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 역사 ==
== 역사 ==
=== 고려시대 이전 ===
한옥의 역사는 한민족의 역사와 함께 한다. 다만, 한반도에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이 고려시대의 것인 [[봉정사]] 극락전인 만큼 그 이전의 역사에 대해서는 발굴된 유적과 유물을 통해서 추정하거나 한반도와 영향을 주고 받았던 중국이나 일본의 문화재 등을 통해서 추정해 볼 수 밖에 없다.
=== 조선시대 ===
=== 일제강점기 ===


== 구조 ==
== 구조 ==
9번째 줄: 14번째 줄:
=== 지붕 ===
=== 지붕 ===
==== 지붕의 구성 요소 ====
==== 지붕의 구성 요소 ====
지붕마루는 지붕면이 맞닿는 부위에 조성되며, 위치에 따라서 세 종류로 구분한다. 용마루는 종도리 위에 도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마루이며, 용도리 끝에서 수직인 기와골 방향으로 내려오는 내림마루, 추녀 위의 마루인 추녀마루이다.
'''지붕마루'''는 지붕면이 맞닿는 부위에 조성되며, 위치에 따라서 세 종류로 구분한다. '''용마루'''는 종도리 위에 도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마루이며, 용도리 끝에서 수직인 기와골 방향으로 내려오는 '''내림마루''', 추녀 위의 마루인 '''추녀마루'''가 있다.
 
마루는 기와로 쌓는다. 용마루를 쌓는 법을 보면, 먼저 수키와와 암키와로 만들어진 기와골에 딱 맞도록 만들어진 착고기와를 얹고, 위에 수키와를 옆으로 눕혀 한줄을 쌓아 부고를 만들고, 그 위에 여러장의 암키와를 쌓아 적새를 만들며, 마지막으로 수키와를 한줄 얹어 숫마루장으로 마감한다. '''양성(兩城)바름'''은 규모가 큰 건축물에서 기와로만 마루를 마감하기 어려워 기와로 쌓은 마루를 회반죽으로 감싸 마감하는 것을 말한다.
 
용마루 양 끝에 조형물로 얹는 장식기와는 '''취두(鷲頭)'''라고 하며 고려 중기 이후부터 사용된 것으로, 조선시대 이전에는 새 날개나 물고기 머리 모양의 장식기와인 치미(鴟尾)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용두(龍頭)'''는 용머리 모양의 장식기와로 사악한 기운을 몰아내는 역할을 하였다고 한다. 보통 추녀마루의 위쪽에 놓이지만 때때로 내림마루의 아래쪽에 놓이가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추녀마루 끝에 여러개의 '''잡상(雜像)'''을 얹어 장식하기도 하였다.


박공은 지붕이 없이 옆으로 드러난 삼각형 면을 말한다.
박공은 지붕이 없이 옆으로 드러난 삼각형 면을 말한다.
27번째 줄: 36번째 줄:
크게 기와를 얹는 기와지붕과 짚을 엮어 얹는 초가지붕으로 구분된다. 지역에 따라서는 짚을 구하기 어렵거나 더 흔한 재료를 사용하여 지붕을 얹기도 했는데, 나무 조각을 덮은 너와집, 나무 껍질을 벗겨 얹은 굴피집 등이 있다.
크게 기와를 얹는 기와지붕과 짚을 엮어 얹는 초가지붕으로 구분된다. 지역에 따라서는 짚을 구하기 어렵거나 더 흔한 재료를 사용하여 지붕을 얹기도 했는데, 나무 조각을 덮은 너와집, 나무 껍질을 벗겨 얹은 굴피집 등이 있다.


=== 배치 ===
=== 처마 ===
기와지붕은 서까래, 서까래 사이의 개판(蓋板), 서까래를 눌러주기 위한 적심, 단열을 위한 보토, 그 위에 암키와와 수키와를 얹는 구조로 되어 있다. 수많은 부재가 올라가기 때문에 지붕의 무게는 상당하며, 처마를 길게 뺄 수록 이러한 하중은 더 강해진다.
 
처마는 건물의 벽채를 눈과 비에서 보호하고, 직사광선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 규모가 큰 건물일수록 처마가 같이 길어져야 비례가 맞기에 처마를 잘 빼고 잘 받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처마는 서까래로만 구성된 홑처마와 서까래 위에 길이를 늘리기 위해 부연을 덧붙인 겹처마로 나뉜다.
 
=== 공포 ===
전통건축은 기둥 상부가 보를 받는 방식에 따라서 포식, 익공식, 민도리식으로 구분된다.
 
'''민도리식'''은 서까래와 지붕의 하중이 바로 기둥으로 전달되는 형태로, 민가 등의 단순한 구조에서 볼 수 있다.
 
'''익공식'''은 창방과 직교하여 보 방향으로 놓인 익공이라는 부재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익공의 갯수에 따라서 초익공, 이익공, 삼익공 식으로 부른다.
 
'''포식'''은 '''공포(栱包)'''라고 불리는 다양한 부재를 사용해서 보를 받치는데, 기둥 위에만 포를 놓는 경우는 '''주심포(柱心包)'''형식이라고 하며,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포를 놓는 경우는 '''다포(多包)'''형식이라고 한다. 다포 형식은 궁궐이나 사찰 등에서만 발견된다.
 
=== 도리와 보 ===
'''도리(道里)'''는 건물의 긴 방향, 즉 용마루와 같은 방향으로 놓여 지붕의 전체 틀을 잡아주는 부재이다. '''보'''는 건물의 짧은 방향, 즉 앞뒤 기둥을 연결하는 부재이다.
 
도리와 보는 위치에 따라서 명칭이 달라지는데, 가장 위쪽인 용마루 아래에 놓이는 도리를 '''종도리'''라고 하며, 그 다음으로 내려오며 중도리(여러개이면 상중도리, 하중도리 식으로 나눠 부른다), 적심도리라고 부른다. 또한 도리는 단면 모양에 따라서 명칭이 달라지는데, 궁궐이나 사찰 같은 곳에서는 둥근 단면의 '''굴도리'''를, 민가 등에서는 사각형 단면의 '''납도리'''를 사용한다.
 
보는 기둥 사이를 연결하는 대들보, 그 위로 중보, 종보 등이 놓이게 된다. 구조가 간단한 민가에서는 보통 대들보만 놓이게 된다.
 
=== 기둥 ===
'''배흘림기둥'''은 기둥 위아래로 갈 수록 직경을 점차 줄여 만드는 기둥을 말한다.
 
=== 단청 ===
 
=== 창문 ===
 
=== 천장 ===
 
=== 바닥 ===
마루
 
온돌
 
== 명칭 ==
전통건축은 건물의 용도와 위계에 따라서 그 이름을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 '''전(殿)''': 가장 격식이 높고 규모가 커 중심이 되는 건물을 말하며, 궁궐에서는 정전과 내전, 침전의 중심 건물, 사찰에서는 부처를 모신 불전을 부를 때 사용한다.
* '''당(堂)''': 전보다는 격식이 한 등급 낮은 건물로, 전의 부속 건물이나 부속 공간의 중심 건물을 부른다. 궁궐에서는 주전에 부속된 건물의 명칭에, 사찰에서는 불전에 부속된 선당이나 승당에 붙었다. 다만 서원이나 향교에서는 사당이나 강당 등 주전을 당으로 불렀으며, 민가에서도 주전의 명칭에 당을 사용하였다.
* '''합(閤)''': 자주 사용되는 이름은 아니며, 전이나 당의 부속 건물 중 공공 용도보다는 사적 용도로 다양한 기능을 가졌던 건물로 추정된다.
* '''헌(軒)''': 살림집 성격의 당의 형식을 갖는 건물이나 정의 성격을 갖는 건물에 두로 사용되었다. 그 외도 관아인 동헌 등에 사용되었다.
* '''누(樓)''': 마루를 지면에서 올려 습기를 피하고 통풍이 잘 되도록 지은 건물에 사용한다. 연회나 접대를 위한 건물에 주로 쓰였지만, 주합루와 같이 도서관으로 쓰인 경우도 있다. 성곽에서는 문위에 누를 올려 방어와 공격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 '''정(亭)''': 정자에 쓰이던 이름으로, 잠시 쉬거나 놀다 가는 건물을 말한다. 유희를 위해 세운 정의 경우 누에 비해서 규모가 작고 사적인 용도로 사용되었다.
* '''각(閣)''': 누와 비슷하게 중층 건물에 사용되었다. 대문간이나 궁궐 등의 좁고 긴 단층 건물은 행각이라고 불렀다.
* '''사(榭)''': 무술을 익히고 수련하기 위해 지은 건물이며, 보통 궁술을 익하는 건물을 말한다.
* '''사(舍)''': 작은 부속 건물을 부를 때 사용하였다. 관아에서는 손님이 머무는 건물을 객사(客舍)라고 하였으며, 민가에서는 살림집 본채와 떨어져 경치 좋은 곳에 별서의 개념으로 지은 건물을 정사(精舍)라고 하였다.
* '''청(廳)''': 관청이나 손님을 영접하는 장소의 의미를 갖고 있다.
* '''재(齋)''': 당과 유사하나, 제사를 지내거나 한적한 곳에서 소박하게 학문을 연마하기 위해 지은 건물에 쓰인다.  비슷하지만 제사를 드리거나 한적하고 조용한 곳에서 소박하게 학문을 연마하기 위해 지은 건물이다. 서원에서는 학생들의 기숙사를 동재와 서재라고 불렀다.
* '''관(館)''': 여러 사람이 모일 수 있는 크고 개방된 관아 격의 건물에 사용된다.
* '''낭(廊)''': 건물과 건물을 연결하는 좁고 긴 건물을 말한다. 다만, 통로가 아닌 실이 있는 건물에도 사용되었는데, 궁궐의 정전 사방을 둘러싸는 낭은 회랑(回廊)이라고 하며, 살림집에서 마당 앞에 좁고 긴 건물을 둔 것은 행랑(行廊)이라고 한다. 또한 정전 양쪽으로 날개처럼 지은 건물은 익랑(翼廊)이라고 한다.
* '''무(廡)''': 당 좌우에 부속된 건물을 말한다. 한국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으며, 향교의 동무와 서무에서 사용된다.
* '''실(室)''': 제사를 위해 마련된 건물은 재실(齋室)이라고 하며, 건물 내부의 단위공간을 말하기도 한다.
* '''가(家)''': 집을 통칭하여 부르며, 현재는 살림집의 의미가 강하다. 물리적으로는 건물이 모인 집합군을 말한다.
* '''택(宅)''': 집을 통칭하여 부르며, 현재는 살림집의 의미가 강하다.
* '''옥(屋)''': 모든 유형의 건축물에 사용되지만 보통 물리적인 성격이 강하다.
* '''방(房)''': 거실 용도로 사용되는 실이며, 보통 온돌방으로 꾸며졌다.
* '''궁(宮)''': 왕이 거주하는 규모가 크고 격식 있는 집을 말한다. 왕자나 공주, 대군이 사는 곳이나 왕실과 관련된 사당도 궁으로 불렀다.
* '''단(壇)''': 제사를 지내기 위한 높은 대를 말하며, 사직단, 원구단, 선농단 등이 해당된다.
* '''묘(廟)''': 조상이나 성현의 위패를 모셔두고 제향하는 건물이다. 종묘, 문묘, 가묘 등이 해당된다.
* '''사(祠)''': 성현이나 충신의 위패나 영정을 모셔 놓고 제사를 지내는 건물이다.
* '''대(臺)''': 권위를 나타내기 위해 높은 대 위에 지은 건물을 말한다.
* '''암(庵)''': 주 건물과 떨어진 한적한 곳에 별도로 작게 지은 초막을 말한다. 사찰 건축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


== 지역별 한옥 ==
== 지역별 한옥 ==

2020년 11월 29일 (일) 16:37 기준 최신판

한옥(韓屋)은 한민족의 전통 가옥을 말한다.

역사

고려시대 이전

한옥의 역사는 한민족의 역사와 함께 한다. 다만, 한반도에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이 고려시대의 것인 봉정사 극락전인 만큼 그 이전의 역사에 대해서는 발굴된 유적과 유물을 통해서 추정하거나 한반도와 영향을 주고 받았던 중국이나 일본의 문화재 등을 통해서 추정해 볼 수 밖에 없다.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구조

재료

나무와 돌, 흙, 짚 등 한반도의 자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주로 사용한다.

지붕

지붕의 구성 요소

지붕마루는 지붕면이 맞닿는 부위에 조성되며, 위치에 따라서 세 종류로 구분한다. 용마루는 종도리 위에 도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마루이며, 용도리 끝에서 수직인 기와골 방향으로 내려오는 내림마루, 추녀 위의 마루인 추녀마루가 있다.

마루는 기와로 쌓는다. 용마루를 쌓는 법을 보면, 먼저 수키와와 암키와로 만들어진 기와골에 딱 맞도록 만들어진 착고기와를 얹고, 위에 수키와를 옆으로 눕혀 한줄을 쌓아 부고를 만들고, 그 위에 여러장의 암키와를 쌓아 적새를 만들며, 마지막으로 수키와를 한줄 얹어 숫마루장으로 마감한다. 양성(兩城)바름은 규모가 큰 건축물에서 기와로만 마루를 마감하기 어려워 기와로 쌓은 마루를 회반죽으로 감싸 마감하는 것을 말한다.

용마루 양 끝에 조형물로 얹는 장식기와는 취두(鷲頭)라고 하며 고려 중기 이후부터 사용된 것으로, 조선시대 이전에는 새 날개나 물고기 머리 모양의 장식기와인 치미(鴟尾)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용두(龍頭)는 용머리 모양의 장식기와로 사악한 기운을 몰아내는 역할을 하였다고 한다. 보통 추녀마루의 위쪽에 놓이지만 때때로 내림마루의 아래쪽에 놓이가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추녀마루 끝에 여러개의 잡상(雜像)을 얹어 장식하기도 하였다.

박공은 지붕이 없이 옆으로 드러난 삼각형 면을 말한다.

형태에 따른 구분

한옥의 지붕은 지붕 면이 맞닿는 방식에 따라서 크게 맞배지붕, 우진각지붕, 팔작지붕으로 구분된다.

맞배지붕은 지붕면이 2개로, 건물 앞과 뒤에서만 지붕이 보이고 용마루와 내림마루만으로 구성된 지붕을 말한다. 행랑이나 곳간 같은 간단한 건물에 많이 사용되었지만, 사당(祠堂) 같이 엄숙함이 요구되는 건물에도 즐겨 사용된 지붕이다. 맞배지붕은 그 특성 상 지붕이 없는 측면(박공)이 비바람에 취약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측면으로 지붕을 길게 빼주거나 별도의 나무판인 풍판(風板)을 덧댄다.

우진각지붕은 지붕면이 4개이며, 용마루와 추녀마루로만 구성되어 있다. 민가와 같이 격식을 따지지 않는 건물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지붕이다.

팔작지붕은 지붕면이 4개이며, 용마루와 내림마루, 추녀마루가 모두 나타난다. 화려한 모습이 특징이기 때문에 궁궐이나 사찰, 주택에서는 중심이 되는 안채나 사랑채에서 많이 볼 수 있다. 팔작지붕의 측면에는 용마루 끝에 삼각형의 박공이 보이는 것이 특징인데, 이를 합각(合閣)이라고도 한다. 합각벽은 나무판으로 막는 경우도 있지만 궁궐 같은 곳에서는 벽돌로 쌓아 모양을 내는 경우도 있다.

그 외에도 정자나 탑 같은 곳에서 용마루 없이 추녀마루로만 구성된 지붕을 볼 수 있는데, 이를 모임지붕이라고 한다. 사각형인 경우는 사모지붕, 육각형인 경우는 육모지붕이라고 지칭한다.

재료에 따른 구분

크게 기와를 얹는 기와지붕과 짚을 엮어 얹는 초가지붕으로 구분된다. 지역에 따라서는 짚을 구하기 어렵거나 더 흔한 재료를 사용하여 지붕을 얹기도 했는데, 나무 조각을 덮은 너와집, 나무 껍질을 벗겨 얹은 굴피집 등이 있다.

처마

기와지붕은 서까래, 서까래 사이의 개판(蓋板), 서까래를 눌러주기 위한 적심, 단열을 위한 보토, 그 위에 암키와와 수키와를 얹는 구조로 되어 있다. 수많은 부재가 올라가기 때문에 지붕의 무게는 상당하며, 처마를 길게 뺄 수록 이러한 하중은 더 강해진다.

처마는 건물의 벽채를 눈과 비에서 보호하고, 직사광선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 규모가 큰 건물일수록 처마가 같이 길어져야 비례가 맞기에 처마를 잘 빼고 잘 받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처마는 서까래로만 구성된 홑처마와 서까래 위에 길이를 늘리기 위해 부연을 덧붙인 겹처마로 나뉜다.

공포

전통건축은 기둥 상부가 보를 받는 방식에 따라서 포식, 익공식, 민도리식으로 구분된다.

민도리식은 서까래와 지붕의 하중이 바로 기둥으로 전달되는 형태로, 민가 등의 단순한 구조에서 볼 수 있다.

익공식은 창방과 직교하여 보 방향으로 놓인 익공이라는 부재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익공의 갯수에 따라서 초익공, 이익공, 삼익공 식으로 부른다.

포식공포(栱包)라고 불리는 다양한 부재를 사용해서 보를 받치는데, 기둥 위에만 포를 놓는 경우는 주심포(柱心包)형식이라고 하며,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포를 놓는 경우는 다포(多包)형식이라고 한다. 다포 형식은 궁궐이나 사찰 등에서만 발견된다.

도리와 보

도리(道里)는 건물의 긴 방향, 즉 용마루와 같은 방향으로 놓여 지붕의 전체 틀을 잡아주는 부재이다. 는 건물의 짧은 방향, 즉 앞뒤 기둥을 연결하는 부재이다.

도리와 보는 위치에 따라서 명칭이 달라지는데, 가장 위쪽인 용마루 아래에 놓이는 도리를 종도리라고 하며, 그 다음으로 내려오며 중도리(여러개이면 상중도리, 하중도리 식으로 나눠 부른다), 적심도리라고 부른다. 또한 도리는 단면 모양에 따라서 명칭이 달라지는데, 궁궐이나 사찰 같은 곳에서는 둥근 단면의 굴도리를, 민가 등에서는 사각형 단면의 납도리를 사용한다.

보는 기둥 사이를 연결하는 대들보, 그 위로 중보, 종보 등이 놓이게 된다. 구조가 간단한 민가에서는 보통 대들보만 놓이게 된다.

기둥

배흘림기둥은 기둥 위아래로 갈 수록 직경을 점차 줄여 만드는 기둥을 말한다.

단청

창문

천장

바닥

마루

온돌

명칭

전통건축은 건물의 용도와 위계에 따라서 그 이름을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 전(殿): 가장 격식이 높고 규모가 커 중심이 되는 건물을 말하며, 궁궐에서는 정전과 내전, 침전의 중심 건물, 사찰에서는 부처를 모신 불전을 부를 때 사용한다.
  • 당(堂): 전보다는 격식이 한 등급 낮은 건물로, 전의 부속 건물이나 부속 공간의 중심 건물을 부른다. 궁궐에서는 주전에 부속된 건물의 명칭에, 사찰에서는 불전에 부속된 선당이나 승당에 붙었다. 다만 서원이나 향교에서는 사당이나 강당 등 주전을 당으로 불렀으며, 민가에서도 주전의 명칭에 당을 사용하였다.
  • 합(閤): 자주 사용되는 이름은 아니며, 전이나 당의 부속 건물 중 공공 용도보다는 사적 용도로 다양한 기능을 가졌던 건물로 추정된다.
  • 헌(軒): 살림집 성격의 당의 형식을 갖는 건물이나 정의 성격을 갖는 건물에 두로 사용되었다. 그 외도 관아인 동헌 등에 사용되었다.
  • 누(樓): 마루를 지면에서 올려 습기를 피하고 통풍이 잘 되도록 지은 건물에 사용한다. 연회나 접대를 위한 건물에 주로 쓰였지만, 주합루와 같이 도서관으로 쓰인 경우도 있다. 성곽에서는 문위에 누를 올려 방어와 공격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 정(亭): 정자에 쓰이던 이름으로, 잠시 쉬거나 놀다 가는 건물을 말한다. 유희를 위해 세운 정의 경우 누에 비해서 규모가 작고 사적인 용도로 사용되었다.
  • 각(閣): 누와 비슷하게 중층 건물에 사용되었다. 대문간이나 궁궐 등의 좁고 긴 단층 건물은 행각이라고 불렀다.
  • 사(榭): 무술을 익히고 수련하기 위해 지은 건물이며, 보통 궁술을 익하는 건물을 말한다.
  • 사(舍): 작은 부속 건물을 부를 때 사용하였다. 관아에서는 손님이 머무는 건물을 객사(客舍)라고 하였으며, 민가에서는 살림집 본채와 떨어져 경치 좋은 곳에 별서의 개념으로 지은 건물을 정사(精舍)라고 하였다.
  • 청(廳): 관청이나 손님을 영접하는 장소의 의미를 갖고 있다.
  • 재(齋): 당과 유사하나, 제사를 지내거나 한적한 곳에서 소박하게 학문을 연마하기 위해 지은 건물에 쓰인다. 비슷하지만 제사를 드리거나 한적하고 조용한 곳에서 소박하게 학문을 연마하기 위해 지은 건물이다. 서원에서는 학생들의 기숙사를 동재와 서재라고 불렀다.
  • 관(館): 여러 사람이 모일 수 있는 크고 개방된 관아 격의 건물에 사용된다.
  • 낭(廊): 건물과 건물을 연결하는 좁고 긴 건물을 말한다. 다만, 통로가 아닌 실이 있는 건물에도 사용되었는데, 궁궐의 정전 사방을 둘러싸는 낭은 회랑(回廊)이라고 하며, 살림집에서 마당 앞에 좁고 긴 건물을 둔 것은 행랑(行廊)이라고 한다. 또한 정전 양쪽으로 날개처럼 지은 건물은 익랑(翼廊)이라고 한다.
  • 무(廡): 당 좌우에 부속된 건물을 말한다. 한국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으며, 향교의 동무와 서무에서 사용된다.
  • 실(室): 제사를 위해 마련된 건물은 재실(齋室)이라고 하며, 건물 내부의 단위공간을 말하기도 한다.
  • 가(家): 집을 통칭하여 부르며, 현재는 살림집의 의미가 강하다. 물리적으로는 건물이 모인 집합군을 말한다.
  • 택(宅): 집을 통칭하여 부르며, 현재는 살림집의 의미가 강하다.
  • 옥(屋): 모든 유형의 건축물에 사용되지만 보통 물리적인 성격이 강하다.
  • 방(房): 거실 용도로 사용되는 실이며, 보통 온돌방으로 꾸며졌다.
  • 궁(宮): 왕이 거주하는 규모가 크고 격식 있는 집을 말한다. 왕자나 공주, 대군이 사는 곳이나 왕실과 관련된 사당도 궁으로 불렀다.
  • 단(壇): 제사를 지내기 위한 높은 대를 말하며, 사직단, 원구단, 선농단 등이 해당된다.
  • 묘(廟): 조상이나 성현의 위패를 모셔두고 제향하는 건물이다. 종묘, 문묘, 가묘 등이 해당된다.
  • 사(祠): 성현이나 충신의 위패나 영정을 모셔 놓고 제사를 지내는 건물이다.
  • 대(臺): 권위를 나타내기 위해 높은 대 위에 지은 건물을 말한다.
  • 암(庵): 주 건물과 떨어진 한적한 곳에 별도로 작게 지은 초막을 말한다. 사찰 건축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지역별 한옥

남북으로 긴 한반도의 특성 상 여러 기후가 나타난다. 따라서 지방별 한옥 역시 지역별 기후에 적응하여 독특한 특징을 갖고 있다.

현대의 한옥

권위주의 시대에는 콘크리트 건물에 기와지붕을만을 본따 올려 관공서 등에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심지어 복원에도 철근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등 외형에 치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현재에도 그런 건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전통적인 한옥 건축에 더해 현대적인 구조와 생활양식을 접목하는 등의 발전이 보인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