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번째 줄: 45번째 줄:
== 한옥 관련 정보 ==
== 한옥 관련 정보 ==
=== 궁궐 ===
=== 궁궐 ===
=== 사찰 ===
=== 사찰 건축 ===
==== 가람 ====
* 가람: 탑, 금당, 강당 등 사찰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건물의 배치
* 가람: 탑, 금당, 강당 등 사찰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건물의 배치


65번째 줄: 66번째 줄:
: 예시: 경주 감은사지, 경주 천군리사지, 경주 불국사지
: 예시: 경주 감은사지, 경주 천군리사지, 경주 불국사지


* 고려
* 고려 (일탑일금당병렬식, 쌍탑병렬식, 무탑식)
: 밀교적 성격이 강해지면서 산지에 사찰이 조성되기 시작
: 예시 (일탑일금당): 개성 불일사지, 영주 부석사, 영주 봉정사 등
: 예시 (이탑이금당): 개성 흥왕사지, 보림사
: 예시 (일탑삼금당): 남원 만복사지 등
: 예시 (무탑식): 전등사, 관룡사, 용문사, 송광사


* 조선
* 조선
: 숭유억불로 인한 불사 건립의 위축, 도성 내 사찰 건립 금지
: 이전 시대의 가람 계승, 산지 중심의 배치, 법당이 예배의 중심이 되며 탑의 중요도가 감소
: 회랑을 대신해서 여러 건물들이 모여 마당을 형성하고 이곳이 가람의 중심이 됨.
: 사찰이 들어선 골짜기 전체가 경내가 되며, 불규칙한 배치, 필요한 건물을 편의에 따라 배치하는 형태
: 17세기 경: 대웅전 앞으로 누각이 조성되어 출입구와 경관을 구성함. 좌우로 요사와 선방이 자리잡음
: 고종대: 대웅전과 마주하는 곳에 대방을 짓고 그 사이 마당에서 법회를 진행함
: 예시: 춘천 청평사, 서울 봉은사

2023년 7월 30일 (일) 16:25 판

개발·확정계획

2023년 예정

  • 전체
    • 한옥 100채 건립 사업 (문화재급 30채, 민가 60채, 현대한옥 10채)
    • 서면 및 도서지역(낙월면, 압해면, 흑산면) 지형 재제작
    • 서부시내 도로망 재정비
  • 도서 지역 1곳 개발
  • 월성 권역
    • 지형 제작 후 하반기 내 토성 완성
    • 신라왕궁의 배치는 연구자료 참고 후 결정
    • 해자, 태묘, 첨성대 주변 역사공원 부지 설계
    • 교동한옥마을 설계
  • 낭산
    • 지형 제작 후 하반기 내 불러오기
  • 대릉원 및 황남동
    • 지도 보정 작업 완료 후 도로망 고정
    • 황남리 고분군 지형 완성 후 불러오기
  • 지산영상문화파크
    • 전체 설계 완성
  • 아리울(외주)
    • 태화궁 완공 (~8월 상순)
    • 태원궁 외조 설계 (8월 이후)
    • 환구단 권역 완공 (하반기): 황궁우, 정문, 전축삼문, 석고

2024년 예정

  • 성남동
    • 도로망 제작 및 일반 건축부지 분양
  • 아리울(외주)
    • 상반기 내 아리울 내 수주받은 한옥 완공
      • 궁궐: 태원궁
      • 제례: 종묘, 황궁우
      • 관청: 의정부(미확정)
      • 기타: 가화동 황성식당
    • 하반기 내 아리울 내 건축 완공
      • 유성대학교 아리울캠퍼스
      • 아리울 돌담병원

아이디어

한옥 관련 정보

궁궐

사찰 건축

가람

  • 가람: 탑, 금당, 강당 등 사찰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건물의 배치
  • 고구려
일탑삼금당식. 중문 안에 남향으로 팔각탑이 자리잡고 동서북에 3개의 금당이 자리잡음
예시: 평양 금강사지, 평양 정릉사지
  • 백제 (일탑일금당식)
중문과 탑, 금당이 일직선으로 배열괴도 중문에서 강당까지 회랑이 둘러싸 성역을 형성함
예시: 부여 정림사지
특이 사례: 익산 미륵사지 (3개의 탑과 3개의 금당이 나란히 배치)
  • 신라
예시: 경주 황룡사지
  • 통일신라 (쌍탑일금당식)
중문과 금당, 강당이 일직선으로 배열되고, 중문과 강당을 잇는 회랑이 둘러싸며, 금당 앞에 두개의 탑을 동서로 배치
불상의 조성으로 불탑의 중요도가 떨어지며 변화
예시: 경주 감은사지, 경주 천군리사지, 경주 불국사지
  • 고려 (일탑일금당병렬식, 쌍탑병렬식, 무탑식)
밀교적 성격이 강해지면서 산지에 사찰이 조성되기 시작
예시 (일탑일금당): 개성 불일사지, 영주 부석사, 영주 봉정사 등
예시 (이탑이금당): 개성 흥왕사지, 보림사
예시 (일탑삼금당): 남원 만복사지 등
예시 (무탑식): 전등사, 관룡사, 용문사, 송광사
  • 조선
숭유억불로 인한 불사 건립의 위축, 도성 내 사찰 건립 금지
이전 시대의 가람 계승, 산지 중심의 배치, 법당이 예배의 중심이 되며 탑의 중요도가 감소
회랑을 대신해서 여러 건물들이 모여 마당을 형성하고 이곳이 가람의 중심이 됨.
사찰이 들어선 골짜기 전체가 경내가 되며, 불규칙한 배치, 필요한 건물을 편의에 따라 배치하는 형태
17세기 경: 대웅전 앞으로 누각이 조성되어 출입구와 경관을 구성함. 좌우로 요사와 선방이 자리잡음
고종대: 대웅전과 마주하는 곳에 대방을 짓고 그 사이 마당에서 법회를 진행함
예시: 춘천 청평사, 서울 봉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