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람 정보) |
(→구성)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월성지구''' | * '''월성지구''' | ||
: 월성동, 황남동, 남면 소재. 왕궁인 지산 월성과 주변 문화재를 통합하여 지정되었다. 대표 문화재로는 월성, [[동궁과 월지]]가, 주요 시설로는 [[국립지산박물관]]이 있다. | *: 월성동, 황남동, 남면 소재. 왕궁인 지산 월성과 주변 문화재를 통합하여 지정되었다. 대표 문화재로는 월성, [[동궁과 월지]]가, 주요 시설로는 [[국립지산박물관]]이 있다. | ||
* '''황룡사지구''' | * '''황룡사지구''' | ||
: 월성동 소재. 대표 문화재로는 [[황룡사]], 분황사가 있다. | *: 월성동 소재. 대표 문화재로는 [[황룡사]], 분황사가 있다. | ||
* '''[[대릉원|대릉원지구]]''' | * '''[[대릉원|대릉원지구]]''' | ||
: 대릉동, 황남동, 황오동, 남면 소재. 신라시대 왕릉과 고분을 통합하여 지정되었다. 주요 문화재로는 노동동 고분군, 노서동 고분군, 황남동 고분군, 인왕동 고분군. 지산 오릉이 있다. | *: 대릉동, 황남동, 황오동, 남면 소재. 신라시대 왕릉과 고분을 통합하여 지정되었다. 주요 문화재로는 노동동 고분군, 노서동 고분군, 황남동 고분군, 인왕동 고분군. 지산 오릉이 있다. | ||
* '''낭산지구''' | * '''낭산지구''' | ||
: | *: 낭산은 지산 아현면에 위치한 야트막한 야산으로, 과거부터 신라 왕실과 깊은 연관이 있었던 곳이다. 능선 주변으로 신라 왕실과 연관된 사찰 및 능묘들이 분포하고 있다. 대표 문화재로는 사천왕사지, 망덕사지, 선덕여왕릉, 능지탑지 등이 있다. | ||
* '''현남산지구''' | * '''현남산지구''' | ||
: 남면 소재. 대표 문화재로는 현남산성이 있다. | *: 남면 소재. 대표 문화재로는 현남산성이 있다. | ||
== 관람 정보 == | == 관람 정보 == |
2025년 2월 4일 (화) 09:02 판
펼치기플레이시티 블록의 국립공원 |
---|
지산역사유적지구는 남해도 지산시 소재의 국립공원이다. 플레이시티 블록의 유일한 사적형 국립공원이자 비연속적 국립공원으로 지산시내에 산재한 5개 지구를 하나로 묶어서 관리하고 있다.
연혁
- 2020.04.01: 시립공원 지정 (월성지구, 황룡사지구)
- 2020.12.01: 대릉원지구 편입
- 2022.02.07: 국립공원 지정 (낭산지구, 현남산지구 편입)
구성
크게 문화유적 중심의 평지 지구와 문화 및 자연유산이 복합된 산지 지구로 구분된다. 월성지구, 황룡사지구, 대릉원지구의 세 곳이 평지 지구로, 낭신지구와 현남산지구가 산지 지구로 분류된다.
- 황룡사지구
- 월성동 소재. 대표 문화재로는 황룡사, 분황사가 있다.
- 대릉원지구
- 대릉동, 황남동, 황오동, 남면 소재. 신라시대 왕릉과 고분을 통합하여 지정되었다. 주요 문화재로는 노동동 고분군, 노서동 고분군, 황남동 고분군, 인왕동 고분군. 지산 오릉이 있다.
- 낭산지구
- 낭산은 지산 아현면에 위치한 야트막한 야산으로, 과거부터 신라 왕실과 깊은 연관이 있었던 곳이다. 능선 주변으로 신라 왕실과 연관된 사찰 및 능묘들이 분포하고 있다. 대표 문화재로는 사천왕사지, 망덕사지, 선덕여왕릉, 능지탑지 등이 있다.
- 현남산지구
- 남면 소재. 대표 문화재로는 현남산성이 있다.
관람 정보
- 관람 시간: 상시 개방 (개별 전시시설은 별도 확인 필요)
- 입장료: 무료 (개별 전시시설은 별도 확인 필요)
- 휴관일: 없음 (개별 전시시설은 별도 확인 필요)
지산역사지구 전체가 하나의 야외 박물관으로, 별도의 출입 통제 시설이나 입장료 없이 개방되어 있다. 다만 역사지구 내 개별 유적이나 전시시설 이용 시에는 별도 입장권이 필요하다. 지산 시내 관광안내소 및 매표소, 국립공원사무소 등에서 역사지구를 비롯한 지산시내 박물관 및 유적지의 통합 입장권을 구매할 수 있다. 국립공원사무소는 남면 남산리 지산전통문화대학교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