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운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블록둘러보기/남해도의 5대 궁}}
{{블록둘러보기/남해도의 5대 궁}}
{{블록정보/문화재
{{블록정보/문화재
| 문화재명칭 = 태화궁
| 문화재명칭 = 경운궁
| 문화재명칭외국어 = 泰化宮
| 문화재명칭외국어 = 慶運宮
| 유형 = 사적
| 유형 = 사적
| 번호 = 3
| 번호 = 3
14번째 줄: 14번째 줄:
| 주소 = [[남해도]] [[아리울시]] [[중구(아리울시)|중구]] 광희로 67(경운가동)
| 주소 = [[남해도]] [[아리울시]] [[중구(아리울시)|중구]] 광희로 67(경운가동)
| 지도종류 = 남해도
| 지도종류 = 남해도
| 위치꼬리표 = 태화궁
| 위치꼬리표 = 경운궁
| 위치X좌표 = 1514
| 위치X좌표 = 1514
| 위치Z좌표 = 10108
| 위치Z좌표 = 10108
}}
}}
'''태화궁'''은 [[아리울시]] [[중구(아리울시)|중구]]에 위치한 궁궐이다. 조선 후기에서 대한제국기에 정궁으로 사용되었으며, 전통적인 한옥 전각들과 근대 건축물이 공존하고 있어 동서양의 조화를 이룬다는 평을 받고 있다.
'''경운궁'''은 [[아리울시]] [[중구(아리울시)|중구]]에 위치한 궁궐이다. 조선 후기에서 대한제국기에 정궁으로 사용되었으며, 전통적인 한옥 전각들과 근대 건축물이 공존하고 있어 동서양의 조화를 이룬다는 평을 받고 있다.


== 역사 ==
== 역사 ==
조선 중기에 건설된 경안대군 자택을 기원으로 한다. 조선 후기 잠시 별궁으로 승격되었으나 거의 사용되지 않고 대부분의 전각이 해체되었다.
조선 중기에 건설된 경안대군 자택을 기원으로 한다. 조선 후기 잠시 별궁으로 승격되었으나 거의 사용되지 않고 대부분의 전각이 해체되었다.


현재의 태화궁은 정궁으로 사용하기 위해 대한제국기에 크게 개축한 것을 기반으로 한다. 1890년대 말 순차적으로 건설이 진행되었으나, 1904년 태화궁 대화재로 대부분 소실되고 다시 재건하였다. 또한 서구 문물의 영향을 받아 궁역 내에 여러 양관(洋館)이 건축되고 전기 등 당대 기준 최신 기술들이 반영되어 독특한 풍경을 보여준다.
현재의 경운궁은 정궁으로 사용하기 위해 대한제국기에 크게 개축한 것을 기반으로 한다. 1890년대 말 순차적으로 건설이 진행되었으나, 1904년 경운궁 대화재로 대부분 소실되고 다시 재건하였다. 또한 서구 문물의 영향을 받아 궁역 내에 여러 양관(洋館)이 건축되고 전기 등 당대 기준 최신 기술들이 반영되어 독특한 풍경을 보여준다.


일제시대를 거치며 중화전 행각 등 많은 수의 전각이 헐리고 공원화되었으며, 해방 이후에도 아리울의 도시 개발 과정에서 궁역의 규모가 축소되었다.
일제시대를 거치며 중화전 행각 등 많은 수의 전각이 헐리고 공원화되었으며, 해방 이후에도 아리울의 도시 개발 과정에서 궁역의 규모가 축소되었다.


2021년 6월 6일부터 태화궁 복원·정비사업이 진행 중에 있다. 태화궁 내의 전각들을 수리하고 공원화되었던 궁역을 정비하여 궁궐의 위엄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3년 6월 15일 정비사업이 일부 수정되어 태화궁 건립 초기의 전각을 발굴조사하고 복원하는 방향으로 변경되었다.
2021년 6월 6일부터 경운궁 복원·정비사업이 진행 중에 있다. 태화궁 내의 전각들을 수리하고 공원화되었던 궁역을 정비하여 궁궐의 위엄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3년 6월 15일 정비사업이 일부 수정되어 태화궁 건립 초기의 전각을 발굴조사하고 복원하는 방향으로 변경되었다.


=== 태화궁 복원·정비사업 ===
=== 경운궁 복원·정비사업 ===
* '''2021.06.06.''' 제1기 정비사업 발표
* '''2021.06.06.''' 제1기 정비사업 발표
* '''2021.09.04.''' 대한문, 조원문, 금천교 복원
* '''2021.09.04.''' 대한문, 조원문, 금천교 복원
* '''2023.06.15.''' 제2기 정비사업 발표 (궁역 경계, 복원시기 재설정)
* '''2023.06.15.''' 제2기 정비사업 발표 (궁역 경계, 복원시기 재설정)
* '''2023.06.24.~07.13.''' 궁장 복원
* '''2023.06.24.~07.13.''' 궁장 복원
* '''2023.07.13.~ ''' 인화문 복원
* '''2023.07.13.~08.20.''' 인화문 복원
* '''2023.08.13.~ ''' 동부 궁역 복원 (덕홍전 권역, 함녕전 권역, 영복당, 기타 부속건물)
* '''2023.07.30.~09.01.''' 흠문각 복원
* '''2023.08.13.~''' 동부 궁역 복원 (덕홍전 권역, 함녕전 권역, 영복당, 기타 부속건물)
* '''2023.08.20.~08.24.''' 정전 영역 복원
* '''2023.09.10.''' 구성헌 복원
* '''2023.XX.XX.~''' 준명당·즉조당·석어당 권역 복원
* '''2025.01.13.''' 원수부 복원


== 구조 ==
== 구조 ==
태화궁은 본래 사대부 가옥이었으나 대한제국기에 정궁으로 개축하면서 궁궐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도심 복판에 위치한 탓에 궁역 확장에 제한이 많았으며, 건설 과정에서 근대 건축이 도입되는 등 기존의 궁궐과는 다른 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태화궁 남쪽으로 궁역을 확장할 수 없었기 때문에 정전에서 ㄴ자 형태로 이어지는 삼문 체계를 가지게 된 점이 대표적이다.
경운궁은 본래 사대부 가옥이었으나 대한제국기에 정궁으로 개축하면서 궁궐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도심 복판에 위치한 탓에 궁역 확장에 제한이 많았으며, 건설 과정에서 근대 건축이 도입되는 등 기존의 궁궐과는 다른 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경운궁 남쪽으로 궁역을 확장할 수 없었기 때문에 정전에서 ㄴ자 형태로 이어지는 삼문 체계를 가지게 된 점이 대표적이다.


== 전각 ==
== 전각 ==
=== 궁성 ===
=== 궁성 ===
* '''인화문(仁化門)'''
* '''인화문(仁化門)'''
: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 다포식 우진각 지붕 건물이다. 태화궁의 남문이자 본래 정문이었다. 1890년대 말 경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며, 1904년 태화궁 대화재로 소실되었다. 2023년 아리울 상징거리 조성사업에서 복원이 결정되었으며, 2023년 7월 13일부터 중건 중이다.
: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 다포식 우진각 지붕 건물이다. 경운궁의 남문이자 본래 정문이었다. 1890년대 말 경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며, 1904년 경운궁 대화재로 소실되었다. 2023년 아리울 상징거리 조성사업에서 복원이 결정되었으며, 2023년 7월 13일부터 중건하여 8월 22일 완공하였다,<ref>원모델: 경희궁 흥화문 / 참고문헌: [https://lib.seoul.go.kr/s/bjs9v2J 서울특별시, 「경희궁 흥화문: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8]</ref>


* '''대한문(大漢門)'''
* '''대한문(大漢門)'''
: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 다포식 우진각 지붕 건물이다. 본래 태화궁의 동문이었으나 1904년 태화궁 대화재로 인화문이 소실되면서 화마를 피한 대한문을 정문으로 정하였다. 원 위치는 궁 앞을 통과하는 담재로 위였으나 도시개발로 인해 궁역이 축소되면서 본래의 위치에서 서쪽으로 40 m 가량 이건되었다. 이건 과정에서 월대도 훼손되었으나 2021년 9월 4일 복원되었다.
: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 다포식 우진각 지붕 건물이다. 본래 경운궁의 동문이었으나 1904년 경운궁 대화재로 인화문이 소실되면서 화마를 피한 대한문을 정문으로 정하였다. 원 위치는 궁 앞을 통과하는 담재로 위였으나 도시개발로 인해 궁역이 축소되면서 본래의 위치에서 서쪽으로 40 m 가량 이건되었다. 이건 과정에서 월대도 훼손되었으나 2021년 9월 4일 복원되었다.


* '''동·서십자각(東·西十字閣)'''
* '''평장문(平章門)'''
: 궁궐을 수비하는 망루로 장대석을 쌓아 만든 기단 위에 정면 3칸, 측면 3칸의 누각을 올렸다. 인화문을 중심으로 좌우 모서리에 놓여있으며, 중화전의 축이 궁역 중심에 있지 않아 비대칭으로 조성되었다. 동십자각은 담재로 확장 과정에서, 서십자각은 석조전 정원 조성 과정에서 헐렸다. 2023년 7월 3일 발굴조사가 시작되었으며, 7월 9일 복원 완료되었다. 서십자각은 원위치에 복원되었으나 동십자각은 원위치 복원이 불가하여 대한문 남쪽으로 이전복원되었다.
: 대한문 북쪽의 문. 평시에 대한문 대신 관료나 외교관이 출입하는 문이다. 원수부의 두 건물 사이에 위치해 있었다. 경운궁 궁장 훼철 과정에서 사라지고 매표소 건물이 세워졌으나 2025년 1월 13일 원수부 건물 1동과 함께 복원되었다.


* '''운교(雲橋)'''
* '''운교(雲橋)'''
: 태화궁 본 영역과 중명전·선원전 권역을 잇는 다리이다. 2개의 벽돌조 아치로 구성된 다리로 [[한천]]에 의해 분리된 두 권역을 편리하게 오가기 위해 1902년 경 건설되었다. 2023년 7월 9일 복원되었다.<ref>참고문헌: [http://www.riss.kr/link?id=T12719387 양근창, 「덕수궁 운교 복원에 관한 연구」. 2012.]</ref>
: 경운궁 본 영역과 중명전·선원전 권역을 잇는 다리이다. 2개의 벽돌조 아치로 구성된 다리로 [[한천]]에 의해 분리된 두 권역을 편리하게 오가기 위해 1902년 경 건설되었다. 2023년 7월 9일 복원되었다.<ref>참고문헌: [http://www.riss.kr/link?id=T12719387 양근창, 「덕수궁 운교 복원에 관한 연구」. 2012.]</ref>


* '''생양문(生陽門)'''
* '''생양문(生陽門)'''
: 태화궁의 북문. 대한성공회 아리울주교좌성당과 마주보고 있다.
: 경운궁의 북문. 대한성공회 아리울주교좌성당과 마주보고 있다.


* '''평성문(平成門)'''
* '''평성문(平成門)'''
: 태화궁의 서문. 한천과 인접해있다. 본래는 한옥 양식의 문이었으며 동서방향으로 드나들었다. 총해관 부지 편입 이후 어느 시점에 차량이 통행할 수 있는 서양식 문으로 바뀐 것으로 보이며, 출입방향도 남북으로 바뀌었다. 현재 태화궁 유일의 서양식 문으로 남아있다.
: 경운궁의 서문. 한천과 인접해있다. 본래는 한옥 양식의 문이었으며 동서방향으로 드나들었다. 총해관 부지 편입 이후 어느 시점에 차량이 통행할 수 있는 서양식 문으로 바뀐 것으로 보이며, 출입방향도 남북으로 바뀌었다. 현재 경운궁 유일의 서양식 문으로 남아있다.


=== 정전 영역 ===
=== 정전 영역 ===
* '''조원문(朝元門)'''
* '''조원문(朝元門)'''
: 태화궁의 중문. 본래 인화문과 중화문 사이에 조성될 예정이었으나 대화재 이후 대한문이 중문이 되며 현 위치에 건설되었다. 태화궁 훼철 과정에서 기단만 남고 철거되었으나, 태화궁 복원사업을 통해 원형으로 복원되었다.
: 경운궁의 중문. 본래 인화문과 중화문 사이에 조성될 예정이었으나 대화재 이후 대한문이 중문이 되며 현 위치에 건설되었다. 경운궁 훼철 과정에서 기단만 남고 철거되었으나, 경운궁 복원사업을 통해 원형으로 복원되었다.


* '''금천교(禁川橋)'''
* '''금천교(禁川橋)'''
: 태화궁의 금천교로, 대한문과 조원문 사이에 위치한다. 본래 지금의 중화전 마당에 있었으나 중화전 건립으로 해체되었다. 대한제국기 태화궁 중건 계획에서는 인화문과 조원문 사이가 비좁아 금천을 대폭 축소하여 상징적인 형태로만 남기고 금천교를 크게 조성하지 않을 예정이었으나 태화궁 대화재로 정문이 대한문으로 바뀌면서 현재의 위치에 옮겨 조성되었다. 이후 태화궁 훼철 과정에서 금천과 함께 매립되었다. 2021년 9월 발굴 조사를 거쳐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하였다, 본래는 대한문과 충분한 이격이 있었으나 대한문이 이건되며 거의 맞닿게 되었다.
: 경운궁의 금천교로, 대한문과 조원문 사이에 위치한다. 본래 지금의 중화전 마당에 있었으나 중화전 건립으로 해체되었다. 대한제국기 경운궁 중건 계획에서는 인화문과 조원문 사이가 비좁아 금천을 대폭 축소하여 상징적인 형태로만 남기고 금천교를 크게 조성하지 않을 예정이었으나 경운궁 대화재로 정문이 대한문으로 바뀌면서 현재의 위치에 옮겨 조성되었다. 이후 태화궁 훼철 과정에서 금천과 함께 매립되었다. 2021년 9월 발굴 조사를 거쳐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하였다, 본래는 대한문과 충분한 이격이 있었으나 대한문이 이건되며 거의 맞닿게 되었다.


* '''중화문()'''
* '''중화문()'''
97번째 줄: 102번째 줄:


=== 궐내각사 영역 ===
=== 궐내각사 영역 ===
내반원, 공사청, 궁내부 등이 존재했으며, 1910년대 초 대부분 철거되었다. 복원 자료가 극히 부족하고 태화궁 궁역이 축소되어 현재 복원 계획이 없다.
내반원, 공사청, 궁내부 등이 존재했으며, 1910년대 초 대부분 철거되었다. 복원 자료가 극히 부족하고 경운궁 궁역이 축소되어 현재 복원 계획이 없다.


* '''궁능유적본부 태화궁관리소'''
* '''원수부(元帥府)'''
: 태화궁 관리 및 정비 관련 업무를 담당한다. 현재는 내반원 및 공사청 전각을 부분적으로 복원하여 업무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 대한제국 황제 직속의 군통수기관으로, 군령권을 담당하였다. 산하에 군무국, 검사국, 기록국, 회계국을 두었다. 원수부 청사는 2층의 조적조 건물 2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른 궐내각사와 달리 궁성과 건물이 일체화된 독특한 형태였다. 경운궁 궁역 축소 과정에서 철거되었으며, 2025년 1월 13일 부지가 온전한 남측 1동만이 복원되었다.
 
* '''궁능유적본부 경운궁관리소'''
: 경운궁 관리 및 정비 관련 업무를 담당한다. 현재는 내반원 및 공사청 전각을 부분적으로 복원하여 업무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 '''영군번소(營軍番所)'''
: 경운궁 경비를 위해 시위대가 숙직할 수 있도록 건설된 건물이다.


=== 중명전 권역 ===
=== 중명전 권역 ===
106번째 줄: 117번째 줄:


* '''중명전(重眀殿)'''
* '''중명전(重眀殿)'''
: 2층 벽돌조 건물로 본래는 단층이었으나 태화궁 대화재 이후 2층으로 재건되었다.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된 장소이다. 20XX년 X월 원형에 가깝게 복원하였으며 지금은 을사늑약과 대한제국 역사를 다루는 전시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 2층 벽돌조 건물로 본래는 단층이었으나 경운궁 대화재 이후 2층으로 재건되었다.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된 장소이다. 20XX년 X월 원형에 가깝게 복원하였으며 지금은 을사늑약과 대한제국 역사를 다루는 전시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 '''흠문각(欽文閣)'''
* '''흠문각(欽文閣)'''
: 어진과 예진<ref>세자의 초상</ref>을 모셨던 전각이다.
: 어진과 예진<ref>세자의 초상</ref>을 모셨던 전각이다. 2023년 9월 1일 복원되었다.
 


=== 선원전 영역 ===
=== 선원전 영역 ===
119번째 줄: 129번째 줄:
=== 근대 건축물 ===
=== 근대 건축물 ===
* '''석조전(石造殿)'''
* '''석조전(石造殿)'''
: 근대 궁전으로서의 태화궁을 상징하는 건물이다. 지상 3층 규모의 건물로, 당대 유행하던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지어 건립되었으며, 당대 지어진 근대 건축물 및 궁궐 전각과 비교했을 때 가장 큰 건물이다. 역할에 따라서 건물을 나누어 배치하였던 전통적인 궁궐과 달리 하나의 건물이 정전, 편전, 침전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 그 자체로 황궁의 격식을 갖추었다. 그렇기에 역할에 따라 명칭을 붙이던 전통과는 다르게 건물의 외관에서 유래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 근대 궁전으로서의 경운궁을 상징하는 건물이다. 지상 3층 규모의 건물로, 당대 유행하던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지어 건립되었으며, 당대 지어진 근대 건축물 및 궁궐 전각과 비교했을 때 가장 큰 건물이다. 역할에 따라서 건물을 나누어 배치하였던 전통적인 궁궐과 달리 하나의 건물이 정전, 편전, 침전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 그 자체로 황궁의 격식을 갖추었다. 그렇기에 역할에 따라 명칭을 붙이던 전통과는 다르게 건물의 외관에서 유래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 '''정관헌(靜觀軒)'''
* '''정관헌(靜觀軒)'''
128번째 줄: 138번째 줄:


* '''구성헌(九成軒)'''
* '''구성헌(九成軒)'''
: 2층의 양관으로 외교관을 접견하는 건물로 사용되었다. 총해관의 사무용 건물 중 하나로 1901년 이후 궁역에 편입되었다. 석조전 완공 이후 어느 시점에 훼철된 것으로 보인다. 복원 예정이다.
: 2층의 양관으로 외교관을 접견하는 건물로 사용되었다. 총해관의 사무용 건물 중 하나로 1901년 이후 궁역에 편입되었다. 석조전 완공 이후 어느 시점에 훼철된 것으로 보인다. 2023년 9월 10일 복원되었다.


* '''총해관공소(總海關公所)'''
* '''총해관공소(總海關公所)'''
: 단층의 벽돌 건물로 한천변의 궁장과 합쳐져있는 건물이다. 총해관의 사무소로 사용되었던 건물로 추정된다. 1901년 총해관 부지의 편입 이후에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는 불명이다. 외관 정비 후 매점 등 편의시설이 입점할 예정이다.
: 단층의 벽돌 건물로 한천변의 궁장과 합쳐져있는 건물이다. 총해관의 사무소로 사용되었던 건물로 추정된다. 1901년 총해관 부지의 편입 이후에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는 불명이다. 2023년 8월 20일 복원되었으며 내부에는 기념품점과 카페, 어차 전시실이 마련되었다.
 
* '''발전소(發電所)'''
: 2층의 벽돌 건물로 경운궁 내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일제시대에는 경운궁경찰소로 전용되어 황실을 감시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2023년 9월 10일부터 복원 중이다.


== 관람 안내 ==
== 관람 안내 ==
159번째 줄: 172번째 줄:
| 만 6세 이하<br/>만 65세 이상
| 만 6세 이하<br/>만 65세 이상
|colspan="2"| 무료
|colspan="2"| 무료
|-
|}
|}


178번째 줄: 190번째 줄:


== 관련 문서 ==
== 관련 문서 ==
* [[남해도의 문화재]]
* [[플레이시티 블록/문화유산]]


== 둘러보기 ==
== 둘러보기 ==
185번째 줄: 197번째 줄:
== 각주 ==
== 각주 ==


[[분류:플레이시티 블록의 문화재]]
[[분류:플레이시티 블록의 문화유산]]

2025년 1월 14일 (화) 11:32 기준 최신판

남해도의 5대 궁궐
지산 월성
芝山 月城
동궁과 월지
東宮과 月池
지산행궁
芝山行宮
경수궁
慶壽宮
경운궁
慶運宮
남해도청 문화유산과
경운궁
慶運宮
사적 제3호
태화궁 석조전 정원.png
정보
분류 유적 / 궁궐
수량/면적
지정연도 2022년 12월 1일
시대 조선 ~ 대한제국
소유 아리울시
관리 아리울시
위치
경운궁 (남해도)
경운궁
주소 남해도 아리울시 중구 광희로 67(경운가동)

경운궁아리울시 중구에 위치한 궁궐이다. 조선 후기에서 대한제국기에 정궁으로 사용되었으며, 전통적인 한옥 전각들과 근대 건축물이 공존하고 있어 동서양의 조화를 이룬다는 평을 받고 있다.

역사

조선 중기에 건설된 경안대군 자택을 기원으로 한다. 조선 후기 잠시 별궁으로 승격되었으나 거의 사용되지 않고 대부분의 전각이 해체되었다.

현재의 경운궁은 정궁으로 사용하기 위해 대한제국기에 크게 개축한 것을 기반으로 한다. 1890년대 말 순차적으로 건설이 진행되었으나, 1904년 경운궁 대화재로 대부분 소실되고 다시 재건하였다. 또한 서구 문물의 영향을 받아 궁역 내에 여러 양관(洋館)이 건축되고 전기 등 당대 기준 최신 기술들이 반영되어 독특한 풍경을 보여준다.

일제시대를 거치며 중화전 행각 등 많은 수의 전각이 헐리고 공원화되었으며, 해방 이후에도 아리울의 도시 개발 과정에서 궁역의 규모가 축소되었다.

2021년 6월 6일부터 경운궁 복원·정비사업이 진행 중에 있다. 태화궁 내의 전각들을 수리하고 공원화되었던 궁역을 정비하여 궁궐의 위엄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3년 6월 15일 정비사업이 일부 수정되어 태화궁 건립 초기의 전각을 발굴조사하고 복원하는 방향으로 변경되었다.

경운궁 복원·정비사업

  • 2021.06.06. 제1기 정비사업 발표
  • 2021.09.04. 대한문, 조원문, 금천교 복원
  • 2023.06.15. 제2기 정비사업 발표 (궁역 경계, 복원시기 재설정)
  • 2023.06.24.~07.13. 궁장 복원
  • 2023.07.13.~08.20. 인화문 복원
  • 2023.07.30.~09.01. 흠문각 복원
  • 2023.08.13.~ 동부 궁역 복원 (덕홍전 권역, 함녕전 권역, 영복당, 기타 부속건물)
  • 2023.08.20.~08.24. 정전 영역 복원
  • 2023.09.10. 구성헌 복원
  • 2023.XX.XX.~ 준명당·즉조당·석어당 권역 복원
  • 2025.01.13. 원수부 복원

구조

경운궁은 본래 사대부 가옥이었으나 대한제국기에 정궁으로 개축하면서 궁궐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도심 복판에 위치한 탓에 궁역 확장에 제한이 많았으며, 건설 과정에서 근대 건축이 도입되는 등 기존의 궁궐과는 다른 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경운궁 남쪽으로 궁역을 확장할 수 없었기 때문에 정전에서 ㄴ자 형태로 이어지는 삼문 체계를 가지게 된 점이 대표적이다.

전각

궁성

  • 인화문(仁化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 다포식 우진각 지붕 건물이다. 경운궁의 남문이자 본래 정문이었다. 1890년대 말 경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며, 1904년 경운궁 대화재로 소실되었다. 2023년 아리울 상징거리 조성사업에서 복원이 결정되었으며, 2023년 7월 13일부터 중건하여 8월 22일 완공하였다,[1]
  • 대한문(大漢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 다포식 우진각 지붕 건물이다. 본래 경운궁의 동문이었으나 1904년 경운궁 대화재로 인화문이 소실되면서 화마를 피한 대한문을 정문으로 정하였다. 원 위치는 궁 앞을 통과하는 담재로 위였으나 도시개발로 인해 궁역이 축소되면서 본래의 위치에서 서쪽으로 40 m 가량 이건되었다. 이건 과정에서 월대도 훼손되었으나 2021년 9월 4일 복원되었다.
  • 평장문(平章門)
대한문 북쪽의 문. 평시에 대한문 대신 관료나 외교관이 출입하는 문이다. 원수부의 두 건물 사이에 위치해 있었다. 경운궁 궁장 훼철 과정에서 사라지고 매표소 건물이 세워졌으나 2025년 1월 13일 원수부 건물 1동과 함께 복원되었다.
  • 운교(雲橋)
경운궁 본 영역과 중명전·선원전 권역을 잇는 다리이다. 2개의 벽돌조 아치로 구성된 다리로 한천에 의해 분리된 두 권역을 편리하게 오가기 위해 1902년 경 건설되었다. 2023년 7월 9일 복원되었다.[2]
  • 생양문(生陽門)
경운궁의 북문. 대한성공회 아리울주교좌성당과 마주보고 있다.
  • 평성문(平成門)
경운궁의 서문. 한천과 인접해있다. 본래는 한옥 양식의 문이었으며 동서방향으로 드나들었다. 총해관 부지 편입 이후 어느 시점에 차량이 통행할 수 있는 서양식 문으로 바뀐 것으로 보이며, 출입방향도 남북으로 바뀌었다. 현재 경운궁 유일의 서양식 문으로 남아있다.

정전 영역

  • 조원문(朝元門)
경운궁의 중문. 본래 인화문과 중화문 사이에 조성될 예정이었으나 대화재 이후 대한문이 중문이 되며 현 위치에 건설되었다. 경운궁 훼철 과정에서 기단만 남고 철거되었으나, 경운궁 복원사업을 통해 원형으로 복원되었다.
  • 금천교(禁川橋)
경운궁의 금천교로, 대한문과 조원문 사이에 위치한다. 본래 지금의 중화전 마당에 있었으나 중화전 건립으로 해체되었다. 대한제국기 경운궁 중건 계획에서는 인화문과 조원문 사이가 비좁아 금천을 대폭 축소하여 상징적인 형태로만 남기고 금천교를 크게 조성하지 않을 예정이었으나 경운궁 대화재로 정문이 대한문으로 바뀌면서 현재의 위치에 옮겨 조성되었다. 이후 태화궁 훼철 과정에서 금천과 함께 매립되었다. 2021년 9월 발굴 조사를 거쳐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하였다, 본래는 대한문과 충분한 이격이 있었으나 대한문이 이건되며 거의 맞닿게 되었다.
  • 중화문()
  • 중화전()

내전 영역

  • (가칭) 준명당
  • (가칭) 즉조당
  • (가칭) 석어당

경효전 영역

  • 돈례문
  • 장방처소
  • 숙목문
  • 어재실
  • 덕흥전/경효전
  • 이안청
  • 중배설청
  • 숙옹재

함녕전 일곽

  • 광명문
  • 남여고
  • 봉양문
  • 함녕전
  • 풍안당
  • 만희당

영복당 일곽

  • 영복당

궐내각사 영역

내반원, 공사청, 궁내부 등이 존재했으며, 1910년대 초 대부분 철거되었다. 복원 자료가 극히 부족하고 경운궁 궁역이 축소되어 현재 복원 계획이 없다.

  • 원수부(元帥府)
대한제국 황제 직속의 군통수기관으로, 군령권을 담당하였다. 산하에 군무국, 검사국, 기록국, 회계국을 두었다. 원수부 청사는 2층의 조적조 건물 2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른 궐내각사와 달리 궁성과 건물이 일체화된 독특한 형태였다. 경운궁 궁역 축소 과정에서 철거되었으며, 2025년 1월 13일 부지가 온전한 남측 1동만이 복원되었다.
  • 궁능유적본부 경운궁관리소
경운궁 관리 및 정비 관련 업무를 담당한다. 현재는 내반원 및 공사청 전각을 부분적으로 복원하여 업무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 영군번소(營軍番所)
경운궁 경비를 위해 시위대가 숙직할 수 있도록 건설된 건물이다.

중명전 권역

왕립 도서관이었던 중명전을 중심으로 하는 권역이다. 본래 궁역이 아니었다가 편입된 곳으로, 한천을 건너는 운교를 통해 궁장 바깥으로 나가지 않고 이동할 수 있는 특이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궁역에서 벗어난 뒤 민간에서 사용되며 변형되었으나 20XX년 X월 원형으로 복원하였으며, 주변도 공원으로 정비되어 궁역에 다시 포함되었다.

  • 중명전(重眀殿)
2층 벽돌조 건물로 본래는 단층이었으나 경운궁 대화재 이후 2층으로 재건되었다.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된 장소이다. 20XX년 X월 원형에 가깝게 복원하였으며 지금은 을사늑약과 대한제국 역사를 다루는 전시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 흠문각(欽文閣)
어진과 예진[3]을 모셨던 전각이다. 2023년 9월 1일 복원되었다.

선원전 영역

어진을 모시는 선원전이 있던 곳으로, 중명전 권역의 북쪽에 있었다. 북쪽 도로 개설로 궁역에서 벗어났으며, 전각은 철거되어 현전하지 않는다. 소속되었던 전각은 다음과 같다.

  • 선원전(璿源殿)

근대 건축물

  • 석조전(石造殿)
근대 궁전으로서의 경운궁을 상징하는 건물이다. 지상 3층 규모의 건물로, 당대 유행하던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지어 건립되었으며, 당대 지어진 근대 건축물 및 궁궐 전각과 비교했을 때 가장 큰 건물이다. 역할에 따라서 건물을 나누어 배치하였던 전통적인 궁궐과 달리 하나의 건물이 정전, 편전, 침전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 그 자체로 황궁의 격식을 갖추었다. 그렇기에 역할에 따라 명칭을 붙이던 전통과는 다르게 건물의 외관에서 유래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 정관헌(靜觀軒)
궁 북쪽에 위치한 양관으로, 다른 근대 건축과 다르게 전통 건축의 요소가 부분적으로 혼합된 모습을 보여준다. 창건 연대와 목적은 불명으로, 어진을 봉안하는 장소였다는 기록이 있으며, 황실의 휴식공간으로 사용되었다는 주장도 존재한다.
  • 돈덕전(惇德殿)
영빈관 및 알현관 목적으로 건설된 2층 건물이다. 대한제국의 세관 본부인 총해관(總海關) 부지 중 총세무사관사가 있던 곳으로 1901년 궁역에 포함되었다. 1920년대 훼철되었으며 태화궁 복원 계획에 따라 현재 복원 공사중이다.
  • 구성헌(九成軒)
2층의 양관으로 외교관을 접견하는 건물로 사용되었다. 총해관의 사무용 건물 중 하나로 1901년 이후 궁역에 편입되었다. 석조전 완공 이후 어느 시점에 훼철된 것으로 보인다. 2023년 9월 10일 복원되었다.
  • 총해관공소(總海關公所)
단층의 벽돌 건물로 한천변의 궁장과 합쳐져있는 건물이다. 총해관의 사무소로 사용되었던 건물로 추정된다. 1901년 총해관 부지의 편입 이후에 어떤 용도로 사용되었는지는 불명이다. 2023년 8월 20일 복원되었으며 내부에는 기념품점과 카페, 어차 전시실이 마련되었다.
  • 발전소(發電所)
2층의 벽돌 건물로 경운궁 내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일제시대에는 경운궁경찰소로 전용되어 황실을 감시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2023년 9월 10일부터 복원 중이다.

관람 안내

정문인 대한문 매표소에서 입장권을 구매할 수 있으며, 매표 시간은 오전 9시에서 오후 8시까지다. 관람 시간은 오전 9시에서 오후 9시까지로 상시 야간 개방하고 있다. 휴궁일은 매주 월요일이다.

대상 개인 요금 단체 요금
내국인 만 25 ~ 64세 1000원 800원 (10인 이상)
만 25세 이하
만 65세 이상
무료
외국인 만 19 ~ 64세 1000원 500원 (10인 이상)
만 7 ~ 18세 500원 400원 (10인 이상)
만 6세 이하
만 65세 이상
무료

주변 시설

갤러리

관련 문서

둘러보기

남해관광100선.svg
<아리울> 17곳
가화동성당 · 가화한옥마을 · 경수궁광장 · 경운궁 · 그랜드파크 · 남해숲길공원 · 소고도 · 아라사공사관 · 아리울문화의전당 · 아리울예술고가 · 아리울월드 · 국립현대미술관 아리울관 · 운종광장 · 조선왕실기록관 · 중의전 · 탑골공원 · 한천
<지산> 8곳
국립지산박물관 · 법주사 · 지산의 성곽(지산읍성, 지산고읍성) · 지산의 신라 유적들(대릉원, 동궁과 월지) · 춘양교 · 황룡사
<금일> 0곳
<내소> 1곳
남해국제공항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