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안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53번째 줄: 53번째 줄:


====새말구====
====새말구====
들안시의 남부에 있으며, 과거 들안시의 중심부가 이 구에 있는 등, 들안시에서 가장 역사가 깊은 구이다. 알뜨란비행장, 광역철도 들안역 등이 새말구에 위치하고 있다.
들안시의 남부에 있으며, 과거 들안시의 중심부가 이 구에 있는 등, 들안시에서 가장 역사가 깊은 구이다. 알뜨란비행장, 광역철도 들안역 등이 새말구에 위치하고 있다. 늠내구에 해안 관광지가 집중된다면, 새말구에는 대규모 쇼핑몰을 신설하는 등 실내 위주의 건물 관광지가 많이 생겨날 예정이다.


===인구===
===인구===

2020년 8월 25일 (화) 22:37 판

틀:플레이시티 블록의 도시


개요

플레이시티 블록의 중앙부에 위치한 도시로, 청산도 소속 4기 도시이다. 서버 최초로 대단위 광역철도망이 들어온 도시이기도 하며, 남으로는 서면시, 동으로는 산맥 너머 오천시와 마주하고 있다. 여러 차례 재개발을 거친 도시이며, 마지막 재개발 이후 개발은 더디게 이어지고 있다.

역사

2020년 3월 18일 출범하여 현재까지 존슥되고 있는 플레이시티 블록의 자치시이다.

초반에는 예니바슈켄트가 있던 해안가의 반도에서 개발을 시작하였으나, 재개발을 여러 차례 거치며 내륙 중심으로 개발이 시작되었다.

지리

들안시는 청산도의 서부에 위치하고 있다. 북쪽으로 함학강 너머 함학시와 마주보고 있고, 서쪽으로는 바다 너머 망원시, 온주시와 마주본다.

들안시 동부에는 청산도 산맥(가칭)이 위치하고 있으며, 산맥이 끝나는 북쪽 일부를 이용해 오천시와 연담화가 이루어져 있다. 바다와 맞닿은 부분이 많으며 작은 반도가 두 개 있다. 기존에는 서버의 정중앙에 위치했지만, 맵이 확장되어가며 조금 북쪽으로 밀려났다.

들안시는 동쪽이 산맥으로 높고 서쪽이 바다로 낮은 전형적인 동고서저 지형이다. 청산도 산맥의 들안부분은 산이 높아졌다 낮아지기 시작하는 부분으로, 들안시와 오천시, 함학시의 경계에서 산맥이 끊어진다.

강/하천

도시 북쪽을 흐르는 함학강이 들안시와 함학시의 경계를 나누어 준다.

도심

들안 도심은 대체적으로 바다와 산맥 사이의 평탄한 지형에 세워졌으며, 대부분의 건물이 들안역 이북에 들어설 예정이다. 이는 알뜨란비행장의 영향이 큰데, 알뜨란비행장은 들안시와 서면시 사이의 비행장으로 서버 최초의 비행장이다. 현재 들안시의 개발은 새말구 동중앙삼거리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기후

들안시는 대륙성 기후로, 연교차가 큰 편이다. 하지만 도시 개발이 가속화되며 연평균기온, 평균 최고 및 최저 기온이 상승하는 추세이다. 여름철 열대야 발생 일수도 전반적으로 상승 추세고, 다른 계절보다도 겨울의 기온 상승 폭이 가장 큰 편이다. 또한 도시화 전부터 현재까지에 걸쳐 강수량이 상승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호우 빈도 역시 과거에 비해 증가하고 있다.

전반적인 기후 변화의 영향인지, 들안 지역의 계절 시작일의 변화도 눈에 띄게 나타나고 있다. 전반적으로 겨울의 길이가 짧아지는 추세로, 추위가 약해지는 양상을 띠고 있다.

행정구역

들안시는 2개의 행정구를 두고 있다. 여러 차례의 재개발에 따라 구의 이름도 유동적이였으나, 마지막 재개발 이후 현재까지 구의 이름은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두 구의 균형발전을 추구하고 있으며, 아직까지는 모두 개발이 별로 진척되지 못한 상황이다.

늠내구

들안시의 북부를 차지하는 구로, 재개발 전에는 개발되지 않았던 부분을 늠내구로 정리하며 재개발 후 오천시와의 연담화 등으로 적극적인 개발에 나서고 있다. 아래의 새말구는 내륙을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고, 해안선을 비교했을 때 늠내구의 해안선이 상대적으로 단조롭기 때문에 들안시의 해안 관광지는 늠내구에 몰릴 가능성이 높다.

새말구

들안시의 남부에 있으며, 과거 들안시의 중심부가 이 구에 있는 등, 들안시에서 가장 역사가 깊은 구이다. 알뜨란비행장, 광역철도 들안역 등이 새말구에 위치하고 있다. 늠내구에 해안 관광지가 집중된다면, 새말구에는 대규모 쇼핑몰을 신설하는 등 실내 위주의 건물 관광지가 많이 생겨날 예정이다.

인구

교통

도로

철도

버스

경제

관광·문화

교육

도시개발

특징

관련 항목

각주