공북루를 모티브로 하였으며, 명칭은 한양도성 북소문인 창의문에서 따왔다. 개거식 성문으로, 이층 문루와 반원형의 옹성이 설치되어 있다.

성곽 시설

  • 선교대(船橋臺)
남쪽 성벽의 치성 위에 세워진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 누각이다. 지대가 높고 주변이 트여있어 군사 지휘소인 장대(將臺)의 역할도 겸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암문과 용도(甬道)
선교대 서쪽에는 암문으로 통하는 계단이 있다. 암문 밖으로 나오면 양쪽이 성곽으로 둘러싸이고 남쪽으로 길게 이어진 길이 나오는데, 이를 용도라고 한다. 용도는 공격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관아와 내부시설

  • 지평관(知平館): 조선 전기의 지산군 객사였다. 19세기 중반에 화재로 소실된 것을 재건하며 규모가 줄어들었다.
  • 장관청(將官廳): 군관이 근무하던 관아이다.
  • 형옥(刑獄): 죄인을 가둬두던 곳으로, 건물 두 채를 원형의 담장이 감싸는 형태이다.
  • 안풍루(安風樓)와 안풍지(安風池): 정면 3칸, 측면 2칸의 이층 누각으로, 4칸은 마루로, 2칸은 온돌로 되어 있는 특이한 구조이다. 누각 앞에는 사각형의 연못이 있다.
  • 사모정: 정면 1칸, 측면 1칸의 이름이 정해지지 않는 정자이다. 성벽에 붙어있어 근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읍성공원

  • 고읍성공원
    • 민속광장, 지산5일장
    • 판소리마당
    • 장경효 고택: 19세기 후반 판소리 명창 장경호가 기거하던 가옥.
    • 고읍성숲길

관람 정보

주변 시설

  • 반촌한옥마을: 19~20세기 도시한옥을 볼 수 있는 한옥마을
  • 법주사: 고읍성 옆에 자리한 천년 고찰

각주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