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버가이드 |
---|
소개 · 가이드 · 명령어 · 스키매틱 |
서버생활 |
기념일 · 개장안내 · 서버 터진 시각 공시 · 신청 · 블록TV · 서버정보 · 업데이트 로그 |
맵 |
맵 · 자연지리 · 교통 · 철도 |
행정 |
블록정부 · 지방행정 · 도시통계 아파트 · 마일스톤 |
경제 |
기업 · 기업통계 · 시공평가액 |
사회문화 |
교육 · 문화유산 · 관광 |
법령 |
도시건축법 · 교통법 · 상법 · 블록표준 |
문서 템플릿 · 운영지침 |
플레이시티 블록의 행정 제도에 관한 문서이다.
행정구역
블록의 행정구역 체계는 대한민국의 것을 상당 부분 차용하고 있으나, 세부적인 면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광역자치단체
2019년 10월 8일 설치되었다. 남해도, 청산도, 해강도, 염안도가 해당하며, 청라특별시는 서버 직할 도시로 자치권이 없지만 광역자치단체급으로 취급한다.
기초자치단체
블록의 근간을 이루는 지방행정조직이다. 기초자치단체 1곳은 유저 1인이 운영하며, 서버 단위의 사업에 방해되지 않는 선에서 자체적으로 도시 개발을 진행할 수 있다.
종류로는 시(市)와 군(郡)이 존재한다. 명칭에 따른 권한의 차이는 없으나, 군 하위에는 일반구를 설치할 수 없으며, 하위 행정구역으로 동을 사용할 수 없다. 승격 및 격하에 있어서 특별한 절차는 없다.
또한 특정 목적을 지닌 더미기초자치단체가 존재하여 각 도에 소속되지만 청라특별시와 동일하게 블록도시계획위원회에서 운영한다. 청라특별시를 대신해 건설 부지를 공급하기도 하며, 주변 지역의 님비시설을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자치구는 청라특별시 산하의 구로, 기초자치단체급으로 취급한다. 이름과 달리 실제로는 행정적 구분이며 기초자치단체로 기능하지 않는다.
일반구·읍·면·동
읍(邑), 면(面), 동(洞)은 기초자치단체 하위에 설치되며, 도시 지역에는 읍 또는 동을, 농촌 지역에는 면을 설치하는 것을 권장한다. 군 산하에는 동을 둘 수 없다. 읍 또는 면 하위에는 리(里)를 설치한다.
일반구(區)는 시 산하의 행정구역이다. 현실과 달리 설치에 제한은 없지만 도시의 규모가 크지 않다면 가급적 설치하지 않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플레이시티 블록의 기초자치단체 구 목록 | |||||
---|---|---|---|---|---|
도시 | 소속 광역자치단체 | 도시 정보 | |||
구명 | 시행일 | 계 | 1구 평균면적 (㎢/계)[1] | ||
감천시 | 청산도 | 남구·북구 | 2022년 3월 1일 | 2 | 18.88 |
다올시 | 해강도 | 가온구·누리구·로운구·새롬구·아름구 | 2022년 12월 1일 | 5 | 12.37 |
동림시 | 청산도 | 만안구·중원구 | 2021년 3월 1일 | 2 | 10.73 |
미리내시 | 청산도 | 중구·성서구 | 2024년 10월 9일 | 2 | 18.64 |
성안시 | 청산도 | 강진구·도원구·종명구 | 2022년 11월 18일 | 3 | 31.48 |
신내시 | 남해도 | 정암구·평안구 | 2022년 3월 1일 | 2 | 34.18 |
아리울시 | 남해도 | 도성구·중구·동안구 | 2020년 8월 1일 | 3 | 22.93 |
양정시 | 청산도 | 양원구·화신구 | 2022년 12월 1일 | 2 | 10.41 |
은산시 | 청산도 | 석포구·경원구 | 2023년 2월 16일 | 2 | 10.63 |
퇴계령시 | 해강도 | 상구·하구 | 2021년 5월 9일 | 2 | 15.35 |
한밭시 | 해강도 | 한려구·덕성구 | 2023년 8월 28일 | 2 | 28.87 |
함학시 | 해강도 | 동호구·남서구·북구 | 2021년 5월 7일 | 3 | 39.14 |
온주시 | 해강도 | 서구·동구 | 2023년 5월 29일 | 2 | 22.48 |
하위 행정구역
- 각 행정구역 청사(시청, 군청, 구청, 행정복지센터 등)의 좌표를 기재합니다.
- 동은 행정동을 기준으로 합니다. (행정복지센터는 행정동을 기준으로 설치됨)
청라특별시(靑羅特別市)
민림구(民林區)
북구(北區)
서구(西區)
영동구(永東區)
중구(中區)
남해도(南海道)
금일시(錦日市)
내소군(來蘇郡)
- 주내읍(州內邑)
- 구지면(龜旨面)
- 시북면(柴北面)
- 은현면(隱縣面)
- 현도면(玄島面)
신내시(新內市)
- 평안구
- 정암구
아리울시(아리울市/亞利屋市)
펼치기![]() |
---|
- 도성구(都城區) - 산하 4동 (3법정동)
- 중구(中區) - 산하 11동 (74법정동)
- 동안구(東岸區)
지산시(芝山市)
![]() |
---|
펼치기지산시의 행정구역 |
---|
산하 1읍 7면 7동 (30법정동)
- 강경읍(江景邑)
- 낙월면(落月面)
- 조도리(鳥島里)
- 남면(南面)
- 교동리(校洞里)
- 나정리(羅亭里)
- 남산리(南山里)
- 삼릉리(三陵里)
- 오릉리(五陵里)
- 전촌리(典村里)
- 현남리(縣南里)
- 덕포면(德浦面)
- 서면(西面)
- 아현면(阿峴面)
- 난지리(卵池里)
- 내리(內里)
- 능지리(陵只里)
- 배반리(排盤里)
- 아현리(阿峴里)
- 안강리(安康里)
- 합강리(合江里)
- 압해면(押海面)
- 고현리(古縣里)
- 둔덕리(屯德里)
- 신아리(新衙里)
- 연사리(烟沙里)
- 옥포리(玉浦里)
- 학동리(鶴洞里)
- 한산리(閑山里)
- 흑산면(黑山面)
- 가거도리(可居島里)
- 흑산리(黑山里)
- 대릉동(大陵洞)
- 명륜동(明倫洞)
- 성남동(城南洞)
- 월성동(月城洞)
- 행궁동(行宮洞)
- 황남동(皇南洞)
- 황오동(皇吾洞)
청산도(靑山道)
감천시(感川市)
- 남구
- 송도1동
- 송도2동
- 송도3동
- 호명동
- 북구
- 도남동
- 광교동
두도군(豆島郡)
산하 1읍
- 두도읍(豆島邑)
- 읍내리(邑內里)
- 청전리(靑田里)
- 성죽리(城竹里)
- 전촌리(前村里)
- 망상리(望上里)
- 청경리(淸京里)
- 유평리(有平里)
동림시(東林市)
펼치기![]() |
---|
- 만안구
- 솔뫼동(솔뫼洞)
- 신촌동(新村洞)
- 신촌본동(新村本洞)
- 상원1동(相援1洞)
- 상원2동(相援2洞)
- 상원3동(相援3洞)
- 상원4동(相援4洞)
- 상원5동(相援5洞)
- 장안동(長安洞)
- 이서1동(二西1洞)
- 이서2동(二西2洞)
- 이서3동(二西3洞)
- 세곡1동(細谷1洞)
- 세곡2동(細谷2洞)
- 세곡3동(細谷3洞)
- 율현1동(栗峴1洞)
- 율현2동(栗峴2洞)
- 별내구
- 광교1동(光敎1洞)
- 광교2동(光敎2洞)
- 광교3동(光敎3洞)
- 서림동(西林洞)
- 남광교동(南光敎洞)
- 호원동(虎院洞)
- 중교동(中橋洞)
- 종명동(鐘鳴洞)
- 월촌1동(月村1洞)
- 월촌2동(月村2洞)
- 영장사동(靈長寺洞)
- 월곡동(月谷洞)
- 상수동(上水洞)
- 동암동(動巖洞)
- 충현동(忠賢洞)
- 동학1동(洞壑1洞)
- 동학2동(洞壑2洞)
- 선일동(先日洞)
- 정촌동(井村洞)
- 북일동(北一洞)
들안시(들안市/坪內市)
산하 1읍 1면 2동(3법정동)
- 덕곡읍(德谷邑)
- 독진면(獨辰面)
- 초량동(草梁洞)
- 신월동(新月洞)
미리내시(미리내市)
펼치기![]() |
---|
산하 2구 18법정동 35행정동 7가
- 성서구
- 상성1동(想成一洞)
- 상성2동(想成二洞)
- 은하1동(銀河一洞)
- 은하2동(銀河二洞)
- 대천동(大川洞)
- 울섬동(울섬洞)
- 주월1동(洲月一洞)
- 주월2동(洲月二洞)
- 주월3동(洲月三洞)
- 주월4동(洲月四洞)
- 주월5동(洲月五洞)
- 새울1동(塞亐一洞)
- 새울2동(塞亐二洞)
- 안남1동(岸南一洞)
- 안남2동(岸南二洞)
- 성빈1동(星彬一洞)
- 성빈2동(星彬二洞)
- 원사동(園社洞)
- 소도동(小島洞)
- 동도동(東島洞)
- 대평동(大坪洞)
- 동천동(東川洞)
- 중구
- 도월동(島月洞)
- 신연1동(新緣一洞)
- 신연2동(新緣二洞)
- 마자지동(馬子池洞)
- 수하동(水蝦洞)
- 금난1동(金蘭一洞)
- 금난1동(金蘭一洞)
- 청임1동(靑林一洞)
- 청임2동(靑林二洞)
- 청임3동(靑林三洞)
- 반배동(飯配洞)
- 임전동(林田洞
- 성당1동(聖堂一洞)
- 성당2동(聖堂二洞)
- 시청동(市廳洞)
- 문앞1가(門앞一街)
- 문앞2가(門앞二街)
- 문앞3가(門앞三街)
- 내아못1가(內衙못一街)
- 내아못2가(內衙못二街)
- 내아못3가(內衙못三街)
- 내아못4가(內衙못四街)
- 성대동(星大洞)
산주시(山州市)
서면군(西面郡)
산하 1읍 6면
- 서면읍(西面邑)
- 송천면(松泉面)
- 대룡면(大龍面)
- 소천면(蔬川面)
- 도기면(桃基面)
- 한량면(閑梁面)
- 가양면(檟陽面)
성안시(城安市)
펼치기![]() |
---|
- 종명구(鐘明區)
- 강진구(江津區)
- 도원구(桃源區)
신현시(新縣市)
펼치기![]() |
---|
산하 4동 1읍
- 상정동(桑庭洞)
- 양운동(陽雲洞)
- 연서동(連胥洞)
- 청경동(靑境洞)
- 주령읍(主令邑)
심양시(沈阳市)
양정시(良正市)
- 화신구
- 양원구
여명시(黎明市)
산하 2동
- 승리 (胜利/Seungri)
- 주체 (主體/Juche)
오천시(五泉市)
- 도월구(道月區)
산하 3동
- 삼산동 (三山洞/Samsan-dong)
- 선월동 (船月洞/Seonwol-dong)
- 덕연동 (德蓮洞/Deogyeon-dong)
- 덕례구(德禮區)
산하 3동
- 풍덕동 (豊德洞/Pungdeok-dong)
- 성황동 (城隍洞/Seonghwang-dong)
- 가곡동 (佳谷洞/Gagok-dong)
월산시(樾山市)
은산시(殷山市)
- 석포구(石浦區)
산하 3동 5행정동 1도
- 서북1동(西北1洞)
- 서북2동(西北2洞)
- 의성1동(上岩1洞)
- 의성2동(上岩2洞)
- 다전동(多田洞)
- 경원구(景原區)
산하 2동
- 지구동(地球洞)
- 화신동(禍神洞)
- 월강도(越江島)
평천군(平泉郡)
화명시(華明市)
펼치기![]() |
---|
산하 8동 3리 (3법정동/1법정읍)
- 화정동
- 광포동
- 월하동
- 화정동
- 중앙동
- 남포동
- 미래동
- 중앙동
- 서강동
- 서강동
- 도아동
- 금남읍
- 금남리
- 남양리
- 전천리
해강도(海江道)
경천시(慶川市)
다산시(茶山市)
다올시(다올市)
동명시(東銘市)
망원시(望元市)
산하 1동
- 공단1동
북청군(北靑郡)
여산시(麗山市)
- 산하 1면 5동
행정동과 법정동이 동일하다.
- 원목면(圓睦面)
- 금림동(金林洞)
- 목진동(艒津洞)
- 여천동(麗天洞)
- 주안동(輳雁洞)
- 효천동(虓泉洞)
온주시(溫州市)
온주시의 행정구역 |
---|
펼치기 |
---|
산하 1읍 1면 3동 (4법정동)
- 호전읍(湖田邑)
- 학성면(鶴城面)
- 온양1동: 법정동 온천동(溫泉洞) 관할
- 온양2동: 법정동 동신동, 오사진동(墺事津洞) 관할
- 하남동(河南洞): 법정동 하남동(河南洞) 관할
퇴계령시(退溪翎市)
하구시(河口市)
한밭시(한밭市)
펼치기![]() |
---|
- 한려구(閑麗區)
- 덕성구(德城區)
함학시(咸鶴市)
산하 3구 00동
- 광천구(廣川區)
- 금호구(金湖區)
- 신해구(新海區)
현양시
산하 1면 5동
- 삼전면
- 경도동
- 송천동
- 연진동
- 중앙동
- 화계동
염안도(鹽安道)
목양시(木陽市)
펼치기![]() |
---|
송주시(松州市)
펼치기![]() |
---|
7법정동 10행정동 4읍 3면
- 솔안동(솔안洞) : 솔안동(솔안洞)
- 방배동(方背洞) : 방배동(方背洞), 창옥동(昌玉洞)
- 장안동(長安洞) : 장안동(長安洞)
- 송설동(松雪洞) : 송설동(松雪洞)
- 송산동(松山洞) : 송산동(松山洞)
- 청송동(淸松洞) : 청송1동(淸松一洞), 청송2동(淸松二洞)
- 율촌동(栗村洞) : 율촌1동(栗村一洞), 율촌2동(栗村二洞)
- 하양읍(河陽邑) : 하양리(河陽里), 장학리(獐鶴里), 성내리(城內里)
- 송정읍(新德邑) : 송정리(新德里), 천수리(川水里)
- 양산읍(陽山邑) : 양산리(陽山里), 학산리(鶴山里), 마산리(馬山里), 당곡리(堂谷里)
- 남송읍(南宋邑) : 남송리(南宋里), 죽매리(竹梅里), 하곡리(下谷里)
- 지제면(砥堤面) : 지제리(砥堤里), 노천리(老川里), 가곡리(佳谷里)
- 영동면(永同面) : 영동리(永同里), 금곡리(金谷里), 자계리(紫溪里), 관리(官里)
- 매곡면(梅谷面) : 매곡리(梅谷里), 온운리(穩澐里)
생활권
2023년 9월 시행된 새로운 생활권 제도를 통해 권역별 인구와 생활 통계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생활권은 기존의 기초자치단체 단위 구분에서 벗어나 일자리, 교통망 등으로 긴밀하게 연계되는 기초자치단체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각 생활권 내부에서의 교류 촉진을 통해 상호 간의 협력, 연계 강화 및 발전을 도모하도록 한다. 생활권의 명칭은 해당 지역 특성이 가장 잘 드러나는 이름 또는 대표 도시 이름을 사용하여 정한다.
남해도
청산도
- 서부청산생활권: 들안시, 서면군, 평천군
- 성안생활권: 성안시, 월산시, 명산군
- 미리내오천생활권: 미리내시, 오천시
- 남천강생활권: 동림시, 신현시, 심양시, 화명시
- 남부청산생활권: 감천시, 양정시, 여명시
- 산주생활권: 산주시, 답동군
해강도
- 성산만생활권: 경천시, 하구시, 퇴계령시, 한밭시, 교포군
- 내해산업생활권: 동명시, 망원시, 온주시, 북청군
- 대강중부생활권: 다올시, 여산시
- 강주생활권: 강주시, 고산군
- 함학생활권: 다산시, 함학시, 현양시
염안도
생활권 통계
플레이시티 블록 생활권 통계 | ||||
---|---|---|---|---|
생활권 | 도시 | 도시 통계 | ||
인구 (명) | 면적 (km²) | 인구밀도 (명/km²) | ||
지산생활권 | 지산시, 내소군 | 648 | 94.02 | 6.89 |
아리울생활권 | 신내시, 아리울시, 은산시, 두도군 | 120604 | 158.63 | 760.29 |
금일해양생활권 | 금일시, 안천시, 영해시, 삼도군, 옥도군 | 0 | 86.67 | 0 |
서부청산생활권 | 들안시, 서면군, 평천군 | 9616 | 47.67 | 201.73 |
성안생활권 | 성안시, 월산시, 명산군 | 25252 | 191.38 | 131.94 |
미리내오천생활권 | 미리내시, 오천시 | 77224 | 66.47 | 1161.78 |
남천강생활권 | 동림시, 신현시, 심양시, 화명시 | 34704 | 189.61 | 183.03 |
남부청산생활권 | 감천시, 양정시, 여명시 | 67690 | 95.37 | 709.76 |
산주생활권 | 산주시, 답동군 | 512 | 103.8 | 0 |
성산만생활권 | 경천시, 하구시, 퇴계령시, 한밭시, 교포군 | 21552 | 188.91 | 114.08 |
내해산업생활권 | 동명시, 망원시, 온주시, 북청군 | 42720 | 134.24 | 318.25 |
대강중부생활권 | 다올시, 여산시 | 9804 | 139.7 | 70.18 |
강주생활권 | 강주시, 고산군 | 0 | 145.94 | 0 |
함학생활권 | 다산시, 함학시, 현양시 | 26992 | 220.42 | 122.46 |
송주생활권 | 송주시, 목양시, 조천군 | 186604 | 217.47 | 858.08 |
상징
휘장
플레이시티 블록의 광역자치단체 휘장 | ||||
---|---|---|---|---|
![]() |
![]() |
![]() |
![]() |
![]() |
청라특별시 | 남해도 | 청산도 | 해강도 | 염안도 |
플레이시티 블록의 기초자치단체 휘장 | ||||
---|---|---|---|---|
남해도 | ||||
![]() |
![]() |
![]() |
![]() |
![]() |
금일시 | 내소군 | 신내시 | 아리울시 | 지산시 |
청산도 | ||||
![]() |
![]() |
![]() |
![]() |
![]() |
감천시 | 동림시 | 두도군 | 들안시 | 미리내시 |
![]() |
![]() |
![]() |
![]() |
![]() |
산주시 | 서면군 | 성안시 | 신현시 | 심양시 |
![]() |
![]() |
![]() |
![]() |
![]() |
양정시 | 여명시 | 오천시 | 월산시 | 은산시 |
![]() |
![]() |
|||
평천군 | 화명시 | |||
해강도 | ||||
![]() |
![]() |
![]() |
![]() |
![]() |
경천시 | 다산시 | 다올시 | 동명시 | 망원시 |
![]() |
![]() |
![]() |
![]() |
![]() |
북청군 | 여산시 | 온주시 | 퇴계령시 | 하구시 |
![]() |
![]() |
![]() |
||
한밭시 | 함학시 | 현양시 | ||
염안도 | ||||
![]() |
![]() |
|||
목양시 | 송주시 |
마스코트
플레이시티 블록의 도시별 마스코트 | ||
---|---|---|
![]() |
![]() |
![]() |
아낭이 (양정시) | 미르내 (미리내시) | 호치 (함학시) |
조례
기초자치단체의 장(시장 또는 군수)은 해당 지자체 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자치법규인 조례를 제정할 수 있다. 조례가 서버 규정 또는 서버 정책과 상충되는 경우 조례를 무시하고 서버 규정을 우선 적용한다.
각주
- ↑ 과거 분구 당시의 부천시가 53.45㎢ 3구, 17.82(㎢/계)로 국내에서 1구의 평균면적이 제일 작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