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 개요 == '''병원'''은 환자를 진단, 치료하기 위해 그에 필요한 설비를 갖추어 둔 곳이다. 일반적으로 의료기관을 통칭하는 용어로도 사용...)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개요 ==↵" 문자열을 "" 문자열로)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개요 ==
'''병원'''은 환자를 진단, 치료하기 위해 그에 필요한 설비를 갖추어 둔 곳이다. 일반적으로 의료기관을 통칭하는 용어로도 사용된다.
'''병원'''은 환자를 진단, 치료하기 위해 그에 필요한 설비를 갖추어 둔 곳이다. 일반적으로 의료기관을 통칭하는 용어로도 사용된다.


8번째 줄: 7번째 줄:
* 병원급 의료기관: 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 요양병원, 정신병원, 종합병원이 속한다. 입원한자를 주로 진료하는 곳이다.
* 병원급 의료기관: 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 요양병원, 정신병원, 종합병원이 속한다. 입원한자를 주로 진료하는 곳이다.


병원, 한방병원은 30개 이상의 병상을 갖춘 곳이며, 종합병원은 100개 이상의 병상을 갖춘 곳을 말한다. 300병상 이하의 종합병원은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과 중 세 곳, 진단검사의학과와 병리과 중 하나, 영상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를 포함하여 7개 이상의 진료과목을 갖춰야 하며, 301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은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과, 진단검사의학과와 병리과 중 하나, 영상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정신건강의학가, 치과를 포함한 9개 이상의 진료과목을 갖춰야 한다.
병원, 한방병원은 30개 이상의 병상을 갖춘 곳이다.
 
종합병원은 100개 이상의 병상을 갖춘 곳을 말한다. 300병상 이하의 종합병원은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과 중 세 곳, 진단검사의학과와 병리과 중 하나, 영상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를 포함하여 7개 이상의 진료과목을 갖춰야 하며, 301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은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과, 진단검사의학과와 병리과 중 하나, 영상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정신건강의학가, 치과를 포함한 9개 이상의 진료과목을 갖춰야 한다.
 
== 대표적인 병원 ==
* [[서울대학교병원]]
* [[서울아산병원]]
 
== 창작물에서의 병원 ==
* 심영물의 단골 배경장소이다.
 
[[분류:병원]]
[[분류:의료기관]]

2023년 1월 8일 (일) 06:24 기준 최신판

병원은 환자를 진단, 치료하기 위해 그에 필요한 설비를 갖추어 둔 곳이다. 일반적으로 의료기관을 통칭하는 용어로도 사용된다.

분류

의료법에 따르면 의료기관은 의원급, 병원급, 조산원으로 분류된다.

  • 의원급 의료기관: 의원, 치과의원, 한의원이 속한다. 외래환자를 주로 진료하는 곳이다.
  • 병원급 의료기관: 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 요양병원, 정신병원, 종합병원이 속한다. 입원한자를 주로 진료하는 곳이다.

병원, 한방병원은 30개 이상의 병상을 갖춘 곳이다.

종합병원은 100개 이상의 병상을 갖춘 곳을 말한다. 300병상 이하의 종합병원은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과 중 세 곳, 진단검사의학과와 병리과 중 하나, 영상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를 포함하여 7개 이상의 진료과목을 갖춰야 하며, 301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은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과, 진단검사의학과와 병리과 중 하나, 영상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정신건강의학가, 치과를 포함한 9개 이상의 진료과목을 갖춰야 한다.

대표적인 병원

창작물에서의 병원

  • 심영물의 단골 배경장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