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블록정보/문화재 | 문화재명칭 = 지산고읍성 | 문화재명칭외국어 = 芝山古邑城 | 유형 = 남해도 기념물 | 번호 = 4 | 대표사진 = | 분류 = 성곽 | 수량면적 = | 지정연도 = 2020년 8월 26일 | 시대 = 조선 | 주소 = [[남해도(플레이시티 블록)|남해]] [[지산시(플레이시티 블록)|지산시]] 행궁동 | 소유 = 지산시 | 관리 = 지산시 }} == 소개 == '''지산고읍성'''은 [[지산시(플레이시티 블록)|지산시]]의 성곽이다. 조선 전기 지산군의 행정 중심으로, 성곽시설이 온전하고 내부의 관아가 일부 남아있어 조선시대 읍성의 원형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남해도 기념물 제4호로 지정되었다. == 역사 == 지산고읍성은 지산군의 옛 진산인 영산의 산줄기에 걸쳐 축조되었다. 고려시대에 지산 지역은 영산현이라고 불렸는데, 이름에서 알 수 있듯 고려시대와 그 이전에는 고읍성지 일대가 지산의 중심지였다고 생각된다. 당시의 성곽은 토성으로 추정된다. 조선 전기에 접어들면서 성곽은 석성으로 보수되었으며, 옹성, 치성 등의 방어시설이 이 시기에 갖추어졌다. 임진왜란 이후, 지방 성곽을 보수하는 과정에서 남해도에 여러 성곽이 축조되었다. 지산고읍성은 내부가 협소하여 성곽을 확장할 필요가 있었으나, 지산행궁과 이를 둘러싸는 새 읍성을 축조하기로 하면서 버려지게 된다. 1690년 읍치가 새로운 [[지산읍성]]으로 이전되면서 고읍성은 이후 군사 훈련 용도로 사용되게 된다. 1706년에는 고읍성 내로 장관청(將官廳)이 옮겨오게 되며, 활쏘기를 위한 사정(射亭)을 건립하거나 능행 때 훈련을 했다는 기록들이 남아있다. 일제시대 폐성령이 내려졌으나 지산고읍성은 이미 기능을 상실하였고 규모도 협소하여 크게 훼손되지 않은 채 방치되었다. 현대에 들어서는 특별히 보존을 위한 노력을 하지는 않았지만, 2020년부터 [[지산시(플레이시티 블록)|지산시청]] 차원에서 성곽을 보수하고 주변을 정비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 상세 == 지산고읍성은 옛 진산(鎭山)인 영산의 산줄기를 따라 평야를 감싸는 평산성 형태로 축조되었으며, 남북 2개의 문을 두었다. 산줄기의 형세 때문에 북문은 북서쪽을 바라보고, 남문은 동쪽에 가깝게 치우져 있다. === 성문 === ==== 남문: 창신문(昌信門) ==== 해미읍성 남문인 진남문를 모티브로 하였으며, 명칭은 개성 나성의 성문 중 하나에서 따왔다. 단층 문루의 평거식 성문으로, 반원형의 옹성이 설치되어 있다. 성문 안쪽에는 옛 지산군수의 선정비가 모여있는 비림(碑林)이 자리하고 있다. ==== 북문: 창의문(彰義門) ==== 고창읍성 북문인 공북루를 모티브로 하였으며, 명칭은 한양도성 북소문인 창의문에서 따왔다. 개거식 성문으로, 이층 문루와 반원형의 옹성이 설치되어 있다. === 성곽시설 === * 선교대: 남쪽 성벽의 치성 위에 위치한 누각이다. * 암문과 용도: 성벽 남쪽으로 이어진 구조물로, 공격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선교대 옆 암문을 통과해 진입할 수 있다. === 내부시설 === * 장관청 * 형옥 * (황학정) 국궁장 == 관광 == * 공방마을: 행궁 남쪽에 자리잡은 곳 * 지산행궁박물관: 행궁의 역사와 발굴된 유물을 전시하는 박물관 [[분류:지산시의 문화재]]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블록정보/문화재 (원본 보기) (보호됨)지산고읍성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