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산고읍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 문자열을 " ==" 문자열로)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블록정보/문화재
{{블록정보/문화재
| 문화재명칭 = 지산읍성
| 문화재명칭 = 지산고읍성
| 문화재명칭외국어 = 芝山邑城
| 문화재명칭외국어 = 芝山古邑城
| 유형 = 남해도 기념물
| 유형 = 남해도 기념물
| 번호 = 4
| 번호 = 4
| 대표사진 =  
| 대표사진 = 지산고읍성청키.png
| 분류 = 성곽
| 분류 = 성곽
| 수량면적 =
| 수량면적 =
| 지정연도 = 2020년 8월 26일
| 지정연도 = 2020년 8월 26일
| 시대 = 조선
| 시대 = 조선
| 주소 = [[남해도(플레이시티 블록)|남해]] [[지산시(플레이시티 블록)|지산시]] 행궁동
| 주소 = [[남해도]] [[지산시]] 명륜동
| 소유 = 지산시
| 소유 = 지산시
| 관리 = 지산시
| 관리 = 지산시
15번째 줄: 15번째 줄:


== 소개 ==
== 소개 ==
'''지산읍성'''은 [[지산시(플레이시티 블록)|지산시]]성곽이다.
'''지산고읍성'''은 [[지산시]] 명륜동에 위치한 조선시대의 성곽이다.


조선시대 지산부의 행정 중심으로, 행궁과 관아, 성곽 시설들이 남아있어 조선시대 읍성의 원형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남해도 기념물 제4호로 지정되었다.
지산고읍성은 조선 전기 지산군의 행정 중심으로 기능하였으며, 성곽시설이 온전하고 내부의 관아가 일부 남아있어 조선시대 읍성의 원형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남해도 기념물 제4호로 지정되었다.
 
=== 문화재 설명 ===


== 역사 ==
== 역사 ==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 초까지 지산 읍치는 [[법주사(플레이시티 블록)|법주사]] 인근에 자리했다. 현재 지산고읍성(芝山古邑城)으로 알려진 이곳은 문 2개의 작은 성으로 내부에는 필수적인 관청만 존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래는 토성으로 축조되었으나 조선 초기에 석성으로 보수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산고읍성은 지산군의 옛 진산인 영산의 산줄기에 걸쳐 축조되었다. 고려시대에 지산 지역은 영산현이라고 불렸는데, 이름에서 알 수 있듯 고려시대와 그 이전에는 고읍성지 일대가 지산의 중심지였다고 생각된다. 당시의 성곽은 토성으로 추정된다. 조선 전기에 접어들면서 성곽은 석성으로 보수되었으며, 옹성, 치성 등의 방어시설이 이 시기에 갖추어졌다.


임진왜란 이후, 지방의 성곽을 보수할 필요가 제기되면서 [[강경읍성]] 등 남해도에 여러 성곽이 축조되게 된다. 지산고읍성의 경우 읍격에 비해 읍성이 너무 협소하여 성을 확장할 필요가 있었는데, 마침 남삼릉과 남구릉 능행을 위해서 행궁을 짓기로 결정하면서 읍치를 옮기고 그곳에 행궁과 이를 둘러싸는 읍성을 새로 축조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새로운 부지로는 인왕천과 속리천이 자연 해자의 역할을 하고 인왕산과 영산의 줄기가 감싸는 현재의 위치가 결정되어, 1690년부터 행궁과 읍성 공사를 진행하였다. 1793년, 지산행궁을 크게 개축하였고, 지산군을 지산부로 승격하면서 관아의 실무를 분담할 이아(貳衙)를 행궁 동북쪽에 건설한다.
임진왜란 이후, 지방 성곽을 보수하는 과정에서 남해도에 여러 성곽이 축조되었다. 지산고읍성은 내부가 협소하여 성곽을 확장할 필요가 있었으나, 지산행궁과 이를 둘러싸는 읍성을 축조하기로 하면서 버려지게 된다. 1690년 읍치가 새로운 [[지산읍성]]으로 이전되면서 고읍성은 이후 군사 훈련 용도로 사용되게 된다. 1706년에는 고읍성 내로 장관청(將官廳)이 옮겨오게 되며, 활쏘기를 위한 사정(射亭)을 건립하거나 능행 때 훈련을 했다는 기록들이 남아있다.


이후, 성곽과 행궁은 대한제국기까지 보존되어 왔으나, 일제시대에 폐성령과 함께 평지의 성곽이 헐리고 행궁과 관아 역시 학교나 관청으로 사용되며 훼손되는 등의 수난을 겪게 된다. 현대에 들어서는 보존을 위한 노력이 부족하였으나, 2020년부터 [[지산시(플레이시티 블록)|지산시]]에서는 성곽과 행궁을 복원하고 주변을 정비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일제시대 폐성령이 내려졌으나 지산고읍성은 이미 기능을 상실하였고 규모도 협소하여 크게 훼손되지 않은 채 방치되었다. 현대에 들어서는 특별히 보존을 위한 노력을 하지는 않았지만, 2020년부터 [[지산시|지산시청]] 차원에서 성곽을 보수하고 주변을 정비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 상세 ==
== 상세 ==
지산읍성은 진산(鎭山)인 인왕산과 옛 진산인 영산의 산줄기를 따라 평야를 감싸는 평산성 형태로 축조되었으며, 동서남북 4문과 몇개의 보조문을 두었다. 성곽의 북쪽 절반은 구릉을 지나기 때문에 동서남 세 문은 남쪽에 몰려있으며, 북문은 지대가 낮은 서쪽보다 지산의 중심 포구인 후포와 가까운 산 중간의 고개에 자리잡고 있다.
지산고읍성은 옛 진산(鎭山)인 영산의 산줄기를 따라 평야를 감싸는 평산성 형태로 축조되었으며, 남북 2개의 문을 두었다. 산줄기의 형세 때문에 북문은 북서쪽을 바라보고, 남문은 동쪽에 가깝게 치우져 있다.


=== 성문 ===
=== 성문 ===
==== 동문: 숭인문 ====
* '''<big>남문: 창신문(昌信門)</big>'''
개성나성의 동문에서 이름을 따왔드며, 경주읍성의 향일문을 모티브로 건설되었다. 구조는 단층 문루의 홍예문, 방형의 옹성.
: 해미읍성 남문인 진남문를 모티브로 하였으며, 명칭은 개성 나성의 성문 중 하나에서 따왔다. 단층 문루의 평거식 성문으로, 반원형의 옹성이 설치되어 있다. 성문 안쪽에는 옛 지산군수의 선정비가 모여있는 비림(碑林)이 자리하고 있다.
 
지산읍성의 동문, 숭인문은 청라에서 내려온 객들이 읍성으로 들어올 때 만나는 첫 문이자 동쪽 월성과 북쪽 강경으로 이어지는 길이 출발하는 곳으로 예로부터 지산에서 가장 유동인구가 많았던 곳이다. 지산에서 가장 번성하던 동문시장은 파란만장한 근현대사를 거쳐 남해도 제일의 의류시장이 되었지만 지역경제 활성화와 관광 진흥 차원에서 오일장을 지역특산품과 먹거리 장터로 꾸며 정기적으로 열고 있다.


흥미로운 사실이 하나 있다면, 왕이 지산행궁을 행차할 때는 문루가 단층인 숭인문 대신 이층인 흥례문을 지나 들어왔다고 한다. 문에도 격이 있다고 봤던게 아닐까.
* '''<big>북문: 창의문(彰義門)</big>'''
: 고창읍성 북문인 공북루를 모티브로 하였으며, 명칭은 한양도성 북소문인 창의문에서 따왔다. 개거식 성문으로, 이층 문루와 반원형의 옹성이 설치되어 있다.


==== 남문: 흥례문 ====
=== 성곽 시설 ===
한양도성 흥인지문을 모티브로 하였으며, 이층 문루의 홍예문 형식과 반원형의 옹성 구조를 띄고 있다.
* '''<big>선교대(船橋臺)</big>'''
: 남쪽 성벽의 치성 위에 세워진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 누각이다. 지대가 높고 주변이 트여있어 군사 지휘소인 장대(將臺)의 역할도 겸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서문: 선의문 ====
* '''<big>암문과 용도(甬道)</big>'''
개성나성의 서문에서 명칭을 따왔으며, 단층 문루의 홍예문 형식을 띄고 있다.
: 선교대 서쪽에는 암문으로 통하는 계단이 있다. 암문 밖으로 나오면 양쪽이 성곽으로 둘러싸이고 남쪽으로 길게 이어진 길이 나오는데, 이를 용도라고 한다. 용도는 공격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 북문: 자안문 ====
=== 관아와 내부시설 ===
개성나성의 북문에서 명칭을 따왔으며, 단층 문루의 평거식 성문 구조를 띄고 있다.
* 지평관(知平館): 조선 전기의 지산군 객사였다. 19세기 중반에 화재로 소실된 것을 재건하며 규모가 줄어들었다.
* 장관청(將官廳): 군관이 근무하던 관아이다.
* 형옥(刑獄): 죄인을 가둬두던 곳으로, 건물 두 채를 원형의 담장이 감싸는 형태이다.
* 안풍루(安風樓)와 안풍지(安風池): 정면 3칸, 측면 2칸의 이층 누각으로, 4칸은 마루로, 2칸은 온돌로 되어 있는 특이한 구조이다. 누각 앞에는 사각형의 연못이 있다.
* 사모정: 정면 1칸, 측면 1칸의 이름이 정해지지 않는 정자이다. 성벽에 붙어있어 근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 지산행궁 ===
=== 고읍성공원 ===
국왕이 남구릉, 남삼릉에 행차할 때 머물던 행궁으로 평소에는 지산부의 관아로 사용되었다. 현실의 화성행궁을 재현하였다.
* 고읍성공원
** 민속광장, 지산5일장
** 판소리마당
** 장경효 고택: 19세기 후반 판소리 명창 장경호가 기거하던 가옥.
** 고읍성숲길


=== 이아(貳衙) ===
== 관람 정보 ==
행궁 동북쪽에 위치한 관청으로, 읍격이 높아진데다 관아가 행궁을 겸하면서 행정 실무만을 담당할 곳이 필요하게 되어 건설되었다.


=== 종각 ===
== 주변 시설 ==
남북으로 뻗는 종로(鐘路)와 동서로 뻗는 숙종로(肅宗路)가 교차하는 지점에 자리하고 있다. 본래의 종각은 일제시대에 헐렸으며, 현재의 것은 2020년 전통 양식으로 복원한 것이다.
* 반촌한옥마을: 19~20세기 도시한옥을 볼 수 있는 한옥마을
* [[법주사(플레이시티 블록)|법주사]]: 고읍성 옆에 자리한 천년 고찰


== 관광 ==
== 각주 ==
* 공방마을: 행궁 남쪽에 자리잡은 곳
<references/>
* 지산행궁박물관: 행궁의 역사와 발굴된 유물을 전시하는 박물관
== 관련 문서 ==
* [[지산읍성]]


[[분류:남해도의 기념물]]
[[분류:지산시의 문화재]]
[[분류:지산시의 문화재]]

2023년 5월 21일 (일) 03:32 기준 최신판

지산고읍성
芝山古邑城
남해도 기념물 제4호
지산고읍성청키.png
정보
분류 성곽
수량/면적
지정연도 2020년 8월 26일
시대 조선
소유 지산시
관리 지산시
위치
주소 남해도 지산시 명륜동

소개

지산고읍성지산시 명륜동에 위치한 조선시대의 성곽이다.

지산고읍성은 조선 전기 지산군의 행정 중심으로 기능하였으며, 성곽시설이 온전하고 내부의 관아가 일부 남아있어 조선시대 읍성의 원형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남해도 기념물 제4호로 지정되었다.

문화재 설명

역사

지산고읍성은 지산군의 옛 진산인 영산의 산줄기에 걸쳐 축조되었다. 고려시대에 지산 지역은 영산현이라고 불렸는데, 이름에서 알 수 있듯 고려시대와 그 이전에는 고읍성지 일대가 지산의 중심지였다고 생각된다. 당시의 성곽은 토성으로 추정된다. 조선 전기에 접어들면서 성곽은 석성으로 보수되었으며, 옹성, 치성 등의 방어시설이 이 시기에 갖추어졌다.

임진왜란 이후, 지방 성곽을 보수하는 과정에서 남해도에 여러 성곽이 축조되었다. 지산고읍성은 내부가 협소하여 성곽을 확장할 필요가 있었으나, 지산행궁과 이를 둘러싸는 새 읍성을 축조하기로 하면서 버려지게 된다. 1690년 읍치가 새로운 지산읍성으로 이전되면서 고읍성은 이후 군사 훈련 용도로 사용되게 된다. 1706년에는 고읍성 내로 장관청(將官廳)이 옮겨오게 되며, 활쏘기를 위한 사정(射亭)을 건립하거나 능행 때 훈련을 했다는 기록들이 남아있다.

일제시대 폐성령이 내려졌으나 지산고읍성은 이미 기능을 상실하였고 규모도 협소하여 크게 훼손되지 않은 채 방치되었다. 현대에 들어서는 특별히 보존을 위한 노력을 하지는 않았지만, 2020년부터 지산시청 차원에서 성곽을 보수하고 주변을 정비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상세

지산고읍성은 옛 진산(鎭山)인 영산의 산줄기를 따라 평야를 감싸는 평산성 형태로 축조되었으며, 남북 2개의 문을 두었다. 산줄기의 형세 때문에 북문은 북서쪽을 바라보고, 남문은 동쪽에 가깝게 치우져 있다.

성문

  • 남문: 창신문(昌信門)
해미읍성 남문인 진남문를 모티브로 하였으며, 명칭은 개성 나성의 성문 중 하나에서 따왔다. 단층 문루의 평거식 성문으로, 반원형의 옹성이 설치되어 있다. 성문 안쪽에는 옛 지산군수의 선정비가 모여있는 비림(碑林)이 자리하고 있다.
  • 북문: 창의문(彰義門)
고창읍성 북문인 공북루를 모티브로 하였으며, 명칭은 한양도성 북소문인 창의문에서 따왔다. 개거식 성문으로, 이층 문루와 반원형의 옹성이 설치되어 있다.

성곽 시설

  • 선교대(船橋臺)
남쪽 성벽의 치성 위에 세워진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 누각이다. 지대가 높고 주변이 트여있어 군사 지휘소인 장대(將臺)의 역할도 겸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암문과 용도(甬道)
선교대 서쪽에는 암문으로 통하는 계단이 있다. 암문 밖으로 나오면 양쪽이 성곽으로 둘러싸이고 남쪽으로 길게 이어진 길이 나오는데, 이를 용도라고 한다. 용도는 공격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관아와 내부시설

  • 지평관(知平館): 조선 전기의 지산군 객사였다. 19세기 중반에 화재로 소실된 것을 재건하며 규모가 줄어들었다.
  • 장관청(將官廳): 군관이 근무하던 관아이다.
  • 형옥(刑獄): 죄인을 가둬두던 곳으로, 건물 두 채를 원형의 담장이 감싸는 형태이다.
  • 안풍루(安風樓)와 안풍지(安風池): 정면 3칸, 측면 2칸의 이층 누각으로, 4칸은 마루로, 2칸은 온돌로 되어 있는 특이한 구조이다. 누각 앞에는 사각형의 연못이 있다.
  • 사모정: 정면 1칸, 측면 1칸의 이름이 정해지지 않는 정자이다. 성벽에 붙어있어 근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읍성공원

  • 고읍성공원
    • 민속광장, 지산5일장
    • 판소리마당
    • 장경효 고택: 19세기 후반 판소리 명창 장경호가 기거하던 가옥.
    • 고읍성숲길

관람 정보

주변 시설

  • 반촌한옥마을: 19~20세기 도시한옥을 볼 수 있는 한옥마을
  • 법주사: 고읍성 옆에 자리한 천년 고찰

각주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